"국도1호선개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okpo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국도1호선 개통(國道一號線 開通)은 1911년에 이뤄졌고, 목포에서 신의주까지의 거리는 939.1Km였다....)
 
(Semantic Network Graph)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국도1호선개통|국도1호선 개통(國道一號線 開通)]]은 1911년에 이뤄졌고, 목포에서 신의주까지의 거리는 939.1Km였다. 국도 1호선 착공은 1906년이었으며, 목포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인 도로망의 출발 기점이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한 국도 1호선 기념비와 도로 원표석은 유달산 우체국 좌측편 화단에 현재 조성되어 있다.  <ref> 목포시사 제1권, 513쪽. </ref>
+
[[국도1호선개통|국도1호선 개통(國道一號線 開通)]]은 일제 강점기인 1911년에 이뤄졌고, 목포에서 신의주까지의 거리는 939.1Km였다. 국도 1호선 착공은 1906년이었으며, 목포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인 도로망의 출발 기점이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한 국도 1호선 기념비와 도로 원표석은 유달산 우체국 좌측편 화단에 현재 조성되어 있다.  <ref> 목포시사 제1권, 513쪽. </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2번째 줄: 12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국도1호선개통]] || Event || 사건 ||  || 국도1호선 개통(國道一號線 開通, 1911) || 국도1호선 개통 || 國道一號線 開通 ||  ||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국도1호선 개통||   
+
| [[국도1호선개통]] || Event || 사건 ||  || 국도1호선 개통(國道一號線 開通, 1911) || 국도1호선 개통 || 國道一號線 開通 ||  ||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국도1호선개통||   
 
|-
 
|-
 
|}
 
|}
21번째 줄: 21번째 줄: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국도1호선 개통]]
+
| id || [[국도1호선개통]]
 
|-
 
|-
 
|이칭||  
 
|이칭||  
50번째 줄: 50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국도1호선 개통]] || [[도로원표]]  ||   || 기념비
+
| [[도로원표석]] || [[국도1호선개통]]  || isRelatedTo  || 기념비
 +
|-
 +
| [[국도1호선개통]] || [[목포]]  || isRelatedTo  || 시작점
 +
|-
 +
| [[국도1호선개통]] || [[신의주]]  || isRelatedTo  || 종점
 
|-
 
|-
 
|}
 
|}
61번째 줄: 65번째 줄: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국도1호선 개통]] || 전라남도 목포시 || 국도1호선 개통(國道一號線 開通) || 國道一號線 開通 || 34.893174, || 126.396334 ||  || 목포시 유달동
+
| [[국도1호선개통]] || 전라남도 목포시 || 국도1호선 개통(國道一號線 開通) || 國道一號線 開通 || 34.786938 || 126.382452 ||  || 목포시 대의동
 
|-
 
|-
 
|}
 
|}
79번째 줄: 83번째 줄: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koreanEra || japaneseEra || indexDate || description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koreanEra || japaneseEra || indexDate || description
 
|-
 
|-
| [[국도1호선 개통]] || 1911 || 국도1호선 개통 || 國道一號線 開通 ||  || 明治 44年  || ||  
+
| [[국도1호선개통]] || 1911 || 국도1호선 개통 || 國道一號線 開通 ||  || 明治 44年  || ||  
 
|-
 
|-
 
|}
 
|}
108번째 줄: 112번째 줄: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
{{SemanticGraph | key=국도1호선개통}}
  
 
+
[[분류:Actor]][[분류: 사건]] [[분류:이승록]]
[[분류:목포근대문화자산아카이브]] [[분류:Actor]] [[분류:Actor-단체]] [[분류:이승록]]
 

2024년 3월 16일 (토) 18:40 기준 최신판


Definition

국도1호선 개통(國道一號線 開通)은 일제 강점기인 1911년에 이뤄졌고, 목포에서 신의주까지의 거리는 939.1Km였다. 국도 1호선 착공은 1906년이었으며, 목포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인 도로망의 출발 기점이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한 국도 1호선 기념비와 도로 원표석은 유달산 우체국 좌측편 화단에 현재 조성되어 있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국도1호선개통 Event 사건 국도1호선 개통(國道一號線 開通, 1911) 국도1호선 개통 國道一號線 開通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국도1호선개통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국도1호선개통
이칭
유형 사건
설명 목포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도로망의 출발 기점이다.
시대 일제 강제점령 시기
날자 1911년
관련인물
관련단체
관련장소 전남 목포시 유달동
관련유물 유적
관련사건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도로원표석 국도1호선개통 isRelatedTo 기념비
국도1호선개통 목포 isRelatedTo 시작점
국도1호선개통 신의주 isRelatedTo 종점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국도1호선개통 전라남도 목포시 국도1호선 개통(國道一號線 開通) 國道一號線 開通 34.786938 126.382452 목포시 대의동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koreanEra japaneseEra indexDate description
국도1호선개통 1911 국도1호선 개통 國道一號線 開通 明治 44年

Temporal Relations

Online Reference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Notes

  1. 목포시사 제1권, 513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