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공설시장개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okpo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Khan01님이 공설시장개업 문서를 목포공설시장개업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Semantic Network Graph)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공설시장개업|공설시장 개업(公設市場 開業, 1929년)]] 남교동 일대에는 '쌍교장터'라는 곳이 있었다. 개항 후 쌍교장터가 발전하여 남교동 일대 매립지에 건물을 지어 1929년 목포부가 경영하는 부영공설시장을 개업했다. 부설 청과물시장도 딸렸다. 목포역과 가까운 지리적 위치, 조선인 마을과 인접성 때문에 이 일대는 해방 이후까지 목포의 중심상권을 형성하였다.  
+
[[목포공설시장개업|공설시장 개업(木浦公設市場 開業, 1929년)]] 남교동 일대에는 '쌍교장터'라는 곳이 있었다. 개항 후 쌍교장터가 발전하여 남교동 일대 매립지에 건물을 지어 1929년 목포부가 경영하는 부영공설시장을 개업했다. 부설 청과물시장도 딸렸다. 목포역과 가까운 지리적 위치, 조선인 마을과 인접성 때문에 이 일대는 해방 이후까지 목포의 중심상권을 형성하였다.  
 
  <ref> 목포시사편찬위원회, 목포시사, 1권, 2017, 목포시, 513쪽 </ref>   
 
  <ref> 목포시사편찬위원회, 목포시사, 1권, 2017, 목포시, 513쪽 </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2번째 줄: 12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공설시장개업]] || Event || 사건 ||  || 공설시장 개업(公設市場 開業, 1929) || 공설시장 개업 || 公設市場 開業 ||  ||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공설시장개업 || <html><img width="120" src=""/></html>
+
| [[목포공설시장개업]] || Event || 사건 ||  || 목포공설시장 개업(木浦公設市場 開業, 1929) || 목포공설시장 개업 || 木浦公設市場 開業 ||  ||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목포공설시장개업 || <html><img width="120" src=""/></html>
 
|-
 
|-
 
|}
 
|}
23번째 줄: 23번째 줄: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공설시장개업]]
+
| id || [[목포공설시장개업]]
 
|-
 
|-
 
|이칭||  
 
|이칭||  
52번째 줄: 52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공설시장개업]] || [[공설시장]]  ||  ||  
+
| [[목포공설시장개업]] || [[목포공설시장]]  ||  ||  
 
|-
 
|-
| [[공설시장]] || [[쌍교장터]]  ||  || 재래시장
+
| [[목포공설시장]] || [[쌍교장터]]  ||  || 재래시장
  
 
|}
 
|}
85번째 줄: 85번째 줄: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koreanEra || japaneseEra || indexDate || description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koreanEra || japaneseEra || indexDate || description
 
|-
 
|-
| [[공설시장개업 ]] || 1929 || 공설시장 개업(公設市場 開業, 1929) || 公設市場 開業 || || 昭和 4年 || ||
+
| [[목포공설시장개업 ]] || 1929 || 목포공설시장 개업(木浦公設市場 開業, 1929) || 公設市場 開業 || || 昭和 4年 || ||
 
|-
 
|-
 
|}
 
|}
125번째 줄: 125번째 줄: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
{{SemanticGraph | key=목포공설시장개업}}
  
  
[[분류:목포근대문화자산아카이브]] [[분류:Actor]] [[분류:Event-사건]] [[분류:조상현]]
+
[[분류:Actor]][[분류: 사건]] [[분류:조상현]]

2024년 3월 16일 (토) 18:46 기준 최신판


Definition

공설시장 개업(木浦公設市場 開業, 1929년) 남교동 일대에는 '쌍교장터'라는 곳이 있었다. 개항 후 쌍교장터가 발전하여 남교동 일대 매립지에 건물을 지어 1929년 목포부가 경영하는 부영공설시장을 개업했다. 부설 청과물시장도 딸렸다. 목포역과 가까운 지리적 위치, 조선인 마을과 인접성 때문에 이 일대는 해방 이후까지 목포의 중심상권을 형성하였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목포공설시장개업 Event 사건 목포공설시장 개업(木浦公設市場 開業, 1929) 목포공설시장 개업 木浦公設市場 開業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목포공설시장개업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목포공설시장개업
이칭
유형 사건
설명 부영 목포공설시장 개업
시대 일제강점기
날짜 1929년
관련인물
관련단체 목포부, 목포공설시장, 쌍교장터
관련장소 전라남도 목포시
관련유물유적
관련사건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목포공설시장개업 목포공설시장
목포공설시장 쌍교장터 재래시장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목포공설시장 전라남도 목포시 목포공설시장(木浦公設市場) 木浦公設市場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spatial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koreanEra japaneseEra indexDate description
목포공설시장개업 1929 목포공설시장 개업(木浦公設市場 開業, 1929) 公設市場 開業 昭和 4年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temporal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Notes

  1. 목포시사편찬위원회, 목포시사, 1권, 2017, 목포시, 513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