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회목포지회창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dditional Attributes) |
(→Semantic Network Graph)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신간회목포지회창립|신간회 목포지회 창립(新幹會 木浦支會 創立, 1927.6.18)~]] 신간회 목포지회는 김면수(金冕洙) 이의형(李儀珩), 최경하(崔景河) 장병준(張柄俊) 조극환(曺克煥)이 준비위원이 되어 임시사무소를 죽동 삼산의원에 두고 .<ref> 조선일보,1927.5.10. </ref> 몇차례 준비위원회 회의를 가진 뒤, 6월 18일 창립했다. 이날 오후 2시부터 일반인사들에게 선전하기 위해 악대를 선두로 기 행렬을 한 뒤 4시부터 목포청년회관에서 창립대회를 개최하였다. 김면수의 사회로 김상규의 개회사, 임시의장 김명진의 등단 후, 최경하의 경과보고, 김상규의 축전낭독이 있은 뒤 회장에 김면수, 부회장에 최경하, 간사에 김철진 외 20인을 선정하고 만세삼창으로 폐회하였다. <ref> 동아일보,1927.6.23. </ref> | + | [[신간회목포지회창립|신간회 목포지회 창립(新幹會 木浦支會 創立, 1927.6.18)~]] 신간회 목포지회는 김면수(金冕洙) 이의형(李儀珩), 최경하(崔景河) 장병준(張柄俊) 조극환(曺克煥)이 준비위원이 되어 임시사무소를 죽동 삼산의원에 두고 .<ref> 조선일보,1927.5.10. </ref> 몇차례 준비위원회 회의를 가진 뒤, 6월 18일 창립했다. 이날 오후 2시부터 일반인사들에게 선전하기 위해 악대를 선두로 기 행렬을 한 뒤 4시부터 목포청년회관에서 창립대회를 개최하였다. 김면수의 사회로 김상규의 개회사, 임시의장 김명진의 등단 후, 최경하의 경과보고, 김상규의 축전낭독이 있은 뒤 회장에 김면수, 부회장에 최경하, 간사에 김철진 외 20인을 선정하고 만세삼창으로 폐회하였다. <ref> 동아일보,1927.6.23. </ref> 초대지회장을 맡은 김면수는 목포 양동교회 장로로서 목포기독청년회장, 희성유치원 원장, 동아일보 목포지국장을 지냈다. 창립대회 후 목포청년회관 앞에서 촬영한 기념사진이 남아 있다. 민족협동전선인 신간회는 1926년 11월 사회주의 사상단체인 ‘정우회’가 ‘정우회선언’을 통해 민족주의 세력과의 적극적 제휴 등 ‘방향전환론’이 그 탄생의 계기가 되었는데, 목포 출신 사회주의운동가 김영식(1899-1930)은 정우회 상임집행위원으로 활동하며 정우회 선언을 주도하였고, 1927년 2월 15일부터 3월 1일까지 동아일보 1면에 <전환기에 직면한 조선신흥운동>이란 제목의 글을 13회에 걸쳐 기고하였다. <ref> 동아일보,1927.2.15. </ref> |
−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날짜|| 1927년 6월 18일 | |날짜|| 1927년 6월 18일 | ||
|- | |- | ||
− | |관련인물|| [[김면수, 최경하, 김철진 등 | + | |관련인물|| [[김면수, 최경하, 김철진, 김영식, 배치문 등 민족, 사회주의 운동가]] |
|- | |- | ||
|관련단체|| [[신간회, 근우회, 목포청년동맹, 목포노동총동맹, 목포사회단체연합위원회]] | |관련단체|| [[신간회, 근우회, 목포청년동맹, 목포노동총동맹, 목포사회단체연합위원회]] | ||
43번째 줄: | 43번째 줄: | ||
|관련유물유적|| 목포 구 청년회관 (등록문화재 제43호) | |관련유물유적|| 목포 구 청년회관 (등록문화재 제43호) | ||
|- | |- | ||
− | |관련사건|| 신간회 목포지회 분규(1928), 목포상업학생만세시위(1929) | + | |관련사건|| 정우회 선언(1926), 신간회 목포지회 분규(1928), 목포상업학생만세시위(1929) |
|- | |- | ||
|} | |} | ||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신간회목포지회창립]] || [[신간회목포지회]] || || |
− | |||
− | |||
− | |||
− | | [[신간회목포지회 | ||
|- | |- | ||
− | | [[신간회목포지회]] || [[ | + | | [[신간회목포지회]] || [[신간회]] || || |
|- | |- | ||
− | | [[신간회목포지회]] || [[ | + | | [[신간회목포지회]] || [[근우회]] || || |
|- | |- | ||
− | | [[신간회목포지회]] || [[ | + | | [[신간회목포지회]] || [[목포청년동맹]] || || |
|- | |- | ||
+ | | [[신간회목포지회]] || [[목포노동총동맹]] || || | ||
|} | |} | ||
115번째 줄: | 112번째 줄: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 || | + | | 참고 || 우리역사넷 || 신간회 ||||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o401900 |
|- | |- | ||
|} | |} | ||
134번째 줄: | 131번째 줄: | ||
==Semantic Network Graph== | ==Semantic Network Graph== | ||
+ | {{SemanticGraph | key=신간회목포지회창립}} | ||
− | + | [[분류:Actor]][[분류: 사건]] [[분류:조상현]] |
2024년 3월 16일 (토) 18:45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신간회 목포지회 창립(新幹會 木浦支會 創立, 1927.6.18)~ 신간회 목포지회는 김면수(金冕洙) 이의형(李儀珩), 최경하(崔景河) 장병준(張柄俊) 조극환(曺克煥)이 준비위원이 되어 임시사무소를 죽동 삼산의원에 두고 .[1] 몇차례 준비위원회 회의를 가진 뒤, 6월 18일 창립했다. 이날 오후 2시부터 일반인사들에게 선전하기 위해 악대를 선두로 기 행렬을 한 뒤 4시부터 목포청년회관에서 창립대회를 개최하였다. 김면수의 사회로 김상규의 개회사, 임시의장 김명진의 등단 후, 최경하의 경과보고, 김상규의 축전낭독이 있은 뒤 회장에 김면수, 부회장에 최경하, 간사에 김철진 외 20인을 선정하고 만세삼창으로 폐회하였다. [2] 초대지회장을 맡은 김면수는 목포 양동교회 장로로서 목포기독청년회장, 희성유치원 원장, 동아일보 목포지국장을 지냈다. 창립대회 후 목포청년회관 앞에서 촬영한 기념사진이 남아 있다. 민족협동전선인 신간회는 1926년 11월 사회주의 사상단체인 ‘정우회’가 ‘정우회선언’을 통해 민족주의 세력과의 적극적 제휴 등 ‘방향전환론’이 그 탄생의 계기가 되었는데, 목포 출신 사회주의운동가 김영식(1899-1930)은 정우회 상임집행위원으로 활동하며 정우회 선언을 주도하였고, 1927년 2월 15일부터 3월 1일까지 동아일보 1면에 <전환기에 직면한 조선신흥운동>이란 제목의 글을 13회에 걸쳐 기고하였다. [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신간회목포지회창립 | Event | 사건 | 신간회 목포지회 창립(新幹會 木浦支會 創立, 1927) | 신간회 목포지회 창립 | 新幹會 木浦支會 創立, |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신간회목포지회창립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신간회목포지회창립 |
이칭 | |
유형 | 사건 |
설명 |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의 민족협동전선 |
시대 | 일제강점기 |
날짜 | 1927년 6월 18일 |
관련인물 | 김면수, 최경하, 김철진, 김영식, 배치문 등 민족, 사회주의 운동가 |
관련단체 | 신간회, 근우회, 목포청년동맹, 목포노동총동맹, 목포사회단체연합위원회 |
관련장소 | 전라남도 목포시 |
관련유물유적 | 목포 구 청년회관 (등록문화재 제43호) |
관련사건 | 정우회 선언(1926), 신간회 목포지회 분규(1928), 목포상업학생만세시위(1929)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신간회목포지회창립 | 신간회목포지회 | ||
신간회목포지회 | 신간회 | ||
신간회목포지회 | 근우회 | ||
신간회목포지회 | 목포청년동맹 | ||
신간회목포지회 | 목포노동총동맹 |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신간회목포지회 | 전라남도 목포시 | 신간회 목포지회(新幹會 木浦支會) | 新幹會 木浦支會 |
Spati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spatial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koreanEra | japaneseEra | indexDate | description |
---|---|---|---|---|---|---|---|
신간회목포지회창립 | 1927 | 신간회 목포지회 창립(新幹會 木浦支會 創立, 1927) | 新幹會 木浦支會 創立 | 昭和 2年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 |||
temporal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우리역사넷 | 신간회 |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o401900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