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일본기독교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okpo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목포양동교회(木浦陽洞敎會, 1898~ )는 1898년 5월 15일 미국 남장로교 유진벨 선교사가 한국인 조사 변...)
 
3번째 줄: 3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목포양동교회|목포양동교회(木浦陽洞敎會, 1898~ )]]는 1898년 5월 15일 미국 남장로교 유진벨 선교사가 한국인 조사 변창연과 함께 협력하여 설립한 목포와 전라남도의 최초 교회이다. 초기 오웬과 스트래퍼 선교사가 합류하여 교회와 지역 선교를 시작하였으며, 1900년 유진벨과 오웬으로 첫 당회를 구성하고 그해 여름엔 첫 성례전을 치렀다. 양동교회 초창기 세례자요 교인으로는 지원근, 마서규, 노학주, 김만실, 김현수, 임성옥, 김치도, 김윤수 등이었다. 목포양동교회는 유진벨(1,4대) 목사에 이어 오웬(2대), 레이놀즈(3대), 프레스톤(5대), 해리슨(6대) 선교사가 담임목회하였으며, 1909년 윤식명 목사가 7대 담임이며 동시에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시무하였다. 이후 담임 사역자 가운데는 일제말기 순교한 박연세 목사, 해방정국과 이후 전라남도 교회를 지도하였던 이남규 목사 등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평신도 대표라 할 장로는 1906년 임성옥을 최초로 장립하였으며, 이후 유내춘, 곽우영 등이 이었다. 예배당 건물은 당시 양동 127번지 864평 대지위에 106평짜리 600명 수용가능한 정방형 석조 건물로 지었는데, 정문 출입문과 함께 좌우에도 출입문이 있는 게 특징이다. 왼쪽 출입문 위에는 '대한융희4년'이라는 대한제국 연호와 태극기 문양이, 오른쪽 출입문 위에는 '주강생일천구백십년'이라는 문양이 각각 새겨져 있다. 건축 당시에는 1910년 완공을 목표로 하였는데, 실제는 해를 넘겨 1911년에 공사를 마쳤고, 헌당하였다. 양동교회 예배당 건물은 국가등록문화재 114호로 지정되어 있다. 목포양동교회는 교회가 부훙하고 성장하여 분립도 여럿 하였으니, 1911년 구정교회(무안군 일로면)를 시작으로 1914년 온금동교회(경동교회, 2001년 영암군 삼호면으로 이전), 1923년 목포중앙교회(2007년 옥암동으로 이전), 1927년 죽교리교회(우리예닮교회, 석현동으로 이전), 1928년 연동교회(상동으로 이전), 1934년 서부교회(새서부교회) 등이 현재까지도 각기 활동하고 있다. 목포양동교회는 1919년 3,1운동 당시 정명여학교와 함께 목포 4.8만세운동을 주도하는 한편, 일제 말기 신사참배와 교회 통폐합과정에서 갖은 수난을 겪으며 박연세 목사 등 교회 일군들이 순교를 당하기도 하였다. 해방이후 이남규 목사 등에 의해 교회가 회복되고 목포 일대의 교회도 재건하였다. 그러나 1950년대와 60년대를 거치며 한국의 장로교단 분열과 함께 목포연동교회도 갈라지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 목포양동교회는 기독교장로회 소속으로 남고 여기서 나온 성도들이 따로 목포양동제일교회(예수교장로회 통합)와 목포새한교회(예수교장로회 합동)로 각기 나뉘어지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목포와 전라남도의 어머니교회인 목포양동교회는 120년을 훨씬 넘는 역사 속에 2021년 현재 목포에만도 400여개 넘는 교회가 생겼으며, 전라남도 일대에도 숱한 기독교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ref>김양호, "목포 기독교 이야기", 세움북스, 2016, 202-209쪽.</ref>
+
[[목포일본기독교회|목포일본기독교회(木浦日本基督敎會, 1912~1945)]]는 일제시기 목포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의 기독교회이다. 1912년 8월 일본 기독교 전도국에서는 다케우치(竹內虎也) 목사를 파송, 목포의 일본인들을 위한 교회를 설립하였다. 일요일 오전엔 일요학교와 예배를 하고, 저녁에는 전도 설교회를 열어 명사 초청 강연회 중심으로 운영했다. 교세가 늘어가자 1914년 7월 더 넓은 장소로 집회소를 옮겼으며, 1922년 9월 교회 건물을 새로 지었는데, 1층은 28평의 예배실, 2층은 13평의 목사 사택으로 하였다. 1929년 경 주일학생 50여명, 주일 낮예배 25명, 밤예배 10여명 출석하였고, 영사 와카마쓰, 목포 고아의 어머니 윤학자 등을 교인으로 하여 한때는 40명의 교인이 있었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일본인들이 모두 귀국하여 교회가 자연 폐쇄되었다. 예배당 건물은 그후 2층만 없어지고 본체는 그대로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으며, 2018년 국가등록문화재 제 718-6호로 지정되어 있다. <ref>김양호, "목포 기독교 이야기", 세움북스, 2016, 202-209쪽.</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2번째 줄: 12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목포양동교회]] || Actor || 단체 || 종교 || 목포양동교회(木浦陽洞敎會, 1898~ ) || 목포양동교회 || 木浦陽洞敎會 || Mokpo YangDong Church ||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목포양동교회 ||  
+
| [[목포일본기독교회]] || Actor || 단체 || 종교 || 목포일본기독교회(木浦日本基督敎會, 1912~1945) || 목포일본기독교회 || 木浦日本基督敎會 || Mokpo Japanese Christian Church ||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목포일본기독교회 ||  
 
|-
 
|-
 
|}
 
|}
23번째 줄: 23번째 줄: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목포양동교회]]
+
| id || [[목포일본기독교회]]
 
|-
 
|-
 
|이칭||  
 
|이칭||  
31번째 줄: 31번째 줄:
 
|성격|| 종교
 
|성격|| 종교
 
|-
 
|-
|창립자|| [[유진벨]]
+
|창립자|| [[다케우치]]
 
|-
 
|-
|창립일|| 1898년 5월 15일
+
|창립일|| 1912년 8월
 
|-
 
|-
 
|변경일||  
 
|변경일||  
43번째 줄: 43번째 줄:
 
|담당업무|| 예배, 교제, 선교
 
|담당업무|| 예배, 교제, 선교
 
|-
 
|-
|소재지|| 전라남도 목포시 호남로 15
+
|소재지|| 전라남도 목포시 해안로 165번길 50
 
|-
 
|-
|관련기관|| [[목포양동제일교회]] [[목포새한교회]]
+
|관련기관||  
 
|-
 
|-
|관련인물|| [[유진벨]] [[오웬]] [[레이놀즈]] [[윤식명]] [[임성옥]]  [[유내춘]], [[박연세]], [[이남규]]
+
|관련인물|| [[와까마스]] [[윤학자]]  
 
|-
 
|-
|관련단체|| [[온금동교회]] [[중앙교회]] [[죽교리교회]]  [[연동교회]] [[서부교회]]
+
|관련단체||  
 
|-
 
|-
|관련사건|| [[목포_4.8만세운동]]
+
|관련사건||  
 
|-
 
|-
 
|}
 
|}
60번째 줄: 60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목포양동교회]] || [[유진벨]]  || [[founder]]  || 설립자, 1대, 4대 담임목사
+
| [[목포일본기독교회]] || [[다케우치]]  || [[founder]]  || 설립자
|-
 
| [[목포양동교회]] || [[오웬]]  ||  || 2대 담임목사
 
|-
 
| [[목포양동교회]] || [[레이놀즈]]  ||  || 3대 담임목사
 
|-
 
| [[목포양동교회]] || [[프레스톤]]  ||  || 5대 담임목사
 
|-
 
| [[목포양동교회]] || [[해리슨]]  ||  || 6대 담임목사
 
|-
 
| [[목포양동교회]] || [[윤식명]]  ||  || 7대 담임목사(한국인 최초 담임)
 
|-
 
| [[목포양동교회]] || [[박연세]]  ||  || 11대 담임목사, 일제시대 순교
 
|-
 
| [[목포양동교회]] || [[이남규]]  ||  || 14대 담임목사, 해방이후 교회 회복
 
|-
 
| [[목포양동교회]] || [[임성옥]]  ||  || 최초 장로 장립
 
|-
 
| [[목포양동교회]] || [[구정교회]] ||  || 1911년 분립
 
|-
 
| [[목포양동교회]] || [[온금동교회]] ||  || 1914년 분립
 
|-
 
| [[목포양동교회]] || [[중앙교회]] ||  || 1923년 분립
 
|-
 
| [[목포양동교회]] || [[죽교리교회]] ||  || 1927년 분립
 
|-
 
| [[목포양동교회]] || [[연동교회]] ||  || 1928년 분립
 
|-
 
| [[목포양동교회]] || [[서부교회]] ||  || 1934년 분립
 
|-
 
| [[목포양동교회]] || [[목포양동제일교회]] ||  || 1953년 교단분열로 각기 교회가 나뉨
 
|-
 
| [[목포양동교회]] || [[목포새한교회]] ||  || 1960년 교단 분열로 각기 교회가 나뉨
 
 
|-
 
|-
 
|}
 
|}
103번째 줄: 71번째 줄: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목포양동교회|| 전라남도 목포시 || 목포양동교회 || 木浦陽洞敎會 || 34.7956642 || 126.3801825 ||  || 목포 첫 교회 
+
|목포일본기독교회|| 전라남도 목포시 || 목포일본기독교회 || 木浦日本基督敎會 || 34.78666 || 126.38149 ||  ||  
 
|}
 
|}
  
113번째 줄: 81번째 줄: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koreanEra || japaneseEra || indexDate || description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koreanEra || japaneseEra || indexDate || description
 
|-
 
|-
| [[목포양동교회_설립]] || 1898 ||  목포양동교회 설립 || 木浦陽洞敎會 設立 || 光武 2년 ||  ||  || 1898년 5월 15일 유진벨에 의해 설립
+
| [[목포일본기독교회_설립]] || 1912 ||  목포일본기독교회 설립 || 木浦日本基督敎會 設立 || 大正 원년 ||  ||  ||  
 
|-
 
|-
| [[목포양동교회_당회_조직]] || 1900 ||  목포양동교회 당회 조직 || 木浦陽洞敎會 堂會 組織 || 光武 4년 ||  ||  || 1900년 유진벨과 오웬으로 당회 조직하고 성례 시행
+
| [[목포일본기독교회_예배당_건축]] || 1922 ||  목포일본기독교회 예배당 건축 || 木浦日本基督敎會 禮拜堂 建築  || || 大正 11년 ||  || 국가등록문화재 718-6호
 
|-
 
|-
| [[목포양동교회_예배당_건축]] || 1911 ||  목포양동교회 예배당 건축 || 木浦陽洞敎會 禮拜堂 建築  ||  || 明治 44년 ||  || 국가등록문화재 114호
+
| [[목포일본기독교회_폐쇄]] || 1945 ||  목포일본기독교회 폐쇄 || 木浦日本基督敎會 閉鎖 ||  || 昭和 20년‎ ||  ||  
 
|-
 
|-
 
|}
 
|}
126번째 줄: 94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목포양동교회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6630
+
| 해설 || 위키백과 || 구 목포일본기독교회 ||  || https://ko.wikipedia.org/wiki/구_목포_일본기독교회
 
|-
 
|-
 
|}
 
|}

2021년 2월 26일 (금) 12:10 판


Definition

목포일본기독교회(木浦日本基督敎會, 1912~1945)는 일제시기 목포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의 기독교회이다. 1912년 8월 일본 기독교 전도국에서는 다케우치(竹內虎也) 목사를 파송, 목포의 일본인들을 위한 교회를 설립하였다. 일요일 오전엔 일요학교와 예배를 하고, 저녁에는 전도 설교회를 열어 명사 초청 강연회 중심으로 운영했다. 교세가 늘어가자 1914년 7월 더 넓은 장소로 집회소를 옮겼으며, 1922년 9월 교회 건물을 새로 지었는데, 1층은 28평의 예배실, 2층은 13평의 목사 사택으로 하였다. 1929년 경 주일학생 50여명, 주일 낮예배 25명, 밤예배 10여명 출석하였고, 영사 와카마쓰, 목포 고아의 어머니 윤학자 등을 교인으로 하여 한때는 40명의 교인이 있었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일본인들이 모두 귀국하여 교회가 자연 폐쇄되었다. 예배당 건물은 그후 2층만 없어지고 본체는 그대로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으며, 2018년 국가등록문화재 제 718-6호로 지정되어 있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목포일본기독교회 Actor 단체 종교 목포일본기독교회(木浦日本基督敎會, 1912~1945) 목포일본기독교회 木浦日本基督敎會 Mokpo Japanese Christian Church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목포일본기독교회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목포일본기독교회
이칭
유형 단체
성격 종교
창립자 다케우치
창립일 1912년 8월
변경일
해산일
주요업무 기독교 예배 선교
담당업무 예배, 교제, 선교
소재지 전라남도 목포시 해안로 165번길 50
관련기관
관련인물 와까마스 윤학자
관련단체
관련사건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목포일본기독교회 다케우치 founder 설립자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목포일본기독교회 전라남도 목포시 목포일본기독교회 木浦日本基督敎會 34.78666 126.38149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koreanEra japaneseEra indexDate description
목포일본기독교회_설립 1912 목포일본기독교회 설립 木浦日本基督敎會 設立 大正 원년
목포일본기독교회_예배당_건축 1922 목포일본기독교회 예배당 건축 木浦日本基督敎會 禮拜堂 建築 大正 11년 국가등록문화재 718-6호
목포일본기독교회_폐쇄 1945 목포일본기독교회 폐쇄 木浦日本基督敎會 閉鎖 昭和 20년‎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위키백과 구 목포일본기독교회 https://ko.wikipedia.org/wiki/구_목포_일본기독교회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김양호 「목포 기독교 이야기」 세움북스 2016

Notes

  1. 김양호, "목포 기독교 이야기", 세움북스, 2016, 202-209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