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완주 화암사 괘불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차 수정)
59번째 줄: 59번째 줄:
 
''
 
''
 
====2차 수정====
 
====2차 수정====
 +
괘불은 법당 밖에서 큰 법회와 같은 의식을 행할 때 걸어놓는 예배용 그림이다.
 +
 +
화암사의 괘불은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하고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협시로 등장하는 보기 드문 형식의 불화이다. 1917년에 조성되었으며, 화기(畵記)가 없어 제작자나 그림의 조성 이유 등은 알 수 없다. 크기는 가로 4.72m, 세로 7.3m이다.
 +
 +
비로자나불은 불교의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부처이다. 왼손 집게손가락을 오른손으로 감싸 쥔 손모양은 비로자나불을 상징하는 특징이다.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보관을 쓰고 있으며, 손에는 각각 푸른 연꽃과 붉은 연꽃을 들고 있다. 하의도 연꽃과 같은 색으로 채색하였다. 화면 상단에는 부처의 가장 뛰어난 제자인 가섭과 아난 등 4존의 나한, 2존의 천왕 및 타방세계의 부처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
 +
협시인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크게 그려진 점과 치켜 올라간 눈매로 개성 있게 묘사된 삼존불의 얼굴 표현 등은 이 괘불의 특징이다. 또한 등장인물을 입체감 있게 표현하고 농담의 변화를 주어 채색하는 등 서양 화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새로운 기법을 사용한 점이 주목된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2021년 5월 13일 (목) 01:29 판


완주 화암사 괘불도
Hanging Painting of Hwaamsa Temple, Wanju
완주 화암사 괘불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완주 화암사 괘불도
영문명칭 Hanging Painting of Hwaamsa Temple, Wanju
한자 完州 花巖寺 掛佛圖
주소 전라북도 완주군 화암사길 271 (경천면, 화암사)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제625호
지정일 2014년 10월 29일
분류 등록문화재/기타/동산
시대 일제강점기
수량/면적 1점
웹사이트 완주 화암사 괘불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없음.

수정 국문

초고

괘불은 사찰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할 때 야외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데 쓰였다.

화암사의 괘불은 중앙에 비로자나불이 있고,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좌우에서 협시하고 있는 보기 드문 도상의 불화이다. 이 그림은 1917년에 조성되었으며, 화기(畵記)가 없어 제작자나 그림의 조성 이유 등은 알 수 없다. 괘불의 크기는 세로 7.3m, 세로 4.72m이다.

중앙의 비로자나불은 왼손 집게손가락을 세우고 오른손으로 감싸 쥔 손모양을 하고 있으며, 청색의 두광이 표현되어 있다.

좌우 협시인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보관을 쓰고 있으며, 엄지와 중지를 맞댄 채 한 손은 가슴 위로 올리고 다른 한 손은 배 근처에 두었는데, 손의 위치는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왼쪽의 문수보살은 푸른 연꽃을, 오른쪽의 보현보살은 붉은 연꽃을 들었으며, 하의도 연꽃과 동일한 색으로 채색하였다.

삼신불의 뒤에는 석가모니의 가장 뛰어난 제자인 가섭과 아난이 있고, 2위의 나한과 천왕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비로자나불의 두광 근처에는 2위의 화불이 그려져 있다.

이 불화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근대기 불화에 수용된 서양 화법을 적극 수용하여 등장인물들을 입체감 있게 표현했으며, 수채화 기법과 유사한 채색 방법[설채법]을 활용하는 등 전통적 요소와 근대적 요소를 함께 적용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1차 수정

괘불은 법당 밖에서 큰 법회와 같은 의식을 행할 때 걸어놓는 예배용 그림이다.

화암사의 괘불은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하고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협시로 하는 보기 드문 형식의 불화이다. 1917년에 조성되었으며, 화기(畵記)가 없어 제작자나 그림의 조성 이유 등은 알 수 없다. 크기는 가로 4.72m, 세로 7.3m이다.

비로자나불은 불교의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부처이다. 왼손 집게손가락을 오른손으로 감싸 쥔 손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는 비로자나불을 상징하는 특징이다.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보관을 쓰고 있으며, 손에는 각각 푸른 연꽃과 붉은 연꽃을 들고 있다. 하의도 연꽃과 동일한 색으로 채색하였다. 화면 상단에는 부처의 가장 뛰어난 제자인 가섭과 아난 등 4존의 나한, 2존의 천왕, 화불 등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괘불도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근대화 시기 불화에 수용된 서양 화법을 적극 수용하여 등장인물들을 입체감 있게 표현하였다. 또한 물감의 농담을 활용해 채색하는 등 전통적 요소와 근대적 요소를 함께 적용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비로자나불은 불교의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부처이다. 왼손 집게손가락을 오른손으로 감싸 쥔 손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는 비로자나불을 상징하는 특징이다. -> 왼손 집게손가락을 오른손으로 감싸 쥔 비로자나불은 불교의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부처이다.
    • 이 괘불도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근대화 시기 불화에 수용된 서양 화법을 적극 수용하여 등장인물들을 입체감 있게 표현하였다. 또한 물감의 농담을 활용해 채색하는 등 전통적 요소와 근대적 요소를 함께 적용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 이 괘불도는 등장인물을 입체감 있게 표현하고 물감의 농담을 활용해 채색하는 등 전통 불화에 근대기 서양 화법이 가미되어 있다.
  2. 분야별 자문위원 2
    • 화암사 괘불이 지닌 특징을 좀 더 부각시켜 다음과 같이 보완함 -> 괘불은 법당 밖에서 큰 법회나 재를 올릴 때 걸어놓는 예배용 그림이다.
      화암사의 괘불은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하고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협시로.등장하고 있으며, 1917년에 조성되었다. 화기(畵記)가 없어 제작자나 그림의 조성 이유 등은 알 수 없다. 크기는 가로 4.72m, 세로 7.3m이다.
      비로자나불은 불교의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부처이다. 왼손 집게손가락을 오른손으로 감싸 쥔 손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는 비로자나불을 상징하는 특징이다.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보관을 쓰고 있으며, 손에는 각각 푸른 연꽃과 붉은 연꽃을 들고 있다. 하의도 연꽃과 같은 색으로 채색하였다. 화면 상단에는 부처의 가장 뛰어난 제자인 가섭과 아난 등 4존의 나한, 2존의 천왕 및 타방세계의 부처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괘불 도상은 봉선사 괘불도(1735년)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변형이 있는데, 화암사 괘불은 특히 19세기말에 유행한 비로자나삼존도상이다. 그러나 문수·보현협시보살이 마치 비로자나삼신도의 화신·보신 협시불처럼 크게 묘사된 점, 두 천왕이 신중이나 천신처럼 독특하게 묘사된 점, 치켜올라간 눈매로 개성있게 묘사된 삼존불의 얼굴묘사 등은 화암사 괘불만의 특징이며, 특히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근대화 시기 불화에 수용된 서양 화법을 적극 수용하여 등장인물들을 입체감 있게 표현하고 또한 채색에 농담의 변화를 주는 등.새로운 기법을 적용한 점이 주목된다.
  3.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왼손 집게손가락을 오른손으로 감싸 쥔 손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는 비로자나불을 상징하는 특징이다. -> 왼손 집게손가락을 오른손으로 감싸 쥔 손 모양은 비로자나불을 상징하는 특징이다.

2차 수정

괘불은 법당 밖에서 큰 법회와 같은 의식을 행할 때 걸어놓는 예배용 그림이다.

화암사의 괘불은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하고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협시로 등장하는 보기 드문 형식의 불화이다. 1917년에 조성되었으며, 화기(畵記)가 없어 제작자나 그림의 조성 이유 등은 알 수 없다. 크기는 가로 4.72m, 세로 7.3m이다.

비로자나불은 불교의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부처이다. 왼손 집게손가락을 오른손으로 감싸 쥔 손모양은 비로자나불을 상징하는 특징이다.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보관을 쓰고 있으며, 손에는 각각 푸른 연꽃과 붉은 연꽃을 들고 있다. 하의도 연꽃과 같은 색으로 채색하였다. 화면 상단에는 부처의 가장 뛰어난 제자인 가섭과 아난 등 4존의 나한, 2존의 천왕 및 타방세계의 부처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협시인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크게 그려진 점과 치켜 올라간 눈매로 개성 있게 묘사된 삼존불의 얼굴 표현 등은 이 괘불의 특징이다. 또한 등장인물을 입체감 있게 표현하고 농담의 변화를 주어 채색하는 등 서양 화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새로운 기법을 사용한 점이 주목된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완주_화암사_괘불도 Object 완주_화암사_괘불도
완주_화암사 Place 완주_화암사
비로나자불 Concept 비로나자불
문수보살 Concept 문수보살
보현보살 Concept 보현보살
가섭존자 Concept 가섭존자
아난존자 Concept 아난존자
나한 Concept 나한
천왕 Concept 천왕
설채법 Concept 설채법
근대기_불화 Concept 근대기_불화
괘불 Concept 괘불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완주_화암사_괘불도 완주_화암사 currentLocation
완주_화암사_괘불도 괘불 type
완주_화암사_괘불도 비로나자불 depicts
완주_화암사_괘불도 문수보살 depicts
완주_화암사_괘불도 보현보살 depicts
완주_화암사_괘불도 가섭존자 depicts
완주_화암사_괘불도 아난존자 depicts
완주_화암사_괘불도 나한 depicts
완주_화암사_괘불도 천왕 depicts
완주_화암사_괘불도 설채법 isRelatedTo
완주_화암사_괘불도 근대기_불화 isRelatedTo

참고자료

  • 완주 화암사 괘불도, 디지털완주문화대전 http://wanju.grandculture.net/wanju/toc/GC07000376
  • 산속 보물을 찾아서, 완주 화암사, 전북 완주군, 대한민국 구석구석, 2014.12.17.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rem_detail.do?cotid=b502a162-237a-4d8a-89a9-00d864fd0bc4&temp= → 이미지 출처 ; 이미지 내 메모에 조성연대(1917년)와 그림 크기 적혀있음. / 2014년 11월, 화암사에 있는 탱화 한 점이 문화재로 새롭게 등록되었다. 법당 밖에서 행사를 할 때 걸어놓는 대형 불화인 괘불도이다. 이 괘불도는 불교 용어로 법신(法身, 진리 그 자체)을 뜻하는 비로자나불이 그려진 보기 드문 탱화이다. 채색에 서양화법이 접목된 근대적 불화 기법을 보여준다. 괘불도는 현재 법당 안에 모셔두고 일반에게 공개하지 않는다. 그 대신 사찰 입구 우화루에 특수 촬영한 사진이 걸려 있다. 촬영을 위해 괘불도를 꺼내 펼쳐든 것이 20여 년 만의 일이었다.
  • 근대 불교유산 21건 한꺼번에 등록문화재로, 법보신문, 2014.8.28. https://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3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