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2번째 줄: 2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임연재 종택은 조선 중기 때 문신이었던 배삼익(裵三益, 1534~1588, 호: 임연재) 가문의 종택으로, 1558년에 지어졌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임연재 종택은 원래 월곡면 도목리에 있었으나 안동댐을 건설하면서 1973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
임연재종택은 흥해배씨 안동 입향조1)인 백죽당(栢竹堂) 배상지(裵尙志,1351~1413) 가문의 종가로 조선 중기 때 문신이었던 배삼익(裵三益, 1534~1588, 호: 임연재)을 불천위(不遷位)2)로 모시고 있다. 배삼익의 부친 배천석(裵天錫, 1511~1573)이 1558년에 건립한 것이다. 임연재종택은 원래 월곡면 도목리에 있었으나 안동댐을 건설하면서 1973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배삼익은 이황(李滉)의 제자로 1564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했고 황해도 관찰사를 지내기도 했다. 관찰사 시절 흉년을 구하기 위해 병든 몸으로 열심히 일하다 병이 깊어 사직하고, 돌아오는 길에 사망하였다. 글씨를 잘 쓰기로 유명하여 장서가로 후세까지 이름을 남겼으며, 필법이 힘찼다.
+
배삼익은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대사성과 황해도관찰사를 지냈다. 관찰사 시절 흉년을 구하기 위해 병든 몸으로 열심히 일하다 병이 깊어 사직하고, 돌아오는 길에 사망하였다. 책을 많이 수집한 장서가였으며 초서에 능한 서예가였다.
  
현재 종택에는 안채와 별당인 금역당, 사당 등 3개의 건물이 남아 있다. ‘금역당(琴易堂)’이란 이름은 배삼익의 아들인 배용길(裵龍吉)의 호에서 따왔다. 금역당 안에 ‘임연재’, ‘도목촌(桃木村)’이란 현판이 걸려 있는데, 모두 이황이 직접 썼다.
+
현재 종택에는 안채와 별당, 사당 등 3개의 건물이 남아 있다. 금역당(琴易堂)이라는 당호(堂 號)는 배삼익의 아들이며, 문과에 급제하여 충청도도사를 지낸 임진왜란 의병장 배용길(裵龍吉, 1556~1609)의 호에서 따왔다.
  
 
===영문===
 
===영문===
 
'''Imyeonjae Head House of the Heunghae Bae Clan, Andong'''
 
'''Imyeonjae Head House of the Heunghae Bae Clan, Andong'''
  
This house was established in 1558 by the civil official Bae Sam-ik (1534-1588, pen name: Imyeonjae) of the Heunghae Bae clan. It serves as the head house of his descendants. A head house is a residence passed down among the male successors of a family lineage.
+
This is the head house of the family of Bae Sang-ji (1351-1413), who was the first person from the Heunghae Bae Clan to settle in the Andong area. A head house is a residence passed down among the male successors of a family lineage.
  
Bae Sam-ik was a student of the renowned scholar Yi Hwang (1501-1570).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564 and later served as an envoy to the Ming China and as governor of Hwanghae-do Province. While serving as governor, there was a famine in the region. Even though he was ill, he worked tirelessly to help the region recover from the famine. However, his illness worsened, and he was forced to resign from his post. He died on his journey home. Bae Sam-ik was also known for his skill in calligraphy.
+
This house was established in 1558 by Bae Cheon-seok (1511-1573), the 6th-generation descendant of Bae Sang-ji. Originally, it was located in Domok-ri, Wolgok-myeon, but was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in 1973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Andong Dam. It consists of a main quarters, detached quarters, and shrine.
  
This house was originally located in Domok-ri, Wolgok-myeon but was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in 1973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Andong Dam. It consists of a main quarters, detached quarters, and shrine.
+
The name of this house Imyeonjae (“Hall of Overlooking the Pond”) came from the pen name of Bae Sam-ik (1534-1588), a son of Bae Cheon-seok and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Bae Sam-ik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564 and later served as headmaster of the National Academy and as governor of Hwanghae-do Province. While serving as governor, there was a famine in the region. Even though he was ill, he worked tirelessly to help the region recover from the famine. However, as his illness worsened, he resigned from his post and died on his journey home. Bae Sam-ik was also known for his book collection and excellent skill in calligraphy.
  
The detached quarters is named Geumyeokdang, meaning “Hall of the Changing Zither,which is the pen name of Bae Sam-ik’s son Bae Yeong-gil (1556-1609). There are plaques hanging in the hall inscribed with the names of the house and village, namely Imyeonjae (“Hall of Overlooking the Pond”) and Domokchon (“Village of the Peach Tree”), that were calligraphed by Yi Hwang.
+
The detached quarters is called Geumyeokdang, meaning “Hall of the Changing Zither.It was named after the pen name of Bae Yong-gil (1556-1609), who was Bae Sam-ik’s son and a leader of civilian arm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배삼익(裵三益, 1534~1588, 호: 임연재) 가문의 종택으로, 1558년에 지어졌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
임연재종택은 흥해배씨 안동 입향조인 배상지(1351-1413)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배삼익은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년)의 제자로 1564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했고 황해도 관찰사를 지내기도 했다. 관찰사 시절 흉년을 구하기 위해 병든 몸으로 열심히 일하다 돌아오는 길에 사망하였다. 글씨를 잘 쓰기로 유명했다.
+
배상지의 6대손인 배천석(1511-1573)이 1558년에 건립하였다. 원래는 월곡면 도목리에 있었으나 안동댐을 건설하면서 1973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현재 종택에는 안채, 별당, 사당 등 3개의 건물이 남아 있다.
  
임연재종택은 원래 월곡면 도목리에 있었으나 안동댐을 건설하면서 1973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현재 종택에는 안채, 별당, 사당 등 3개의 건물이 남아 있다.  
+
집의 이름은 배천석의 아들이자 조선시대의 문신인 배삼익(1534-1588, 호: 임연재)의 호에서 따온 것이다. 배삼익은 1564년 문과에 급제한 뒤 성균관 대사성과 황해도 관찰사 등을 지냈다. 관찰사 시절 흉년을 구하기 위해 병든 몸으로 열심히 일하다 돌아오는 길에 사망하였다. 책을 많이 수집한 장서가였으며, 글씨를 잘 쓰기로 유명했다.
  
별채는 배삼익의 아들인 배용길(裵龍吉, 1556~1609)의 호에서 따온 건물이다. 금역당 안에 ‘임연재’, ‘도목촌(桃木村)’이란 현판이 걸려 있는데, 모두 이황이 직접 쓴 글씨이다.
+
별채는 배삼익의 아들이자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었던 배용길(1556-1609)의 호를 따서 금역당이라고 부른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배삼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6795&cid=46622&categoryId=46622
+
*배삼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1876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http://www.imyeonjae.co.kr/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http://www.imyeonjae.co.kr/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1&searchCondition=%ed%9d%a5%ed%95%b4%eb%b0%b0%ec%94%a8+%ec%9e%84%ec%97%b0%ec%9e%ac%ec%a2%85%ed%83%9d&searchCondition2=&s_kdcd=&s_ctcd=&ccbaKdcd=21&ccbaAsno=00250000&ccbaCtcd=37&ccbaCpno=2113700250000&ccbaCndt=&ccbaLcto=&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5_1_1_0
+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0250000
 
 
  
  

2021년 5월 10일 (월) 12:14 판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Imyeonjae Head House of the Heunghae Bae Clan, Andong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영문명칭 Imyeonjae Head House of the Heunghae Bae Clan, Andong
한자 安東 興海裵氏 臨淵齋宗宅
주소 경북 안동시 향교1길 51 (송천동)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5호
지정일 1973년 8월 31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사우
수량/면적 3동
웹사이트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임연재종택은 흥해배씨 안동 입향조1)인 백죽당(栢竹堂) 배상지(裵尙志,1351~1413) 가문의 종가로 조선 중기 때 문신이었던 배삼익(裵三益, 1534~1588, 호: 임연재)을 불천위(不遷位)2)로 모시고 있다. 배삼익의 부친 배천석(裵天錫, 1511~1573)이 1558년에 건립한 것이다. 임연재종택은 원래 월곡면 도목리에 있었으나 안동댐을 건설하면서 1973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배삼익은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대사성과 황해도관찰사를 지냈다. 관찰사 시절 흉년을 구하기 위해 병든 몸으로 열심히 일하다 병이 깊어 사직하고, 돌아오는 길에 사망하였다. 책을 많이 수집한 장서가였으며 초서에 능한 서예가였다.

현재 종택에는 안채와 별당, 사당 등 3개의 건물이 남아 있다. 금역당(琴易堂)이라는 당호(堂 號)는 배삼익의 아들이며, 문과에 급제하여 충청도도사를 지낸 임진왜란 의병장 배용길(裵龍吉, 1556~1609)의 호에서 따왔다.

영문

Imyeonjae Head House of the Heunghae Bae Clan, Andong

This is the head house of the family of Bae Sang-ji (1351-1413), who was the first person from the Heunghae Bae Clan to settle in the Andong area. A head house is a residence passed down among the male successors of a family lineage.

This house was established in 1558 by Bae Cheon-seok (1511-1573), the 6th-generation descendant of Bae Sang-ji. Originally, it was located in Domok-ri, Wolgok-myeon, but was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in 1973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Andong Dam. It consists of a main quarters, detached quarters, and shrine.

The name of this house Imyeonjae (“Hall of Overlooking the Pond”) came from the pen name of Bae Sam-ik (1534-1588), a son of Bae Cheon-seok and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Bae Sam-ik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564 and later served as headmaster of the National Academy and as governor of Hwanghae-do Province. While serving as governor, there was a famine in the region. Even though he was ill, he worked tirelessly to help the region recover from the famine. However, as his illness worsened, he resigned from his post and died on his journey home. Bae Sam-ik was also known for his book collection and excellent skill in calligraphy.

The detached quarters is called Geumyeokdang, meaning “Hall of the Changing Zither.” It was named after the pen name of Bae Yong-gil (1556-1609), who was Bae Sam-ik’s son and a leader of civilian arm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영문 해설 내용

임연재종택은 흥해배씨 안동 입향조인 배상지(1351-1413)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배상지의 6대손인 배천석(1511-1573)이 1558년에 건립하였다. 원래는 월곡면 도목리에 있었으나 안동댐을 건설하면서 1973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현재 종택에는 안채, 별당, 사당 등 3개의 건물이 남아 있다.

집의 이름은 배천석의 아들이자 조선시대의 문신인 배삼익(1534-1588, 호: 임연재)의 호에서 따온 것이다. 배삼익은 1564년 문과에 급제한 뒤 성균관 대사성과 황해도 관찰사 등을 지냈다. 관찰사 시절 흉년을 구하기 위해 병든 몸으로 열심히 일하다 돌아오는 길에 사망하였다. 책을 많이 수집한 장서가였으며, 글씨를 잘 쓰기로 유명했다.

별채는 배삼익의 아들이자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었던 배용길(1556-1609)의 호를 따서 금역당이라고 부른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