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김씨 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700250000 안동김씨 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700250000 안동김씨 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안동김씨 종택
 
|대표명칭=안동김씨 종택
|영문명칭=
+
|영문명칭=Head House of the Andong Kim Clan
 
|한자=安東金氏 宗宅
 
|한자=安東金氏 宗宅
|주소=경북 안동시 풍산읍 장태골길 28 (소산리)
+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장태골길 28 (소산리)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25호
 
|지정번호=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25호
21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이 건물은 조선 성종(成宗) 때 양소당(養素堂) 김영수(金永銖, 1446~1502)가 지었다고 한다. 김영수는 자(字)가 적옹(積翁), 호(號)는 양소당이며 태사(太師) 김선평(金宣平)의 후손으로 사헌부 장령을 역임하였다. 안동김씨 소산입향조인 비안공 삼근의 손자이다.  
+
김씨 종택은 조선 전기 문신이었던 양소당 김영수(養素堂 金永銖, 1446~1502)의 종갓집이다. 이 집이 위치한 소산리는 김영수의 할아버지인 김삼근(金三近, 1390~1465)이 15세기경에 입향한 이래 안동 김씨 집성촌이 되었다.
  
건물의 구성은 사랑채, 중문간채, 안채로 구성된 ‘口’자형 몸채가 있고 그 오른쪽에 사당이 있다. 몸채의 왼쪽에 담을 쌓아 안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독립된 외부공간을 마련하였다.
+
김영수는 어려서부터 무예가 출중하였고, 음서*로 벼슬에 나가 의금부 도사, 사헌부 장령, 영천군수 등을 지냈다. 김영수의 아들은 평양부 서윤을 지낸 김번(金璠, 1479~1544)이고, '''고손'''은 병자호란 때 끝까지 맞서 싸울 것을 주장하였던 예조판서 김상헌(金尙憲, 1570~1652)으로, 이후 김영수의 후손들은 조선 후기 최대의 문벌로 성장하였다.  
  
사랑채는 2칸의 사랑방과 2칸의 대청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고 뒷편에 1/4칸 규모의 수납공간과 2칸 규모의 부속방이 있다.
+
안동 김씨 종택은 ‘ㅁ’자형의 기와집으로 남서향이다. 대문은 없으며 사랑채와 중문간채, 안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 오른쪽 뒤편에는 사당이 있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각각 안방과 건넌방이 있고, 왼쪽의 안방 앞에는 툇마루를 두었다. 사랑채는 왼쪽에 방을 두었고, 오른쪽은 대청으로 개방하였다. 사랑채와 대청 사이에는 들문을 달아 필요할 때 공간을 넓힐 수 있게 하였다.
  
겹집으로 구성된 안채는 2칸의 안방과 대청이 있고 안방 앞에는 툇마루가 있고 그 위에 벽장이 있다. 대청 옆에 다락이 있다. 이러한 형식은 이 지역에서 나타나는 유형이다.
+
----
 +
* 음서(蔭敍):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공을 세웠거나 높은 벼슬을 한 양반의 자손을 과거시험 없이 관리로 채용하는 제도.
 +
*<font color="tomato">김영수 - 김번 - 김생해 - 김극효 - 김상헌 </font>
  
===수정 국문===
+
===영문===
====초고====
+
'''Head House of the Andong Kim Clan'''
이 집은 조선 성종 대의 관료 양소당 김영수(養素堂 金永銖, 1446~1502)의 고택이다. 김영수의 본관은 안동이며, 안동김씨의 시조이자 고려의 개국공신인 김선평(金宣平)의 11대손이다. 김영수의 현손(고손)에 이르러 척화의 상징 김상용(金尙容, 1561~1637) · 김상헌(金尙憲, 1570~1652) 형제가 나왔으며, 그로부터 2, 3대 후인 김수항(金壽恒 1629~1689)-김창협(金昌協 1651~1708) 부자를 거치면서 안동김씨는 조선 후기 최대의 문벌로 성장하였다. 이곳을 안동김씨종택이라 하는 이유이다.
 
  
김영수는 한성부 판관을 지낸 아버지 김계권(金係權, ?~1458)의 5남 중 막내아들로 한양에서 태어났다. 13세에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어머니 예천권씨를 따라 이곳으로 내려왔다. 음서로 벼슬에 나가 의금부 도사, 사헌부 장령, 영천군수 등을 지냈다. 1495년에 형들과 함께 88세의 노모를 위해 정자를 지었는데, 그것이 인근 동오봉에 있는 삼구정(三龜亭)이다.
+
This is the head house of the family of Kim Yeong-su (1446-1502, pen name: Yangseodang),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A head house is a residence passed down among the male successors of a family lineage. Sosan-ri Village, where the house is located, has been a clan village of the Andong Kim clan ever since Kim Yeong-su’s grandfather Kim Sam-geun (1390-1465) moved there in the 15th century.
  
안동김씨종택은 ㅁ자형의 기와집으로 남서향이다. 대문은 없으며 사랑채와 중문간채, 안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 우측 뒤편에는 사당이 있다. 사랑채는 정면 4칸으로 왼쪽 2칸에는 방을 두었고, 오른쪽 2칸은 대청으로 개방하였다. 4칸의 사랑채 앞으로 툇마루를 냈다. 안채도 각각 2칸의 안방과 대청이 있고, 안방 앞에는 툇마루를 냈다. 사랑채 들문에서 조선 후기 양식이 나타나는 것을 보아 지금의 집은 후대에 다시 지은 것으로 보인다.
+
Kim Yeong-su demonstrated skill in martial arts at an early age. In recognition of his ancestor’s merits, he was given an official post without taking the state examination. His great-great-grandson Kim Sang-heon (1570-1652) served as minister of rites. The clan eventually beca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milie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1차 수정====
+
The house faces southwest and has no main gate. All the buildings have tiled roofs. The residential area of the house consists of a men’s quarters, gate quarters, and a women’s quarters, which together form a square layout with a courtyard in the center. There is also a shrine at the back to the right of the women’s quarters. The women’s quarters features a wooden-floored hall in the center with an underfloor-heated room on either side. The main room on the left has a narrow wooden veranda in front of it. The men’s quarters consists of an underfloor-heated room to the left and a wooden-floored hall to the right, which are separated by liftable doors and can be joined into a single space when necessary.
이 집은 조선 전기의 문신 양소당 김영수(養素堂 金永銖, 1446~1502)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이 집이 위치한 소산리는 김영수의 할아버지인 김삼근(金三近, 1390~1465)이 15세기 경에 입향한 이래 안동김씨 집성촌이 되었다.
 
  
김영수는 어려서부터 무예가 출중하였고, 음서*로 벼슬에 나가 의금부 도사, 사헌부 장령, 영천군수 등을 지냈다. 김영수의 아들은 평양부 서윤을 지낸 김번(金璠, 1479~1544)이고, 증손은 병자호란 때 끝까지 맞서 싸울 것을 주장하였던 예조판서 김상헌(金尙憲, 1570~1652)으로, 이후 김영수의 후손들은 조선 후기 최대의 문벌로 성장하였다.  
+
===영문 해설 내용===
 +
이 집은 조선시대의 문신 김영수(1446~1502, 호: 양소당)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이란 한 집안의 종가가 대대로 사는 집이다. 이 집이 위치한 소산리는 김영수의 할아버지인 김삼근(1390-1465)이 15세기에 입향한 이래 안동김씨 집성촌이 되었다.
  
안동김씨종택은 ㅁ자형의 기와집으로 남서향이다. 대문은 없으며 사랑채와 중문간채, 안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 우측 뒤편에는 사당이 있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각각 안방과 건넌방이 있고, 왼쪽의 안방 앞에는 툇마루를 두었다. 사랑채는 왼쪽에 방을 두었고, 오른쪽은 대청으로 개방하였다. 사랑채와 대청 사이에는 들문을 달아 필요할 때 공간을 확장할 수 있게 하였다.
+
김영수는 어려서부터 무예가 출중하였고, 뛰어난 공덕을 세운 조상 덕분에 과거시험을 보지 않고 벼슬길에 올랐다. 김영수의 고손은 예조판서를 지낸 김상헌(1570-1652)이며, 이후 이 가문은 조선 후기 최대의 문벌로 성장하였다.
----
+
 
* 음서(蔭敍):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공을 세웠거나 높은 벼슬을 한 양반의 자손을 과거시험 없이 관리로 채용하는 제도.
+
이 집은 남서향의 기와집으로, 대문은 없으며 사랑채와 중문간채, 안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안채 오른쪽 뒤편에는 사당이 있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각각 안방과 건넌방이 있고, 왼쪽의 안방 앞에는 툇마루를 두었다. 사랑채는 왼쪽에 방을 두었고, 오른쪽은 대청이 있다. 사랑방과 대청 사이에는 들문을 달아 필요할 때 공간을 확장할 수 있게 하였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60번째 줄: 61번째 줄: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안동시 문화유산]]
 
[[분류:안동시 문화유산]]
[[분류:민속문화재]]
+
[[분류:시도민속문화재]]
 
[[분류:종택]]
 
[[분류:종택]]
 
[[분류:2020 국문집필]]
 
[[분류:2020 국문집필]]
 +
[[분류:2020 영문집필]]

2020년 9월 29일 (화) 16:17 기준 최신판

안동김씨 종택
Head House of the Andong Kim Clan
안동김씨 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김씨 종택
영문명칭 Head House of the Andong Kim Clan
한자 安東金氏 宗宅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장태골길 28 (소산리)
지정번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25호
지정일 1981년 4월 25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안동김씨 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김씨 종택은 조선 전기 때 문신이었던 양소당 김영수(養素堂 金永銖, 1446~1502)의 종갓집이다. 이 집이 위치한 소산리는 김영수의 할아버지인 김삼근(金三近, 1390~1465)이 15세기경에 입향한 이래 안동 김씨 집성촌이 되었다.

김영수는 어려서부터 무예가 출중하였고, 음서*로 벼슬에 나가 의금부 도사, 사헌부 장령, 영천군수 등을 지냈다. 김영수의 아들은 평양부 서윤을 지낸 김번(金璠, 1479~1544)이고, 고손은 병자호란 때 끝까지 맞서 싸울 것을 주장하였던 예조판서 김상헌(金尙憲, 1570~1652)으로, 이후 김영수의 후손들은 조선 후기 최대의 문벌로 성장하였다.

안동 김씨 종택은 ‘ㅁ’자형의 기와집으로 남서향이다. 대문은 없으며 사랑채와 중문간채, 안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 오른쪽 뒤편에는 사당이 있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각각 안방과 건넌방이 있고, 왼쪽의 안방 앞에는 툇마루를 두었다. 사랑채는 왼쪽에 방을 두었고, 오른쪽은 대청으로 개방하였다. 사랑채와 대청 사이에는 들문을 달아 필요할 때 공간을 넓힐 수 있게 하였다.


  • 음서(蔭敍):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공을 세웠거나 높은 벼슬을 한 양반의 자손을 과거시험 없이 관리로 채용하는 제도.
  • 김영수 - 김번 - 김생해 - 김극효 - 김상헌

영문

Head House of the Andong Kim Clan

This is the head house of the family of Kim Yeong-su (1446-1502, pen name: Yangseodang),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A head house is a residence passed down among the male successors of a family lineage. Sosan-ri Village, where the house is located, has been a clan village of the Andong Kim clan ever since Kim Yeong-su’s grandfather Kim Sam-geun (1390-1465) moved there in the 15th century.

Kim Yeong-su demonstrated skill in martial arts at an early age. In recognition of his ancestor’s merits, he was given an official post without taking the state examination. His great-great-grandson Kim Sang-heon (1570-1652) served as minister of rites. The clan eventually beca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milie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house faces southwest and has no main gate. All the buildings have tiled roofs. The residential area of the house consists of a men’s quarters, gate quarters, and a women’s quarters, which together form a square layout with a courtyard in the center. There is also a shrine at the back to the right of the women’s quarters. The women’s quarters features a wooden-floored hall in the center with an underfloor-heated room on either side. The main room on the left has a narrow wooden veranda in front of it. The men’s quarters consists of an underfloor-heated room to the left and a wooden-floored hall to the right, which are separated by liftable doors and can be joined into a single space when necessary.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조선시대의 문신 김영수(1446~1502, 호: 양소당)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이란 한 집안의 종가가 대대로 사는 집이다. 이 집이 위치한 소산리는 김영수의 할아버지인 김삼근(1390-1465)이 15세기에 입향한 이래 안동김씨 집성촌이 되었다.

김영수는 어려서부터 무예가 출중하였고, 뛰어난 공덕을 세운 조상 덕분에 과거시험을 보지 않고 벼슬길에 올랐다. 김영수의 고손은 예조판서를 지낸 김상헌(1570-1652)이며, 이후 이 가문은 조선 후기 최대의 문벌로 성장하였다.

이 집은 남서향의 기와집으로, 대문은 없으며 사랑채와 중문간채, 안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안채 오른쪽 뒤편에는 사당이 있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각각 안방과 건넌방이 있고, 왼쪽의 안방 앞에는 툇마루를 두었다. 사랑채는 왼쪽에 방을 두었고, 오른쪽은 대청이 있다. 사랑방과 대청 사이에는 들문을 달아 필요할 때 공간을 확장할 수 있게 하였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