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밀양 영남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갤러리)
(영문)
36번째 줄: 36번째 줄:
 
===영문===
 
===영문===
 
'''Yeongnamnu Pavilion, Miryang'''
 
'''Yeongnamnu Pavilion, Miryang'''
 +
 +
Yeongnamnu Pavilion was built in 1844. Located on a cliff by a river, the pavilion harmonizes with its beautiful surroundings and is considered a wooden architecture masterpiece of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It is also regarded as one of Korea’s three representative traditional pavilions along with Chokseongnu Pavilion in Jinju and Bubyeongnu Pavilion in Pyeongyang*.
 +
 +
This pavilion was originally built in the year 1365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by the magistrate of Miryang Kim Ju (1339-1404). It was then located within the grounds of Yeongnamsa Temple after which it was named. During the Joseon period, the pavilion was used as an auxiliary building of the local government office’s guesthouse and provided space to receive and accommodate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important guests visiting the region. The pavilion was burned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nd rebuilt afterward. The current pavilion is the result of the pavilion’s complete reconstruction and expansion overseen by the magistrate of Miryang Yi In-jae in 1844.
 +
 +
The pavilion’s stately look is accentuated by its massive hip-and-gable roof, the large pillars supporting its wooden floor high over the ground, and the wide spaces between the pillars. Located to the left and right are two auxiliary buildings, namely, Neungpagak and Chimnyugak Pavilions which are connected to the main pavilion via corridors. The roofed corridor leading to Chimnyugak Pavilion features a terraced structure cascading down the slope.
 +
 +
Many poems and paintings were created here by famous literati who visited the pavilion throughout the Goryeo and the Joseon periods. It is said that at some point over 300 plaques featuring various written pieces were kept in the pavilion. The pavilion’s two name plaques hung in the front are said to have been calligraphed by Yi In-jae’s first and second sons when they were 11 and 7 years old**.
 +
 +
 +
*or Pyongyang?
 +
** I skipped the explanation of the inscriptions (Yeongnamjeillu and Yeongnamnu) because the first one refers to this pavilion as number one in the Yeongnam region. But we haven’t mentioned how come the name of the pavilion is the same as the name of the region which corresponds roughly corresponds to the Gyeongsang-do area and so on…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1년 11월 19일 (금) 23:52 판


밀양 영남루
Yeongnamnu Pavilion, Miryang
밀양 영남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밀양 영남루
영문명칭 Yeongnamnu Pavilion, Miryang
한자 密陽 嶺南樓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 40
지정번호 보물 제147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밀양 영남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밀양강 절벽의 아름다운 경관과 조선 후기의 뛰어난 건축미가 조화를 이룬 누각이다. 진주 촉석루, 평양 부벽루와 함께 우리나라 3대 누각으로 꼽힌다.

정면 5칸 측면 4칸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기둥 사이가 넓은 데다 굵은 기둥으로 누마루를 높여서 웅장하면서도 시원한 느낌을 준다. ‘영남제일루’(嶺南第一樓)라는 현판*에 어울리는 면모이다. 좌우 부속 건물로 능파각(凌波閣)과 침류각(枕流閣)을 날개처럼 거느리고 있다. 침류각으로 이어지는 지붕이 경사면을 따라 계단식으로 층을 이뤄 눈길을 끈다.

영남루라는 이름은 고려 말인 1365년 밀양을 다스리던 김주(金湊)가 통일신라 시대에 있었던 영남사(嶺南寺)라는 절터에 누각을 세우면서 절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조선 시대에는 고을에 온 손님을 대접하고 묵게 하던 객사(客舍)의 부속 건물로 쓰였으며, 여러 차례 고쳐 짓고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다시 세우기도 했다.

현재의 건물은 1844년 밀양 부사 이인재(李寅在)가 새로 지었다. 누각 안에 걸린 ‘영남제일루’와 ‘영남루’ 현판은 그의 첫째 아들과 둘째 아들이 각각 열한 살과 일곱 살 때 썼다고 한다. 영남루에는 유명 문인들의 시와 글을 새긴 현판이 한때 300개나 걸려 ‘현판 전시장’으로 불렸다. 고려와 조선 시대의 문인들이 영남루를 읊었던 시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전해 온다.


  • 현판(懸板): 글자나 그림을 새겨 문 위나 벽에 다는 널조각

영문

Yeongnamnu Pavilion, Miryang

Yeongnamnu Pavilion was built in 1844. Located on a cliff by a river, the pavilion harmonizes with its beautiful surroundings and is considered a wooden architecture masterpiece of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It is also regarded as one of Korea’s three representative traditional pavilions along with Chokseongnu Pavilion in Jinju and Bubyeongnu Pavilion in Pyeongyang*.

This pavilion was originally built in the year 1365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by the magistrate of Miryang Kim Ju (1339-1404). It was then located within the grounds of Yeongnamsa Temple after which it was named. During the Joseon period, the pavilion was used as an auxiliary building of the local government office’s guesthouse and provided space to receive and accommodate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important guests visiting the region. The pavilion was burned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nd rebuilt afterward. The current pavilion is the result of the pavilion’s complete reconstruction and expansion overseen by the magistrate of Miryang Yi In-jae in 1844.

The pavilion’s stately look is accentuated by its massive hip-and-gable roof, the large pillars supporting its wooden floor high over the ground, and the wide spaces between the pillars. Located to the left and right are two auxiliary buildings, namely, Neungpagak and Chimnyugak Pavilions which are connected to the main pavilion via corridors. The roofed corridor leading to Chimnyugak Pavilion features a terraced structure cascading down the slope.

Many poems and paintings were created here by famous literati who visited the pavilion throughout the Goryeo and the Joseon periods. It is said that at some point over 300 plaques featuring various written pieces were kept in the pavilion. The pavilion’s two name plaques hung in the front are said to have been calligraphed by Yi In-jae’s first and second sons when they were 11 and 7 years old**.


  • or Pyongyang?
    • I skipped the explanation of the inscriptions (Yeongnamjeillu and Yeongnamnu) because the first one refers to this pavilion as number one in the Yeongnam region. But we haven’t mentioned how come the name of the pavilion is the same as the name of the region which corresponds roughly corresponds to the Gyeongsang-do area and so on…

영문 해설 내용

영남루는 1844년에 지어진 누각이다. 밀양강 절벽의 경관과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조선시대 후반 화려하고 뛰어난 목조 건축물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진주 촉석루, 평양 부벽루와 함께 한국의 3대 전통 누각으로 꼽히기도 한다.

영남루는 고려시대인 1365년 당시 밀양군수였던 김주(1339-1404)가 영남사라는 옛 절터에 처음 세웠다. 누각의 이름은 절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밀양 관아 객사의 부속 건물로 쓰였으며, 고을에 온 손님들을 대접하고 묵게 하던 곳이다. 이후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다시 세우기도 하였다. 지금의 건물은 1844년 밀양부사 이인재가 전체적인 규모를 크게 늘려 새로 지은 것이다..

팔작지붕을 얹은 영남루는 기둥 사이가 넓은데다 굵은 기둥으로 누마루를 높여서 웅장하면서도 시원한 느낌을 준다. 왼쪽과 오른쪽에는 각각 능파각과 침류각이라는 부속건물이 있고, 두 부속건물은 영남루와 복도로 연결되어 있다. 영남루와 침류각 사이의 복도와 지붕은 경사를 따라 계단식으로 층을 이루고 있다.

영남루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유명한 문인들이 찾아와 시와 그림을 남기기도 하였다. 한때 영남루에는 시와 글을 새긴 현판이 300개나 걸려 있었다고 한다. 현재 영남루 정면에 걸려있는 ‘영남제일루’와 ‘영남루’ 현판의 글씨는 이인재의 각각 첫째 아들과 둘째 아들이 11살과 7살 때 썼다고 한다.

갤러리

참고자료

  • 밀양 영남루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1999 -> 영남사는 12세기 중반에 이 지역에 있었던 사찰이다. 고려시대의 문인 임춘이 1175년 봄 영남사의 ‘죽루’에 대한 시를 남긴 바 있는데, 이 ‘죽루’를 영남루의 시초가 된 누정일 것이라고 추정한다. / 고종 대에 큰 화재가 나면서 본루와 능파당, 침류당 등의 주요 건물은 피해를 면했으나, 영남루를 포함하는 객사였던 밀주관의 구성은 크게 훼손되었다.
  • [류혜숙의 여행스케치] 밀양 영남루와 천진궁, 영남일보, 2015.11.20.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51120.010370826370001 -> 내부에는 단군과 그 이래 역대 8왕조 시조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중앙의 맨 윗자리에 단군의 영정을, 동쪽 벽에는 부여·고구려·가야·고려의 시조를, 서쪽 벽에는 신라·백제·발해·조선의 시조를 모셨다. 일제시대 때 일인들은 위패를 땅에 묻고 이곳을 감옥으로 사용했다 한다. 입구인 만덕문 왼쪽에는 밀양박씨의 시조인 밀성대군의 묘단이 있다. 밀성대군은 신라 경명왕의 장남으로 이곳이 그의 묫자리라 추정된다.
  • 밀양 영남루 다녀왔어요 혜윰님과 고즈넉한 힐링, a.k.a holic,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glqgkqehdwl/222182514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