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공주 숙종대왕 태실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5월 13일 (목) 02:59 판 (2차 수정)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공주 숙종대왕 태실비
공주 숙종대왕 태실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공주 숙종대왕 태실비
한자 公州 肅宗大王 胎室碑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태봉동 산 64-1
지정번호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1호
지정일 1992년 12월 8일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공주 숙종대왕 태실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조선 19대 임금인 숙종(재위 1674~1720)의 태실(胎室)에 세운 비석 2기로, 고종 2년(1869)에 비석만 남긴 채 태(胎)와 태실은 경기도 양주로 옮겨졌다.

태를 처음 안치하면서 현종 2년(1661)에 세운 비는 비석의 머리와 받침돌에 연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숙종 9년(1683)에 세운 비는 거북이 모양 받침돌과 용이 조각된 머리장식으로 되어 있다.

수정 국문

초고

태실은 왕실의 왕과 그 자손의 태를 봉안하는 곳으로 태봉(胎封)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태실도감(胎室都監)을 임시로 설치하여 이 일을 맡게 하였다. 태실 앞에는 태를 모신 것을 기념하는 태실비를 세운다.

숙종대왕태실비는 조선 19대 임금인 숙종 (재위 1674~1720)의 태실에 세운 비석 2기로 각각 1661년(현종 2)과 1683년(숙종 9)에 건립되었다. 1661년에 건립된 비석은 숙종이 태어난 후 4개월 만에 원자(元子)*의 신분으로 세워진 것이다. 1683년의 비는 숙종이 즉위한 이후 9년만에 세워진 것인데, 본래 왕위에 즉위한 후 곧 바로 태봉의 석물을 조성하는[加封] 절차가 이루어지나 계속된 흉년으로 이때서야 세워진 것이다.

두 기의 비석 중 먼저 세워진 ‘아지비(阿只碑)’는 비교적 작은 규모로 비대(碑臺)만을 갖춘 간략한 형식으로 비석의 머리와 받침돌에 연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비의 높이는 159cm, 비신의 폭은 54cm, 두께는 15cm이다. 1683년에 건립된 태실비는 거북이 모양 받침돌[龜趺]과 용이 조각된 머리 장식[螭首]으로 되어있다. 비의 높이는 188cm, 폭 62cm, 두께는 31cm이다.

현재 숙종의 태는 1928년에 이르러 경기도 양주로 이장되었고, 지금은 2기의 비석만이 남아있다.


  • 원자 : 임금의 맏아들로서, 아직 왕세자에 책봉되지 않았을 때의 일컬음. [한국고전용어사전]

초고 수정

이곳에 있는 2기의 비석은 조선 제19대 왕인 숙종(1661-1720, 재위 1674-1720)의 태를 보관하던 자리에 그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태실은 왕실에서 자녀의 태(胎)를 봉안한 태항아리를 모신 석실이다. 조선시대에 태는 생명의 근원으로 여겨졌고, 태를 잘 보존하면 자녀의 건강을 보장할 수 있다고 믿었다. 특히 조선 왕실에서는 명당을 물색하고 길일을 가려 태를 봉안하였다. 태실을 세우는 이러한 의식은 한국에 유일하다.

두 비석은 각각 현종 2년(1661)과 숙종 9년(1683)에 건립되었으며, 먼저 세워진 비석은 ‘아지비(阿只碑)’라고 부른다.

아지비는 숙종이 태어난 후 4개월 만에 세워졌다. 사각형의 받침돌 위에 몸돌을 세우고, 그 위에 머릿돌을 올린 간략한 형태로, 받침돌과 머릿돌은 연꽃으로 장식되어 있다. 비의 높이는 159cm이다.

왼쪽의 비석은 흉년 때문에 숙종이 즉위한 지 9년 뒤에 세워진 것이다. 장수를 상징하는 거북을 조각한 받침돌 위에 몸돌을 세우고, 그 위에 용이 조각된 머릿돌을 올린 형태이다. 비의 높이는 188cm이다

숙종의 태항아리는 1869년에 경기도 양주로 이장되었고, 훼손된 채 남아있던 받침돌과 몸돌 등은 1991년 공주시에서 수습해 지금의 모습으로 정비하였다.

  • 기존 작업자가 1928년이라고 정정한 이유 확인 필요함

1차 수정

태실은 왕실에서 자녀의 태(胎)를 봉안하는 곳이다. 예로부터 태는 생명의 근원으로 여겨졌고, 태를 잘 보존하면 자녀의 건강을 보장할 수 있다고 믿었다. 조선 왕실에서는 명당을 물색하고 길일을 가려 태를 봉안하였으며, 태실 앞에는 태를 모신 것을 기념하는 태실비를 세웠다. 일반적으로 처음 태를 봉안할 때는 태실의 장식을 호화롭게 하지 않지만, 태실의 주인이 왕으로 즉위하면 태실 주변의 석물을 새로 조성하였다.

숙종대왕 태실비는 조선 제19대 임금인 숙종(1661~1720, 1674~1720 재위)의 태실 앞에 세운 것으로, 각각 현종 2년(1661)과 숙종 9년(1683)에 건립되었다. 연꽃 봉오리 모양의 머릿돌을 얹은 작은 비석은 숙종이 태어난 후 4개월 만에 세워진 것이고 ‘아지비(阿只碑)’라고도 부른다. 거북 모양의 받침돌 위에 세워진 태실비는 흉년으로 인해 숙종이 즉위한 지 9년이 지나서야 세워졌다.

숙종의 태는 1928년 무렵 경기도 양주로 이장되었고, 한때 훼손된 채 남아있던 태실비는 1991년에 보수하였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적절하게 정리되었습니다.
  2. 분야별 자문위원 2
    • 왕실에서 자녀의 태(胎)를 -> 왕실 자녀의 태(胎)를
    • 있다 믿었다. -> 있다는 믿음에 따라,
    • 길일을 가려 -> 길일을 택해
    • 태실 앞에는 태를 모신 것을 기념하는 태실비를 세웠다. -> 태실 앞에 이를 기념하는 태실비를 세웠다.
    • 세운 것으로, -> 세워진 것으로, 각각 1661년(현종 2)과 1683년(숙종 9)에 건립되었#*숙종이 태어난 후 4개월 만에 -> 숙종 탄생 4개월 만에
    • 숙종이 즉위한 지 9년이 지나서야 -> 숙종 즉위 후 9년 만에
  3.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태실은 왕실에서 자녀의 태(胎)를 봉안하는 곳이다. 예로부터 생명의 근원인 태를 잘 보존하면 자녀의 건강을 보장할 수 있다고 믿었다. 조선 왕실에서는 명당을 물색하고 길일을 가려 태를 봉안하였으며, 태실 앞에는 태를 모신 것을 기념하는 태실비를 세웠다. 일반적으로 처음 태를 봉안할 때는 태실의 장식을 호화롭게 하지 않게 작게 만들지만, 태실의 주인이 왕으로 즉위하면 비석은 물론 태실 주변의 석물을 새로 조성하였다.
      숙종대왕 태실비는 조선 제19대 임금인 숙종(재위 1661~1720, 1674~1720 재위)의 태실 앞에 세운 것으로, 각각 태어난 해인 현종 2년(1661)과 즉위후 9년인 숙종 9년(1683)에 건립되었다. 연꽃 봉오리 모양의 머릿돌을 얹은 작은 비석은 숙종이 태어난 후 4개월 만에 세워진 것이고 ‘아지비(阿只碑)’라고도 부른다. 또 다른 거북 모양의 받침돌 위에 세워진 태실비는 흉년으로 인해 늦게 세워졌다.
      숙종의 태는 고종 2년(1869)에 비석만 남긴 채 1928년 무렵 경기도 양주로 이장되었고, 한때 훼손된 채 비가 흩어져 있었던 것을 1991년에 공주시에서 보수하여 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1928년 무렵 -> 어디에서 나온건지 확인 필요. (수정안의 잘못으로 보이나, 찾아봐도 근거가 없음)

2차 수정

태실은 왕실 자녀의 태(胎)를 봉안하는 곳이다. 예로부터 태는 생명의 근원으로 여겨졌고, 태를 잘 보존하면 자녀의 건강을 보장할 수 있다고 믿었다. 조선 왕실에서는 명당을 물색하고 길일을 택해 태를 봉안하였으며, 태실 앞에는 이를 기념하는 태실비를 세웠다. 일반적으로 처음 태를 봉안할 때는 태실의 장식을 호화롭게 하지 않지만, 태실의 주인이 왕으로 즉위하면 태실 주변의 석물을 새로 조성하였다.

숙종대왕 태실비는 조선 제19대 임금인 숙종(1661~1720, 1674~1720 재위)의 태실 앞에 세워진 것으로, 각각 현종 2년(1661)과 숙종 9년(1683)에 건립되었다. 연꽃 봉오리 모양의 머릿돌을 얹은 작은 비석은 숙종 탄생 4개월 만에 세워진 것이고 ‘아지비(阿只碑)’라고도 부른다. 거북 모양의 받침돌 위에 세워진 태실비는 흉년으로 인해 숙종 즉위 후 9년 만에 세워졌다.

숙종의 태는 1928년 무렵 경기도 양주로 이장되었고, 한때 훼손된 채 남아있던 태실비는 1991년에 보수하였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공주_숙종대왕_태실비 Object 공주_숙종대왕_태실비
조선_숙종 Actor
아지비 Object 아지비(阿只碑)
경기도_양주 Place 경기도_양주
숙종_태항아리 Object 숙종_태항아리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공주_숙종대왕_태실비 숙종_태항아리 isRelatedTo
숙종_태항아리 조선_숙종 isRelatedTo
공주_숙종대왕_태실비 아지비 hasPart
숙종_태항아리 경기도_양주 currentLocation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