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성 송학동 고분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Clickable button|가야고분군 안내판}}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송학동고분군.jpg |사진출처=[http://...)
 
(가야고분군)
44번째 줄: 44번째 줄:
  
 
====가야고분군====
 
====가야고분군====
 +
'''Gaya Ancient Tombs'''
 +
 +
The Gaya Ancient Tombs collectively refers to seven burial complexes constructed during the period of the Gaya confederacy (42-562)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y are located in Gimhae, Haman, Hapcheon, Goseong, and Changnyeong of Gyeongsangnam-do Province, Goryeong of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Namwon of Jeollabuk-do Province. The burial complexes are a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political system and burial culture of Gaya confederacy, which flourished in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1st to 6th century.
 +
 +
The Gaya confederacy evolved out of the small tribal states scattered around the Nakdonggang River basin. Although other states in East Asia at that time typically competed with each other to develop into ancient kingdoms with centralized systems of political power, the members of the Gaya confederacy maintained their own independent and equal sovereignty. Burial rituals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burial goods as well as trade goods found in the ancient tombs of Gaya attest to confederacy’s shared culture and active exchange with the neighboring regions. Thus, they are an important historical evidence of a different/unique form of an ancient civilization in East Asia.
  
 
====종합안내판====
 
====종합안내판====

2021년 5월 10일 (월) 05:45 판

가야고분군 안내판


고성 송학동 고분군
Ancient Tombs in Songhak-dong, Goseong
고성 송학동 고분군,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추진단.
대표명칭 고성 송학동 고분군
영문명칭 Ancient Tombs in Songhak-dong, Goseong
한자 固城 松鶴洞 古墳群
주소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 470번지 일원
지정번호 사적 제119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고분군
시대 가야
수량/면적 64,923㎡
웹사이트 고성 송학동 고분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가야고분군

가야의 지배층이 묻힌 ‘가야고분군’은 1세기부터 6세기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가야의 정치체계와 매장문화를 집약해서 보여준다.

각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한 가야 각 국은 독자적 권한을 행사하면서도 비교적 동등한 수평적 지위로 결속했다. 묘제와 부장품의 세부양식, 교역품은 인접지역이나 다른 가야세력과의 관계를 방영하고 있어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했던 개별적인 가야세력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연맹을 형성하였음을 보여준다.

가야의 7개 고분군은 고대국가로 발전한 고구려․백제․신라와 함께 공존하였던 가야를 실증하는 독보적인 증거로, 동아시아 고대 문명의 한 유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종합안내판

송학동고분군은 5세기부터 가야의 유력한 해상세력으로 떠오른 소가야 왕과 지배층의 무덤들이다. 남해안을 조망할 수 있는 고성분지 중심부에 위치한 3개의 구릉에 나누어 분포하고 있다.

5세기 후반에 축조된 1호분과 6세기 전반에 축조된 2·3호분은 구릉지의 정상부에 연접하고 있고, 그 좌우 능선에 봉토분 8기가 위치한다. 1~3호분은 당시 백제나 일본(왜)에서 유행하던 봉분을 먼저 쌓고, 쌓은 봉분을 다시 파내어 석곽이나 석실을 축조하는 분구묘 방식으로 축조되었다.

1~3호분에서 출토된 부장품은 소가야의 대외관계를 뚜렷하게 보여준다. 1호분에는 대가야토기와 마구, 일본(왜)토기, 2호분에는 백제․일본(왜) 토기와 마구, 3호분에는 신라의 청동그릇과 마구가 부장되어 소가야가 가야의 교역창구였음을 증명한다.

송학동고분군은 백제-가야-왜를 연결하는 해양 교역의 창구였던 소가야의 특색이 가장 잘 드러나는 대표 고분군이다.

영문

  • Ancient Tombs in Songhak-dong, Goseong

가야고분군

Gaya Ancient Tombs

The Gaya Ancient Tombs collectively refers to seven burial complexes constructed during the period of the Gaya confederacy (42-562)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y are located in Gimhae, Haman, Hapcheon, Goseong, and Changnyeong of Gyeongsangnam-do Province, Goryeong of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Namwon of Jeollabuk-do Province. The burial complexes are a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political system and burial culture of Gaya confederacy, which flourished in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1st to 6th century.

The Gaya confederacy evolved out of the small tribal states scattered around the Nakdonggang River basin. Although other states in East Asia at that time typically competed with each other to develop into ancient kingdoms with centralized systems of political power, the members of the Gaya confederacy maintained their own independent and equal sovereignty. Burial rituals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burial goods as well as trade goods found in the ancient tombs of Gaya attest to confederacy’s shared culture and active exchange with the neighboring regions. Thus, they are an important historical evidence of a different/unique form of an ancient civilization in East Asia.

종합안내판

영문 해설 내용

가야고분군

가야고분군은 가야시대(42-562)에 조성된 7개의 고분군을 말하며, 경상남도의 김해, 함안, 합천, 고성, 창녕과 경상북도의 고령, 전라북도의 남원 등 한반도 남부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가야고분군은 1세기부터 6세기까지 한반도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가야의 정치체계와 매장문화를 집약해서 보여준다.

가야는 낙동강 유역에 자리 잡은 작은 나라들이 형성한 연맹왕국이었다. 이 시기 동아시아의 여러 국가들은 서로 경쟁하며 중앙집권적인 고대국가로 발전했다. 그러나 가야연맹의 국가들은 각 지역에서 독자적인 권한을 행사하면서도 동등한 수평적 지위로 결속했다. 가야고분군에서 발견되는 묘제, 부장품의 세부양식, 교역품 등을 통해 가야연맹 국가들이 서로 유사한 문화를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인접 지역과의 교류 관계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야고분군은 동아시아 고대 문명의 한 유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종합안내판

송학동 고분군은 5세기부터 가야의 유력한 해상세력으로 떠오른 소가야 지배자들의 무덤들이다. 5세기부터 6세기까지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남해안을 조망할 수 있는 고성분지 중심부의 구릉 3개에 14여 기의 봉분이 분포하고 있다. 이중 5세기 후반에 축조된 1호분과 6세기 전반에 축조된 2·3호분은 구릉지의 정상부에 연접하고 있다. 1~3호분은 봉분을 먼저 쌓고, 쌓은 봉분을 다시 파내어 석곽이나 석실을 만드는 분구묘 방식으로 축조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당시 백제와 일본에서 유행하였다.

1~3호분에서는 다양한 부장품이 출토되었다. 1호분에서는 대가야의 토기와 마구, 일본 토기가 출토되었고, 2호분에는 백제와 일본의 토기와 마구, 3호분에는 신라의 청동그릇과 마구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유물들은 소가야의 대외관계를 뚜렷하게 보여주며, 특히 소가야가 백제-가야연맹-일본을 연결하는 해양 교역의 창구였음을 증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