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마 개별 안내판(고흥 운대리 도요지)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7월 31일 (토) 17:27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흥 운대리 도요지 가마별 안내판
Goto.png 종합안내판: 고흥 운대리 도요지



해설문

국문

  • 고흥 운대리 1호 청자 가마터

1호 청자 가마터는 고려시대에 청자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갑발, 청자 해무리굽 완, 무문 청자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2호 청자 가마터

2호 청자 가마터는 고려시대에 청자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흑유토기, 갑발, 청자 조각, 갑발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3호 청자 가마터

3호 청자 가마터는 고려시대에 청자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소량의 청자 조각과 인화, 덤벙, 귀얄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가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4호 청자 가마터

4호 청자 가마터는 고려시대에 청자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갑발과 도지미가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5호 청자 가마터

5호 청자 가마터는 고려시대에 청자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가마 벽체 조각과 흑유 대접 조각, 청자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1호 분청사기 가마터

1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2호 분청사기 가마터와 함께 사적 제51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곳에서는 인화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2호 분청사기 가마터

2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1호 분청사기 가마터와 함께 사적 제51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복원 정비되었다. 이곳에서는 덤벙, 인화, 귀얄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3호 분청사기 가마터

3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인화, 귀얄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과 도지미 등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4호 분청사기 가마터

4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초벌구이한 사기 조각과 덤벙, 귀얄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 도지미, 가마 벽체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5호 분청사기 가마터

5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덤벙, 귀얄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과 소량의 백자 등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6호 분청사기 가마터

6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덤벙, 귀얄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과 갑발 등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7호 분청사기 가마터

7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발굴조사 결과 가마 1기와 배수로 1기, 공방지 2기, 폐기장 1기 등이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로는 귀얄, 덤벙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과 도지미 등이 있고, 주로 발, 접시, 병 등 일상생활 용기가 대부분이었다.

  • 고흥 운대리 8호 분청사기 가마터

8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인화, 상감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과 도지미, 가마 벽체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9호 분청사기 가마터

9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 발견된 유물은 분장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가 대부분이며, 소량의 덤벙, 귀얄 분청사기와 백자도 함께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10호 분청사기 가마터

10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귀얄, 덤벙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과 도지미, 백자 등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11호 분청사기 가마터

11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주로 덤벙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과 도지미 등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12호 분청사기 가마터

12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주로 덤벙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과 도지미, 백자, 가마 벽체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13호 분청사기 가마터

13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덤벙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14호 분청사기 가마터

14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발굴조사 결과 가마 1기, 배수로 2기, 폐기장 2기 등이 확인되었다.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은 귀얄, 덤벙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덤벙 분청사기를 전용으로 생산하던 가마의 특징을 보여준다. 그릇의 종류는 발, 접시, 병 등 일상생활 용기가 대부분이었다.

  • 고흥 운대리 15호 분청사기 가마터

15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발굴조사 결과 자연 경사면에 축조한 반지하식 오름가마가 확인되었다. 이곳에서는 귀얄, 덤벙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가 발견되었으며, 그릇의 종류는 발, 접시, 병 등 일상생활 용기가 대부분이었다.

  • 고흥 운대리 16호 분청사기 가마터

16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인화, 귀얄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17호 분청사기 가마터

17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초벌구이한 자기 조각과 귀얄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이 발견되었으며, 소량의 백자 조각과 가마 벽체 조각도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18호 분청사기 가마터

18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발굴조사 결과 가마 1기, 배수로 1기 등이 확인되었으며, 가마는 자연 경사면에 축조한 반지하식 오름가마이다.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은 귀얄, 덤벙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 고흥 운대리 19호 분청사기 가마터

19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인화, 귀얄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과 가마 벽체 조각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20호 분청사기 가마터

20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인화, 덤벙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과 초벌구이한 사기 조각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21호 분청사기 가마터

21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인화, 귀얄, 덤벙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22호 분청사기 가마터

22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인화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과 도지미 조각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23호 분청사기 가마터

23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인화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과 도지미 조각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24호 분청사기 가마터

24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인화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 회청사기, 초벌구이한 사기 조각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25호 분청사기 가마터

25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인화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 조각과 초벌구이한 사기 조각이 발견되었다.

  • 고흥 운대리 26호 분청사기 가마터

26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가마는 대부분 유실되었으나, 발굴조사 결과 기반층을 굴착하여 만든 반지하식 가마로 확인되었다.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은 상감, 인화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 고흥 운대리 27호 분청사기 가마터

27호 분청사기 가마터는 조선시대에 분청사기를 만들던 가마가 있던 곳이다. 가마는 자연 경사면에 축조한 반지하식 가마로 확인되었으며, 번조실에서 연도부까지가 남아 있다.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은 덤벙 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며, 그릇의 종류는 발과 접시 등 일상생활 용기가 대부분이었다.

영문

  • Celadon Kiln Site No. 1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celadon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aggars, green-glazed bowls with a halo-shaped foot, and shards of green-glazed wares without design.

  • Celadon Kiln Site No. 2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celadon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Excavated artifacts include black-glazed wares, saggars, and shards of green-glazed wares and saggars.

  • Celadon Kiln Site No. 3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celadon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Excavated artifacts include a few shards of green-glazed wares, as well as buncheong ware with stamped designs, dipped in white slip, or brushed with white slip.

  • Celadon Kiln Site No. 4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celadon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aggars and firing trivets.

  • Celadon Kiln Site No. 5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celadon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Excavated artifacts include pieces of kiln wall, shards of black-glazed bowls, and shards of green-glazed wares.

---

  • Buncheong Kiln Site No. 1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uncheong ware with stamped designs. Together with Buncheong Kiln Site No. 2, this kiln site is designated as a Historic Site.

  • Buncheong Kiln Site No. 2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kiln has been newly reconstructed based on archaeological findings.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uncheong ware with stamped designs. Together with Buncheong Kiln Site No. 1, this kiln site is designated as a Historic Site.

  • Buncheong Kiln Site No. 3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firing trivets, as well as shards of buncheong ware with stamped designs or brushed with white slip.

  • Buncheong Kiln Site No. 4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isqueware, shards of buncheong ware dipped in white slip or brushed with white slip, firing trivets, and pieces of kiln wall.

  • Buncheong Kiln Site No. 5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white porcelain, as well as shards of buncheong ware dipped in white slip or brushed with white slip.

  • Buncheong Kiln Site No. 6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aggars, as well as shards of buncheong ware dipped in white slip or brushed with white slip.

  • Buncheong Kiln Site No. 7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Archaeological excavations identified one kiln, one water ditch, two workshop sites, and one waste site.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uncheong ware dipped in white slip or brushed with white slip, firing trivets, and pottery for everyday use, such as bowls, dishes, and bottles.

  • Buncheong Kiln Site No. 8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uncheong with stamped or inlaid designs, firing trivets, and shards of kiln wall.

  • Buncheong Kiln Site No. 9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mostly buncheong ware covered in white slip, some buncheong ware dipped in white slip or brushed with white slip, and white porcelain.

  • Buncheong Kiln Site No. 10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uncheong ware dipped in white slip or brushed with white slip, firing trivets, and white porcelain.

  • Buncheong Kiln Site No. 11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firing trivets, as well as shards of buncheong ware dipped in white slip.

  • Buncheong Kiln Site No. 12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uncheong ware dipped in white slip, firing trivets, white porcelain, and pieces of kiln wall.

  • Buncheong Kiln Site No. 13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uncheong ware dipped in white slip.

  • Buncheong Kiln Site No. 14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Archaeological excavations identified one kiln, two water ditches, and two waste sites. Excavated artifacts include everyday vessels such as bowls, dishes, and bottles that were primarily brushed with white slip or dipped in white slip.

  • Buncheong Kiln Site No. 15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Archaeological excavations identified a semi-underground climbing kiln built into a natural slope. Excavated artifacts include everyday vessels such as bowls, dishes, and bottles that were primarily brushed with white slip or dipped in white slip.

  • Buncheong Kiln Site No. 16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uncheong ware with stamped designs and brushed with white slip.

  • Buncheong Kiln Site No. 17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isqueware, shards of buncheong ware brushed with white slip, shards of white porcelain, and pieces of kiln wall.

  • Buncheong Kiln Site No. 18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Archaeological excavations identified one kiln and one water ditch. The kiln is a semi-underground climbing kiln built into a natural slope. Excavated artifacts include buncheong ware brushed with white slip or dipped in white slip.

  • Buncheong Kiln Site No. 19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pieces of kiln wall, as well as shards of buncheong ware with stamped designs and brushed with white slip.

  • Buncheong Kiln Site No. 20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uncheong ware with stamped designs and dipped in white slip and shards of bisqueware.

  • Buncheong Kiln Site No. 21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uncheong ware with stamped designs and brushed with white slip or dipped in white slip.

  • Buncheong Kiln Site No. 22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uncheong ware with stamped designs and shards of firing trivets.

  • Buncheong Kiln Site No. 23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uncheong ware with stamped designs and shards of firing trivets.

  • Buncheong Kiln Site No. 24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uncheong ware with stamped designs, shards of greyish celadon, and shards of bisqueware.

  • Buncheong Kiln Site No. 25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Excavated artifacts include shards of buncheong ware with stamped designs and shards of bisqueware.

  • Buncheong Kiln Site No. 26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Although the kiln was destroyed, archaeological excavations confirmed it was a semi-underground kiln. Excavated artifacts include buncheong with stamped or inlaid designs.


  • Buncheong Kiln Site No. 27 in Undae-ri, Goheung

This is the site of a kiln that produced buncheong war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Archaeological excavations identified a semi-underground climbing kiln built into a natural slope. All that remains is the section from the firing chamber to the flue. Excavated artifacts include mostly everyday vessels such as bowls and dishes that were primarily dipped in white slip.



  • 나열된 유물은 두종류인 경우, 단어가 더 짧은 것은 앞으로 옯겼어요. 안 그러면 독자가 슂게 헷갈릴 수 있습니다.
  • 청자 가마 같은 경우에는 흑유, 청유를 구별하기 위해 black-glazed wares, green-glazed wares이라고 했어요, 학계에서는 celadon 대신에 greenware이라고도 많이 해서 문제가 없을 것 같고요. 운영시기를 언급하는 첫문장에서도 celadon이라는 말도 써 있어요.


참고 ---> 토도자 공예류

  1. 상감 inlaid
  2. 인화 stamped
  3. 음각/조화 incised
  4. 박지 sgraffito
  5. 철채, 철화 in underglaze iron
  6. 귀얄 brushed with white slip
  7. 담금/덤벙 dipped in white slip
  • 번조실
  • 연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