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관부화전놀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 무등산 관부화전놀이는 조선시대에 삼월 삼짇날 행했던 화전놀이로 특히 전라남도 관찰사가 중심이 되어 주변 수령들이 함께 참여하여 가마와 말을 타고 무등산 상봉까지 올라가 즐겼던 화전놀이이다.
  • 관찰사는 인근 지역의 수령들을 소집하여 호사스런 화전놀이를 베풀었는데 동원(東園)을 출발하여 증심사까지 나팔, 고동, 징 등의 취타(吹打)를 잡히고 증심사에서 중머리재까지, 중머리재에서 장불재까지 각각 다양한 연주가 이뤄지다가 정상에 오르게 되면 평지를 골라 차일을 치고 화전을 부치면서 즐겼다.
  • 화전을 부치면서 차려지는 연상(宴床)에는 망상(望床), 주물상(晝物床) 등이 있는데, 특히 망상은 이런 즐김의 순간에도 군주를 잊을 수 없다는 뜻에서 차린 상으로 먼저 산해진미를 차려 놓았다가 최종 파할 무렵에 나눠 먹게 된다.
  • 예인들의 검무, 승무, 살풀이, 바라춤, 북놀이, 설장구, 상모놀이와 광대들의 기예와 화전가, 성주풀이 같은 노랫가락 등 무등산에 올라 행해졌던 무등산_관부화전놀이는 가히 종합예술적 현장이라 할 만큼 수준 높은 호남지역의 가무악을 망라하고 있어 그 가치가 높다.
  • 무등산_관부화전놀이에 참여한 행차는 해지는 무렵에 증심사에 내려와 십자 초롱에 불밝혀 들고 화전가를 부른다
  • 초롱불의 호위 아래 관찰사를 위시한 지방 수령들의 행렬도 성내에 이르러 분산되고 최종적으로 막을 내리게 된다.
  • 현재 전승은 단절된 상태지만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과의 참여 교수들과 학위자들의 노력으로 문화재청이 주관하는 '2024년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에 선정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무등산_관부화전놀이 Concept 개념 민속 무등산 관부화전놀이 무등산 관부화전놀이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무등산_관부화전놀이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id.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무등산_관부화전놀이 삼짇날 무등산 관부화전놀이는 삼짇날 행해졌던 세시풍속이다.
무등산_관부화전놀이 무등산 무등산 관부화전놀이는 무등산에 오르면서 행해졌다.
무등산_관부화전놀이 전라남도_관찰사 무등산 관부화전놀이는 전라남도 관찰사가 중심이 되어 행해졌던 화전놀이이다.
무등산_관부화전놀이 미래_무형유산_발굴육성_사업 무등산 관부화전놀이는 문화재청의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에 선정되었다.(2024년)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광주일보 전남대 문화유산연구소 ‘무등산 관찰사 화전놀이’ 재현 연구, (2023-05-17, 박성철 기자) http://m.kwangju.co.kr/article.php?aid=1685145087752930007#none
홈페이지 문화재청 사업별 최대 연간 2억 원 지원해 지역의 대표 문화자원으로 육성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4265&sectionId=b_sec_1&pageIndex=1&strWhere=&strValue=&mn=NS_01_02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최윤상, 「광주60년사<12회>」, 『새전남』, 전남공론사, 1970.: 87-88.
단행본 임동권, 『한국세시풍속연구』, 집문당, 1989. https://www.google.com/search?q=8930301851
논문 나경수,서해숙,김지현. 「광주읍성의 口傳과 民俗」, 『남도민속연구』 8, 남도민속학회, 2002.: 25-64. RISS https://www-riss-kr.libproxy.jnu.ac.kr/link?id=A105000929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