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안동_광산김씨_탁청정공파_종택 |
Heritage |
(국가민속문화재_제272호)_안동_광산김씨_탁청정공파_종택 |
조선시대의 학자인 김유(1491~1555, 호:탁청정) 가문의 종택이다.
|
탁청정 |
Heritage |
(국가민속문화재_제226호)_탁청정 |
안동 광산김씨 탁청정공파 종택에 딸린 정자이다.
|
후조당_종택 |
Heritage |
(국가민속문화재_제227호)_후조당_종택 |
안동 광산 김씨 예안파 종택에 딸린 별당으로, 김부필(1516∼1577, 호:후조당)이 지었다고 전하는 별당건물이다.
|
후조당_유물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64호)_후조당_유물 |
광산 김씨 김부필(1577∼1644, 호: 후조당)이 나라에서 시호를 내릴 때 받은 교지와 「퇴계유묵」, 『향병일기』, 『전가보첩』 등 4종 6점이며, 숭원각에 보호 및 관리되고 있다.
|
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27호)_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
김효로(1445∼1534)와 증손자 김해(1555∼1592)를 모시고 있는 사당과 후조당에 부속된 재사(제사지내는 집)이다.
|
침락정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40호)_침락정 |
김광계(1580∼1646)가 현종 13년(1672)에 세운 누정으로, 일명 운암정사라고도 한다.
|
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전적 |
Heritage |
(보물_제1019호)_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전적 |
광삼김씨 예안파 종가 문중에는 전적 약 3천여권이 보관되어 있으며, 그 중 서첩을 포함한 13종 61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전적에는『서전(書傳)』, 『송조명신언행록』, 『 매월당집』, 『점필재집』,『역대명감』,『주자대전』,『징비록』,『근사록』,『주자실기』,『논어집주』 등이 있다. 서첩에는 「퇴계선생유묵」(이황이 직접 손으로 쓴 김효로의 묘비명),「퇴계선생서법」, 「별시첩(別時帖)」등이 있다.
|
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고문서 |
Heritage |
(보물_제1018호)_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고문서 |
광산 김씨 예안파 종가의 21대 6백년간에 걸쳐 전해내려오는 고문서들로 1,000여점이 보관되어 있으며, 이 중 교지 등 7종 429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
수운잡방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435호)_수운잡방(需雲雜方) |
안동김씨 설월당 종가가 소장하다가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요리책이며, 상편은 김유가, 하편은 김령이 집필한 것으로 추정된다.
|
설월당_종택_소장_전적_및_고문서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320호)_설월당_종택_소장_전적_및_고문서 |
설월당 김부륜 종가에 전해지는 전적 및 고문서로서 전적은 『설월당유고』, 『계암일록』 등 2종 9책이고, 고문서는 김부륜·김령 부자와 관련된 교지, 유지, 분재기, 호구단자, 제문 등으로 177매이다.
|
항병일기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483호)_향병일기(鄕兵日記) |
선조 26년(1592)~선조 27년(1593) 약 1년 남짓한 기간 동안 안동과 그 주변 지역에서 활약한 김해의 의병부대 활동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필사본 일지이다. (저자나 필자는 알 수 없음)
|
안동_유일재_종택 |
Heritage |
(경상북도_민속문화재_제113호)_안동_유일재_종택 |
광산 김씨 유일재공파의 종가로, 김언기(1520∼1588, 호:유일재)는 선조 때의 문신으로 안동지방의 교육에 크게 힘쓴 인물이다.
|
광산김씨_긍구당_고택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316호)_광산김씨_긍구당_고택 |
원래 영천 이씨 참봉공파 종택이었는데 김언기(1520∼1588)가 재혼을 하면서 이 집에 살게 되었으며, 집 이름은 후손 김세환(1640∼1703)의 호를 따서 붙인 것이다.
|
안동_긍구당고댁_사당내_감실 |
Heritage |
(경상북도_민속문화재_제142호)_안동_긍구당고댁_사당내_감실 |
구당고택 사당 안에 모셔져 있는 위패감실(位牌龕室) 4점으로, 고조, 증조, 조부, 부친 등 4대의 감실이 독립적으로 완비되어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