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gsajikseol - Preparing the seed grain

classics
Mingoo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3월 25일 (일) 18:31 판 (Tutor 1: 전성호)

이동: 둘러보기, 검색

Class Home

備穀種 Preparing the Seed Grain

Original Script

  1. 備穀種
  2. 收九穀種, 取堅實不雜不浥者.[1]
  3. 浥, 鬱浥也
  4. 種不實, 則明年穀穗亦不實.
  5. 所謂受病於胎也.
  6. 種雜則早晩不等,
  7. 種浥則不生, 雖生亦不實.
  8. 簸揚去秕後, 沉水去浮者, 漉出
  9. 曬乾, 以十分無濕氣爲度, 堅藏蒿篅之類
  10. 蒿篅, 鄕名空石. 小有濕氣, 多致鬱浥.
  11. 欲知來歲所宜, 以九穀種各一升, 各盛布囊, 埋於土宇中
  12. 勿令人坐臥其上.
  13. 後五十日, 發取量之, 息㝡多者, 其歲所宜也.[2]
  14. 土氣隨地異宜, 宜令各村里試之.
  15. 冬月, 以瓮或槽埋地中, 要令不凍.
  16. 至臘月, 多收雪汁盛貯, 苫薦 鄕名飛介 厚盖 古書曰, 雪五穀之精.[3]
  17. 至種時, 漬種其中, 漉出曬乾, 如此二[4]度.
  18. 或用木槽, 盛牛馬廐池尿, 漬種其中, 漉出曬乾 , 亦須三度.

Previous Translations

Korean Translation, Version 1

  1. 농작물의 씨앗 준비
  2. 아홉 가지 농작물의 씨앗을 미리 준비할 때 (세 가지 원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1. 견실한 종자를 선택하여야 한다. 2. 서로 다른 종자가 섞이지 않게 주의하여야 한다. 3. 습기를 머금지 않은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3. 젖는다는[浥] 것은 습기를 머금고 있으며 냄새까지 나는 상태를 말한다.
  4. 종자가 견실하지 않으면 다음 해 곡식의 이삭 또한 견실하지 않게 된다.
  5. 이른바 태내에서 이미 병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6. 종자가 섞인다는 것은 조도와 만도 등 (파종시기와 성숙시기)가 서로 다른 품종이 섞인 것을 의미한다.
  7. 습기를 머금은 종자는 잘 자라지 않고, 자란다 해도 견실하게 자라지 않는다.
  8. (선택한 종자는 다시) 키로 까불어 쭉정이를 (바람에) 날려 버린 후 물에 담가 뜨는 것은 건져 버리고 (가라앉은 것만을 골라내어) 걸러내어
  9. 햇볕에 충분히 말린 다음에 습기가 하나도 없는 상태를 헤아린 후에 볏짚으로 엮은 그릇에 잘 저장하여 둔다.
  10. 蒿篅은 향명으로 공섬(空石)인데 습기가 조금만 있어도 대부분 습기로 인하여 쉽게 변질된다.
  11. 다음 해에 작황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곡식을 미리 알아내기 위해서 구곡의 씨앗 1 되(약 0.6 리터)씩 각각 베 주머니에 넣어 움집에 묻어 둔다.
  12. 사람들이 그 움집 위에 앉거나 눕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13. 50 일이 지난 다음에 꺼내서 살폈을 때, 싹[息]이 가장 많이 난 것이 그 해에 적합한 종자이다.
  14. 토양[5]의 성질은 지방에 따라 적합한 것이 다르므로 각 고을로 하여금 시험하여 (내년도 작황이 좋을 곡식을 미리 선택하여) 놓는다.
  15. 한 겨울 동안의 씨앗 관리는 옹기나 나무의 재질로 만든 구유 속에 씨앗을 넣어 땅 속에 잘 묻어서 (가장 추운 동지섣달에도) 얼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6. 동지 섣달이 되면 눈 녹은 물을 될 수 있으면 많이 모아, 점천(苫薦)<향명으로 비개>라는 그릇에 푹 담가 놓고 볏짚으로 엮은 자리를 두껍게 덮어 둔다. <옛 글에 눈은 오곡의 정기라고 기록되어 있다.>
  17. 파종할 때가 되면 종자를 그 속에 담가 걸러냈다가 햇볕에 말리는데, 이 과정을 2 번 되풀이한다.
  18. 또는 나무구유[木槽]에 소․말을 키우는 외양간의 지뇨(池尿)를 붓고, 여기에 종자를 담가 걸러냈다가 햇볕에 말리는데, 이 역시 3번은 되풀이해야 한다.

Korean Translation, Version 2

  1. 농작물의 씨앗 준비
  2. 아홉 가지 농작물의 씨앗을 미리 준비할 때 (세 가지 원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1. 견실한 종자를 선택하여야 한다. 2. 서로 다른 종자가 섞이지 않게 주의하여야 한다. 3. 습기를 머금지 않은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3. 젖는다는[浥] 것은 습기를 머금고 있으며 냄새까지 나는 상태를 말한다.
  4. 종자가 견실하지 않으면 다음 해 곡식의 이삭 또한 견실하지 않게 된다.
  5. 이른바 태내에서 이미 병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6. 종자가 섞이면 성숙시기가 서로 다르게 되고
  7. 씨앗이 습기를 머금으면 싹이 트지 않는다. 가령 싹이 나더라도 견실하지 않다.
  8. (선택한 종자는 다시) 키로 까불어 쭉정이를 (바람에) 날려 버린 후 물에 담가 뜨는 것은 건져 버리고 (가라앉은 것만을 골라내어) 걸러내어
  9. 햇볕에 충분히 말린 다음에 습기가 하나도 없는 상태를 헤아린 후에 볏짚으로 엮은 그릇에 잘 저장하여 둔다.
  10. 蒿篅은 향명으로 공섬(空石인데 습기가 조금만 있어도 대부분 습기로 인하여 쉽게 변질된다.
  11. 다음 해에 작황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곡식을 미리 알아내기 위해서 구곡의 씨앗 1 되(약 0.6 리터)씩 각각 베 주머니에 넣어 움집에 묻어 둔다.
  12. 사람들이 그 움집 위에 앉거나 눕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13. 50 일이 지난 다음에 꺼내서 살폈을 때, 싹[息]이 가장 많이 난 것이 그 해에 적합한 종자이다.
  14. 토양의 성질은 지방에 따라 적합한 것이 다르므로 각 고을로 하여금 시험하여 (내년도 작황이 좋을 곡식을 미리 선택하여) 놓는다.
  15. 한 겨울 동안의 씨앗 관리는 옹기나 나무의 재질로 만든 구유 속에 씨앗을 넣어 땅 속에 잘 묻어서 (가장 추운 동지섣달에도) 얼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6. 동지 섣달이 되면 눈 녹은 물을 될 수 있으면 많이 모아, 점천(苫薦)<향명으로 비개>을 두껍게 덮는다. <옛 글에 눈은 오곡의 정기라고 기록되어 있다.>
  17. 파종할 때가 되면 종자를 그 속에 담가 걸러냈다가 햇볕에 말리는데, 이 과정을 2 번 되풀이한다.
  18. 또는 나무구유[木槽]에 소․말을키우는 외양간의 지뇨(池尿)를 붓고, 여기에 종자를 담가 걸러냈다가 햇볕에 말리는데, 이 역시 3번은 되풀이해야 한다.

Korean Translation, RDK

  1. 곡식의 씨앗 준비
  2. 아홉 가지 곡식의 씨앗을 거두는 데는 굳고 실한 것을 취하되 잡된 종자가 섞이지 않고 젖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젖었다는 뜻은 수분이 많아 변질의 염려가 있는 상태,
  4. 씨앗이 잘 여물지 않으면 이삭도 잘 여물지 않으며
  5. 이른바 병을 태(胎)에서 잉태한 것과 같은 것이다.
  6. 종자가 섞이면 숙기가 고르지 않으며
  7. 종자에 수분이 많은즉 발아하지 않고 발아하여도 여물지 않는다.
  8. 쭉정이는 키로 까불어 버린 후에 물에 담가 뜨는 것은 건져 버리고 가라앉은 것만을 씻어내어
  9. 충분히 말린 다음 습기가 없는 상황을 헤아려 짚으로 엮은 그릇 따위에 단단히 저장하여 둔다.
  10. 짚으로 엮은 그릇은 시골말로 공석(섬)이라 하며 습기가 약간만 있어도 변질은 많아진다.
  11. 다음해의 작황이 좋을 곡종을 미리 알아보기 위하여 아홉 가지 곡식의 씨앗을 한 되씩 각각 다른 베자루에 넣어 움집 안에 묻어둔다.
  12. 사람이 그 위에 앉거나 눕지 말도록 해야 한다.
  13. 50일이 경과한 후 꺼내어 다시 되어 보아 가장 많이 불어난 곡종이 그해 풍작이 될 곡종이다.
  14. 토양의 성질은 곳에 따라 다르므로 각 마을로 하여금 시험케 하여 작황이 좋은 곡종을 알아보아야 한다.
  15. 겨울에 옹기나 나무로 된 그릇을 땅속에 잘 묻어 놓고 얼지 않도록 해야 한다.
  16. 섣달에 눈 녹은 물을 많이 모아 담아 짚 등으로 엮은 자리 (시골 이름으로 비개라 한다) 로 두껍게 덮어 둔다.(옛글에 이르기 눈은 5곡의 정기라 하였다.)
  17. 파종 할 무렵에 씨앗을 눈 녹은 물에 담갔다가 걸러서 볕에 말리기를 세 번 하거나
  18. 혹은 나무 그릇에 마소의 외양간 오줌을 담아 그 속에 씨앗을 담갔다가 걸러내어 볕에 말리기를 세 번 되풀이한다.

Korean Translation, NKV

  1. 농작물 종자의 준비
  2. 아홉가지 농작물의 종자를 준비하되 잡종이 섞이지 않고 뜨지(浥) 않은 것을 선택한다.
  3. 읍(浥)은 울읍(鬱浥) 즉 습기를 가지면서 냄새까지 난다는 것이다.
  4. 종자가 여물지 않은 것은 이듬 해에 나는 곡물 이삭도 역시 여물지 않은 법이므로
  5. 이것을 소위 <<태속에서 병든>> 것이라고 한다.
  6. 잡종이 섞인 것을 심으면 성숙 시기가 일치하게 되지 못한다.
  7. 뜬(浥) 것을 심으면 잘 발아하지 않으며 만일 발아할지라도 잘 여물지 않는다.
  8. 준비된 종자를 키질하여 쭉정이(批)를 버린 다음 물에 담근다. 그리하여 그 중에서 뜨는 것을 버리고 물에 가라앉은 것을
  9. 해’ 빛에 말리운다. 습기가 완전히 없어지도록 해’빛에 말린 다음 빈섬과 같은 데 넣어 잘 간직하여 준다.
  10. 없음
  11. 래년에 어떤 농작물이 잘 될 것인가 하는 것을 미리 알아 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아홉가지 농작물의 종자를 각각 한되씩 베주머니에 따로따로 넣어 움속에 묻는다.
  12. 사람들이 그 우에 앉거나 눕거나 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13. 50일만에 그것을 파내여 되여 본다. 그 중에서 분량이 가장 불은 것이 래년에 잘 될 농작물이다.
  14. 지대를 따라 토질이 각각 다르므로 동리마다 제각기 시험하여야 한다.
  15. 겨울에 항아리나 구유에다 종자를 넣고 땅 속에 얼지 앉도록 파묻는다.
  16. 섣달에 가서 눈물을 많이 받아 담고 나래로 잘 덮어 두었다가 파종시기에 종자를 그 눈물 속에 담근다.(옛 글에 눈은 오곡의 정수(精髓)라고 하였다.
  17. 그렇게 한 후 종자 걸려내어 해’빛에 잘 말린다. 이렇게 세 번한다.
  18. 혹은 나무 구유에다가 오양물을 담고, 거기에 담갔다가 꺼내여 해’빛에 잘 말리기도 한다. 이처럼 하는 공정도 역시 세 번 하여야 한다.

English Translation, Version 1

  1. Preparing the Seed Grain
  2. Gather seed for the nine crops[6], select those that are fine and healthy. Do not mix the varieties and do not allow the seeds to get damp.
  3. Wet [seeds] means [those that are] damp.
  4. If the seed is not healthy, the next year’s grain will also be unhealthy.
  5. The embryo of the afore-mentioned seed will already be diseased.
  6. If the seed varieties are mixed, the early and late ripening varieties will grow unevenly.
  7. If the seeds are damp they will not germinate, and even if they do, they will not ripen.
  8. First winnow the seeds and remove the chaff from the grain. Then submerge the grain in water and remove the floating ones.
  9. After that, dry them in the sun until they are perfectly dry and store them securely in a straw sack (hoch’ŏn).
  10. The vernacular name[7] for hoch’ŏn is pinsŏm or kongsŏm, and if it even has a little moisture, most of the straw basket will become damp.
  11. ○ If you want to know which seed among the nine grains (crops) will be suitable for the following year, take one toe (about 0.6 liters) of seeds for each of the nine grains[8] and deposit them in hemp bags and bury them inside of a pit[9].
  12. People must be made to not sit or lie on it.
  13. After fifty days open the pit[10], take out the sacks and examine them. Those with the most sprouts are suitable for the following year.
  14. As the suitability of farming conditions differs according to the topography* of each region, it is necessary to have each village test [which seed grains are appropriate].
  15. In the winter months, the seeds are put in an earthenware jar or wooden tub and buried, and it is imperative that the [contents] not freeze.
  16. In the last month of the year, collect a sufficient amount of snowmelt water and store it to the brim in a chǒmch’ŏn (known locally as pikae or nalgae*) and cover it thickly.(An ancient text says that snow is the vital force of the five seed grains.)
  17. When it is time for planting, soak the seeds [in the snow essence], drain off the water and dry it in the sun, then repeat.
  18. Alternatively, soak the seeds in a wooden tub filled with urine taken from the sump under* the cattle and horse shed, then drain off the seeds ** in the sun; this also must be done three times.

English Translation, Version 2

  1. Preparing Grain Seeds
  2. Collect nine kinds of seed grains, and select those that are healthy, are not mixed and do not get damp.
  3. damp seeds means those that are slightly wet and smelly.
  4. If the seed is not healthy, the next year’s grain will also be unhealthy.
  5. The embryo[11] of the afore-mentioned seed will already be diseased.
  6. If the early and later ripening varieties are mixed, they will grow at difference paces.
  7. If the seeds are damp they will not germinate, and even if they do, they will not ripen.
  8. First winnow the seeds and remove the chaff from the grain. Then submerge the grain in water and remove the floating ones and sieve to get the seeds from the water.
  9. After that, dry them in the sun until they are perfectly dry and store them securely in a straw basket (hoch’ŏn).
  10. The vernacular name* for koch’ŏn is pinsŏm or kongsŏm, and if it even has a little moisture, most of the seeds will become damp.
  11. ○ If you want to know which seed among the nine crops will be suitable for the following year, take one toe (about 0.6 liters) of seeds per each of the nine kinds of crops and deposit them in hemp bags and bury them inside of a dugout hut.
  12. Do not allow people to sit or lie on it.
  13. After fifty days open the dugout hut, take out the sacks and examine them. Those with the most sprouts are suitable for the following year.
  14. As the suitability of farming conditions differs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soil of each region, it is necessary to have each village test [which seed grains are appropriate].
  15. In the winter months, the seeds are put in an earthenware jar or wooden tub and buried, and it is imperative that the [contents] not freeze.
  16. In the last month of the year, collect a sufficient amount of snowmelt water and store it to the brim in a chǒmch’ŏn (known locally as pikae)[12] and cover it thickly.(An ancient text says that snow is the vital force of the five grains.)
  17. When it is time for planting, soak the seeds in the melted snow, take them out and dry them in the sun. Repeat this process three times.
  18. Alternatively, soak the seeds in a wooden tub filled with urine taken from the sump on the floor of the cattle and horse shed, then take out and dry them in the sun; this also must be done three times.


Students' Contribution

Student 1: 린지


Student 2: 에벨린


Student 3: 권지은


Student 4: 안카


Student 5: 이창섭


Student 6: 강혜원


Tutor 1: 전성호

備穀種 농작물 종자 준비하기 Preparing Crop Seeds Preparation of the seed grain(Needam). what is '心如穀種' 程先生穀種之說 漉出 draw out or filter out

蒿篅


Collaborative Translation Result

English Translation, Version 3 (Editor: __________ )


Glossary

Type Hanja Hangeul MR RR English

Further Readings

References

  1. [발표자주] 『齊民要術』 卷1, 收種. “凡五穀種子, 浥鬱則不生, 生者亦尋死. 種雜者, 禾則早晚不均, 舂復減而難熟.
  2. [발표자 주] 『氾勝之書』 第二篇. 收種. 欲知歲所宜, 以布囊盛粟等諸物種, 平量之, 埋陰地. 冬至後五十日, 發取量之. 息冣多者, 歲所宜也. 그해에 적합한 종자를 알고자 한다면 여러 곡물의 종자를 균일한 수량으로 헝겊자루에 담아서 음지에 묻는다. 동짓날 이후 50일째 꺼내어 살폈을 때 싹이 제일 많이 트는 것이 그해에 맞는 종자이다.
  3. [발표자 주] ‘五谷精’이란 표현은 중국 최초의 농서로서 중국 전한시대에 범승지(氾勝之)가 편찬한 『氾勝之書』에서 발견할 수 있다. “取雪汁漬原蠶屎五六日, 待釋, 手挼之, 和榖種之, 能御旱, 故謂雪爲‘五穀精’也.” 누에똥을 눈 녹은 물에 5-6일 동안 담그고, 똥이 풀어지면 손으로 주물러 곡물씨앗과 섞어 심으면 가뭄을 견뎌낼 수 있으니, 고로 눈을 ‘오곡의 정기’이라고 부른 것이다. 북위의 가사협(賈思勰)이 저술한 『齊民要術』 卷1 種谷篇에서도 비슷한 표현을 발견할 수 있다. “雪汁者, 五榖之精也, 使稼耐旱. 常以冬藏雪汁, 器盛埋於地中.” 눈 녹은 물은 오곡의 정기이며 작물이 가뭄을 잘 견뎌내도록 한다. 보통 겨울에 저장한 눈 녹은 물을 용기에 담아 땅 속에 묻는다.
  4. [발표자 주] 장서각본과 중앙도사관본에는 ‘三’로 되어있음.
  5. 토양: the properties of soil
  6. [Team C’s footnote] They include hemp, rice, glutinous millet, non-glutinous millet, beans, barley, sesame, buckwheat and cotton.
  7. i.e. local name
  8. per each of the nine kinds of grains
  9. dugout hut
  10. pit → dugout hut?
  11. [발표자 주] the young sporophyte of a seed plant usually comprising a rudimentary plant with plumule, radicle, and cotyledons [Merriam Webster Dictionary]
  12. [발표자 주] a container made by weaving stra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