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gsajikseol - Cultivating rice

classics
LeeChangSub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4월 25일 (수) 13:23 판 (Comment)

이동: 둘러보기, 검색

Class Home Text Image Text with Punctuation

種稻 附旱稻 Cultivating rice

Original Script


06

07

08

  1. ○ 種稻 附旱稻
  2. 稻種有早有晩.
  3. 耕種法, 有水耕 鄕名水沙彌,
  4. 有乾耕 鄕名乾沙彌,
  5. 又有揷種 鄕名苗種.
  6. 除草之法, 則大抵皆同.
  7. ○ 早稻秋收後,?
  8. 擇連水源肥膏水田
  9. 凡水田, 上可以引水,
  10. 下可以決去.
  11. 旱 則灌之, 雨則洩 之者爲上. ?
  12. 洿 下渟水處次之.
  13. 然久雨泥渾, 則苗腐.
  14. 高處須雨而耕者, 斯爲下矣,
  15. 耕之.
  16. 冬月, 入糞
  17. 正月氷解, 耕之, 入糞,
  18. 或入新土亦得,
  19. 二月上旬, 又耕之.
  20. 以木斫 鄕名所訖羅, 縱橫摩平,
  21. 復以鐵齒擺 鄕名手愁音
  22. 打破土塊, 令熟 .
  23. 先以稻種, 漬 水,
  24. 經三日, 漉出,
  25. 納蒿篅 中 鄕名空石,
  26. 置溫處.
  27. 頻頻開視,
  28. 勿致鬱 浥 .
  29. 芽長二分, 均撒水田中,
  30. 以板撈 鄕名飜地, 或把撈 鄕名推介, 覆種,
  31. 灌水驅鳥 以苗生爲限.
  32. 苗生二葉, 則去水.
  33. 以手耘
  34. 苗弱, 不可用鋤,
  35. 然水渴土强, 則當用鋤,
  36. 去苗間細草訖, 又灌水
  37. 每去水而耘, 耘訖, 灌之,
  38. 苗弱時, 宜淺,
  39. 苗强時, 宜深.
  40. 如川水連通,
  41. 雖旱, 不渴處,
  42. 則每耘訖, 決去水, 曝根, 二日後,
  43. 還灌水(耐風與旱).
  44. 苗長半尺許,
  45. 又耘以鋤
  46. 苗强, 可以用鋤.
  47. 耘時, 以手挼軟苗間土面,
  48. 耘至三四度
  49. 禾穀成長, 唯賴鋤功.
  50. 且早稻性速,
  51. 不可小緩,
  52. 將熟, 去水
  53. 有水, 則熟遲.
  54. 早稻善零 ,
  55. 隨熟隨刈.

Previous Translations

Korean Translation, Version 1

  1. ○ 벼 심고 키우기[種稻] <한도(旱稻)를 덧붙임>
  2. 벼의 품종으로는 일찍 파종하는 올벼가 있고 늦게 파종하는 늦벼가 있다.
  3. 재배법으로는 수경법(水耕法) <향명(鄕名)으로는 수사미(水沙彌)이다> 이 있고,
  4. 건경법(乾耕法) <향명(鄕名)으로는 건사미(乾沙彌)이다> 이 있고,
  5. 또한 삽종법(揷種法) <향명(鄕名)으로는 묘종(苗種)이다> 이 있다.
  6. <제초하는 방법은 대개 동일하다.>
  7. ○ 올벼[早稻]는 <재배하려면> 가을에 수확한 후에,
  8. 물이 공급되는 비옥한 논
  9. <무릇 논은 위쪽에서는 물을 끌어올 수 있어야 하고,
  10. 아래쪽에서는 물을 빼낼 수 있어야 한다.
  11. 가물면 물을 대고, 비가 오면 물을 빼내는 논이 가장 좋다.
  12. 웅덩이에 물이 고이는 논이 그 다음이다.
  13. 그런데 오랜 비에 <논이> 진흙뻘이 되면 모가 썩는다.
  14. 높은 곳에 위치하면서 비만 기다려 농사짓는 논, 이것은 가장 나쁘다>을
  15. 골라서 간다.
  16. 겨울철에 거름을 투입하고
  17. <정월에 얼음이 녹을 때 갈이를 하고 거름을 투입하거나
  18. 혹은 새로운 흙을 투입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
  19. 2월 상순에 다시 한 번 더 갈이를 한다.
  20. 목작(木斫) <향명(鄕名)으로는 소흘라(所訖羅)이다> 으로 <논을> 종횡으로 갈아 평평하게 만든 후,
  21. 다시 철치파(鐵齒擺) <향명(鄕名)으로는 수추음(手愁音)이다> 로
  22. 흙덩이를 깨뜨려 부드럽게 만든다.
  23. 파종에 앞서 볍씨를 물에 담가
  24. 3일이 지난 후에 건져 내어
  25. 짚으로 엮은 섬<향명 빈섬(空石)> 에 담아
  26. 따뜻한 곳에 보관하여 둔다.
  27. 자주 자주 열어 보아
  28. (벼 종자가) 눅눅해지지 않도록 한다.
  29. 싹의 길이가 2푼(약 0.4cm) 쯤 자라면 논에다가 골고루 뿌리고
  30. 고무래 <향명 번지> 혹은 밀개로 <향명 추개> 씨를 덮어주고 난 뒤에
  31. 물을 공급하고 <묘가 자랄 동안에 한에서> 새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한다.
  32. 모에서 잎이 두 개가 나오면 물을 뺀다.
  33. 손으로 김을 매면서
  34. <모가 어리고 약하기 때문에 철로 된 호미를 사용할 수 없지만
  35. 물이 말라 흙이 굳어진 상태에서는 마땅히 호미를 써야 한다.>
  36. 모와 모 사이의 가느다란 잡초를 뽑고 다시 물을 투입한다.
  37. <매번 물을 빼고 김을 매고 다시 물을 공급하는데
  38. 묘가 약할 때에는 물을 얕게,
  39. 강할 때에는 깊게 공급한다.>
  40. 개천과 같이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41. 가뭄이 들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 곳은
  42. 김을 맨 후에 물을 빼고 뿌리까지 햇볕을 쬘 수 있도록 하고 2일 후에
  43. 다시 물을 관개한다. <바람과 가뭄에 강하게 견디어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44. 모의 길이가 반 자쯤 될 정도로 자라면
  45. 또 김을 매는데 호미를 가지고 한다.
  46. <모가 이미 강해져서 호미를 사용해도 되기 때문이다.>
  47. 김을 맬 때는 모 사이의 흙을 손으로 만져서 부드럽게 만들고,
  48. 김매기는 3~4번 하며
  49. <벼[禾穀]의 성장은 오직 김매기에 달려 있다.
  50. 게다가 올벼의 성질은 빨리 자라므로
  51. (김매기를) 조금이라도 늦춰서는 안 된다.>
  52. <벼가> 익을 무렵이 되면 물을 뺀다.
  53. <물이 있으면 <벼가> 익는 게 지체된다.>
  54. 올벼는 잘 떨어지므로
  55. 익는 즉시 벤다.


Korean Translation, Version 2

  1. ○ 벼 심고 키우기 [種稻] <메벼(旱稻)를 덧붙임>
  2. 벼의 품종으로는 [일찍 파종하는] 올벼가 있고 [늦게 파종하는] 늦벼가 있다.
  3. 경종법으로는 [물을 채운 논에서 재배하는] 수경법(水耕法) <향명으로는 무삶이(水沙彌)[1]>이 있고,
  4. [물이 없는 논에서 재배하는] 건경법(乾耕法) <향명(鄕名)으로는 마른 삶이(乾沙彌)> 이 있고,
  5. 또한 [모를 심는] 삽종법(揷種法) <향명으로는 묘종>이 있다.
  6. <제초하는 방법은 대개 같다.>
  7. ○ 올벼[早稻]를 [경종하기 위해서는] 추수(가을걷이)한 후에
  8. 수원지가 연결되어 있는(물을 공급하기 쉬운) 비옥한 논
  9. <대개 논은 위치가 높은 곳에서부터 물을 끌어댈 수 있고
  10. 낮은 위치에서 물을 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11. 가뭄이 들면 물을 공급하여 주고, 비가 오면 물을 뺄 수 있는 곳이 가장 좋은 논이다.
  12. 웅덩이에로 물이 고이는 곳이 그 다음으로 좋은 논이지만
  13. 그러나 비가 오랫 동안 오면 진흙에 섞여 모가 썩는 결함이 있다.
  14. 높은 곳에 위치하여 비가 내리기를 기다려서 경작할 수 있는 곳은 가장 안 좋은 논이다.>을
  15. 골라서 갈이를 한다.
  16. 겨울철에 거름을 투입하고
  17. <정월에 얼음이 녹을 때 갈이를 하고 거름을 투입하거나
  18. 혹은 객토를 하여도 좋다.
  19. 2월 상순에 다시 한 번 더 갈이를 한다.
  20. 써레(木斫) <향명으로는 소흘라>로 가로 세로로 평평히 고르고
  21. 다시 쇠스랑(鐵齒擺) <향명(鄕名)으로는 수수음(手愁音)> 으로
  22. 흙덩이를 깨뜨려 잘 삶는다(무르게 한다).
  23. 파종에 앞서 볍씨를 물에 담가
  24. 3일이 지난 후에 건져내어
  25. 짚으로 엮은 바구니<향명 빈섬(空石)>에 담아
  26. 따뜻한 곳에 보관하여 둔다.
  27. 자주 자주 열어 보아
  28. (벼 종자가) 눅눅해지지 않도록 한다.
  29. 싹이 2푼 쯤(약 0.4cm) 자라면 논에 골고루 뿌리고
  30. 판로<향명으로는 번지>나 고무래<향명으로는 밀개>로 씨를 덮고
  31. 새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물을 공급한다. <묘가 자랄 기간 동안에만>
  32. 모에서 잎이 두 개가 나오면 물을 뺀다.
  33. 손으로 김을 매면서
  34. <모가 어리고 약하기 때문에 호미를 사용할 수 없다.
  35. 그러나 물이 마르고 흙이 굳으면 호미로 마땅히 [김을] 매야 한다.>
  36. 모와 모 사이의 가는 풀을 뽑고 다시 물을 투입한다.
  37. <김을 맬 때마다 물을 빼고, 김매기가 끝나면 다시 물을 대준다.
  38. 묘가 약할 때에는 물을 얕게,
  39. 강할 때에는 깊게 댄다.>
  40. 개천과 같이 물이 끊임없이 통해서
  41. 가뭄이 들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 곳은
  42. [이러한 곳에서] 김매기가 매번 끝난 다음에는 완전히 물을 빼고, 뿌리를 햇볕에 2일간 쬐인 후에
  43. 또 물을 대여 준다. <바람과 가뭄에 강하게 견디어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44. 모의 길이가 반 자(about 10 cm)쯤 될 정도로 자라면
  45. 또 김을 매는데 호미를 가지고 한다.
  46. <모가 이미 굳게 뿌리를 내려서 호미를 사용해도 되기 때문이다.>
  47. 김을 맬 때에 손을 사용하여 모와 모 사이에 있는 흙 표면을 부드럽게 눌러준다.
  48. 김매기는 3~4번까지 하며
  49. <벼과 곡식이 성장하는 것은 오직 김을 매주는 공력에 달려있다.
  50. 게다가 올벼의 성질은 빨리 자라므로
  51. 김매기를 게을리 할 수 없다. >
  52. 장차 벼가 익어갈 때에는 물을 뺀다.
  53. <만약 이 때 물이 있으면 벼가 익는 것이 지체된다.>
  54. 올 벼는 [여물면] 잘 떨어지므로
  55. 익는대로 수시 베어야 한다.

Korean Translation, RDA

  1. ○ 벼의 재배 <늦게 심는 법을 첨부함>
  2. 벼품종에는 이른 벼와 늦벼가 있고
  3. 경종법은 물갈이(무삶이),
  4. 마른갈이 (건삶이)와
  5. 모종법이 있다.
  6. 제초하는 법은 대체로 같다.
  7. ○ 올벼의 물갈이 법은 추수 후
  8. 논물을 대기 쉬운 기름진 논을 택하여
  9. <무릇 논은 위로부터 물을 대기 쉽고
  10. 아래로 뺄 수 있어서
  11. 가물면 물을 대고 비가 내리면 물을 뺄 수 있는 곳이 으뜸이요
  12. 물이 흐르지 않고 괴어있는 곳은 그 다음 가나
  13. 비가 장기간 내리면 물이 탁하여 모가 썩는다.
  14. 비가 내려야 심게 되는 높은 곳의 논은 좋지 않다 >
  15. 이미 앞에서 번역함.
  16. 겨울에 갈고 거름을 넣는다.
  17. <정월에 얼음이 풀린 뒤 갈고 거름을 넣거나
  18. 혹은 객토를 하여도 좋다.>
  19. 2월 상순에 또 갈고
  20. 써레로 가로 세로로 평평히 고르고
  21. 다시 쇠스랑으로
  22. 흙덩이를 깨뜨려 부드럽게 한다.
  23. 파종에 앞서 볍씨를 물에 담가
  24. 3일이 지난 후 건져내어
  25. 짚으로 엮은 섬(공석)에 담아
  26. 온화한 곳에 둔다.
  27. 자주 열어 보아
  28. 뜨지 않도록 하고
  29. 싹이 두푼 쯤 나오거든 논에 고루 뿌린 다음
  30. 판로<향명 번지 >나 고무래 (밀개)로 씨를 덮고
  31. 물을 대며 새를 쫓는다. 묘싹이 나올 동안.
  32. 모가 두잎 쯤 나오면 물을 빼고
  33. 손으로 기음 을 매는데
  34. (모가 약하므로 호미를 쓰지 말 것이나
  35. 물이 말라서 흙이 단단하면 호미를 써야 한다.>
  36. 모 사이의 가는 풀을 뽑고
  37. <기음을 맨 후 다시 물을 대나
  38. 모가 약할 때에는 얕게
  39. 강할 때에는 깊게 댄다.>
  40. 개울에서 물대는 곳으로서
  41. 비록 가물어도 마르지 않는 곳은
  42. 기음을 맨 후에 매양 물을 빼고 뿌리를 햇볕에 2일간 쪼였다가
  43. 다시 물을 댄다. <바람과 가뭄에 잘 견디게 하고자 함이다.
  44. 모가 반자 정도 자라면
  45. 또 기음을 매는데 호미로 맨다.
  46. <모가 튼튼해서 호미를 쓸 수 있다>
  47. 맬 때에는 손으로 모 사이의 흙바닥을 주물러 부드럽게 해야하며
  48. 기음매기는 3~4회 한다.
  49. <곡식이 자라는 것은 오로지 매어 가꾸는 공에 힘입는 것이며
  50. 또 올벼는 자람이 속하므로
  51. 일손도 늦추어서는 안 된다
  52. 벼가 익어갈 때에는 물을 뺀다.
  53. <물이 있으면 더디 익는다.>
  54. 올벼의 벼알은 잘 떨어지므로
  55. 익는대로 수시 베어야 한다.

Korean Translation, NKV

  1. ○ 벼 심는 법
  2. 벼 종자에는 올 벼와 늦벼가 있으며
  3. 경종 방법에도 물사미(水耕)와
  4. 건사미(乾耕)가 있고
  5. 또 모를 심는(揷種) 법도 있다.
  6. <제초하는 방법은 대개 같다.>
  7. ○ 올 벼의 재배에 있어서 가을에
  8. 수원(水源)이 좋은 비옥한 수전을 선택하여
  9. <대개 수전은 한 쪽으로는 물을 끌어댈 수 있고
  10. 다른 쪽으로는 물을 댈 수 있게 되어
  11. 가물면 물을 대고 비 올 때에는 물을 뺄 수 있게 된 데가 상등전이다.
  12. 웅덩이에로 물이 고이는 데가 다음 가는 수전이다.
  13. 그러나 비가 오래 동안 오면 진흙 때문에 모가 썩는 결함이 있다.
  14. 땅이 높아서 비가 와야만 재배할 수 있는 데가 하등전이다.>
  15. 논을 갈고
  16. 겨울에 거름을 편다.
  17. <정월이 되여 어름이 풀리기 되거든 밭을 갈고 거름을 주거나
  18. 신토(新土)를 넣어도 된다.>
  19. 2월 상순에 또 갈고
  20. 써레로써 종횡으로 땅을 평평하게 만들고
  21. 다시 쇠스랑으로써
  22. 흙덩이를 잘 부수어 땅을 풀리게 한다.
  23. 벼 종자를 물에 담그었다가
  24. 사흘만에 걸러내여
  25. 빈섬 속에 넣어
  26. 따스한 곳에 둔다.
  27. 그것을 종종 열어 보아
  28. 뜨지 않도록 보살펴야 한다.
  29. 싹이 두푼 쯤 자라거든 논에다가 고르히 뿌리고
  30. 번지나 밀개로써 종자에 흙이 덮이도록 하고
  31. 물을 대여 준 다음 새를 쫓는다.
  32. 모 잎이 두 잎이 되면 물을 빼고
  33. 손으로 김을 맨다.
  34. <모가 약하면 호미로 매지 말아야 한다.
  35. 그러나 물이 마르고 흙이 굳으면 호미로 매여도 좋다.>
  36. 모 어간에 있는 잔풀을 매여 버린 후에 다시 물을 대여 준다.
  37. <가끔 물을 빼고 김을 다 매고는 그 때마다 물을 준다.
  38. 모가 약한 때에는 물을 얕게 대여야 하며
  39. 모가 건전할 때에는 물을 깊게 대여야 한다.>
  40. 만일 수원이 좋아서
  41. 가물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 곳이라면
  42. 김을 맬 때마다 물을 빼고 이틀 동안 뿌리를 해볕에 쬐여 준 다음
  43. 또 물을 대여 준다. <이처럼 하면 모가 풍재와 한재를 잘 이기여 낸다.>
  44. 모가 반자 정도 자라거든
  45. 호미로 김을 맨다.
  46. <모가 건전하면 호미를 사용할 수 있다.>
  47. 김을 맬 때에는 량손으로써 모 어간의 흙을 뒤섞어 연하게 하여 준다.
  48. 김은 3~4회 실시한다.
  49. <곡류(禾穀)의 성장은 오직 김에 달려 있다.
  50. 또 올 벼는 빨리 자라므로
  51. 제초 시기를 조금이라도 놓쳐서는 안된다.>
  52. 거의 여물어가거든 락수한다.
  53. <물이 있으면 늦게 여분다.>
  54. 올 벼는 여물면 잘 떨어지므로
  55. 여무는 차례로 베여야 한다.

English Translation, Version 1

  1. ○ Cultivating Rice (Supplement: Dry Field Rice)
  2. Rice plants come in early and late varieties.
  3. As for cultivation and planting methods, there is wet farming (known locally as susari),
  4. dry farming (known locally as gŏnsari),
  5. and also transplanting (known locally as myojong).
  6. The method of weeding is generally the same for all varieties.
  7. ○ For early-ripening rice, after the autumn harvest,
  8. choose the most fertile wet fields with an accessible source of water
  9. (In general, wet fields are irrigated from above
  10. and drained below.
  11. The best [located fields] can be irrigated during droughts and drained during the rain.
  12. Second [best] are fields where still water collects on the low ground,
  13. because long rains may muddy and roil the water, rotting the seedlings.
  14. The worst are fields on high ground where farming is only possible when it rains.>
  15. and cultivate them.
  16. In the winter months, apply manure [onto the fields].
  17. (When the spring thaw occurs in the first month, plow the fields and apply manure,
  18. or another way is to bring in new soil.>
  19. Then plow again in the first ten days of the second month.
  20. Harrow the soil flat lengthwise and breadthwise with the mokchak (known locally as sohŭlla).
  21. Break the dirt clods again with the ch'ŏlch'ip'a (known locally as such’uŭm)
  22. to prepare the soil for planting.
  23. First soak the rice seeds in water
  24. and after three days take them out to drain
  25. and put them inside the basket hoch’ŏn (known locally as pinongsŏm or kongsŏm )
  26. and store in a warm place.
  27. Frequently open [the basket] and check [the rice seeds],
  28. making sure they do not become damp and shrivel up.
  29. When the sprouts become two pun long, scatter them evenly in the paddies
  30. and cover the seeds using a p’allo (known locally as pŏnji) or a p’aro (known locally as ch’ugae or milgae),
  31. then irrigate the fields to keep the birds out (until the seedlings grow).
  32. When the seedlings sprout two leaves, drain the water.
  33. After completely removing by hand (the tiny weeds)
  34. <The seedlings are fragile so a hoe cannot be used.
  35. However, if the water evaporates and the soil firms up, a hoe should be used.)
  36. (removing) the tiny weeds in between the seedlings, irrigate again.
  37. <Drain the water each time before weeding. Once weeding is complete, irrigate it.
  38. While the seedlings are still young and fragile, irrigate lightly,
  39. and when the seedlings are mature and strong, irrigate heavily.>
  40. As the water [linked with a stream] flows through the fields,
  41. even in drought the fields will not dry out.
  42. Every time the weeding is completed, drain the water and expose the roots to the sunlight. After two days,
  43. irrigate the fields again (so they withstand wind and drought).
  44. When the seedlings grow to about half a ch’ŏk (about 10 cm),
  45. weed again with a hoe
  46. <the seedlings are mature so using a hoe is allowed>.
  47. When weeding, use the hands to pat lightly the soil surface between the seedlings.
  48. Weed up to three or four times
  49. (The growth of the standing grain depends solely on the weeding effort.
  50. Moreover, the early ripening variety grows quickly by nature,
  51. so the slightest delay in the weeding is not allowed).
  52. When the standing grain is about to ripen, drain the water.
  53. (if the water remains, it delays the ripening of the standing grain).
  54. The grain of early ripening varieties is prone to drop [from the ear],
  55. so harvest it as soon as it is ripe.

English Translation, Version 2

  1. ○ Sowing and Cultivating Rice (Supplement: Dry Field Rice)
  2. There are early-sowing varieties and late-sowing varieties.
  3. As for cultivation and sowing methods, there are wet farming (Its vernacular name is musalmi),
  4. dry farming (Its vernacular term is marŭnsami),
  5. and transplanting rice seedlings (Its vernacular name is myojong).
  6. The method of weeding is generally the same for all varieties.
  7. ○ For [the] early-ripening rice, after the autumn harvest,
  8. choose the most fertile wet fields with an accessible source of water
  9. <In general, terraced paddy fields should be irrigated from above
  10. and drained below.[2]
  11. It is the best [fields] that can be irrigated during droughts and drained during the rain.
  12. Second [best] are fields where still water collects on the low ground.[3]
  13. However, long rains may make the water muddy and roily, causing the seedlings to rot.
  14. The worst are fields on high ground where farming is only possible when it rains.>
  15. and plow them.
  16. In the winter months, apply manure [onto the fields].
  17. <When the [spring] thaw occurs in the first month, plow the fields and apply manure,
  18. or another way is to bring in new soil.>
  19. Then plow again in the first ten days of the second month.
  20. Harrow the soil flat lengthwise and breadthwise with the mokchak (Its vernacular name is sohŭlla.).
  21. Level the soil further by breaking the clods with the ch'ŏlch'ip'a (Its vernacular name is susuŭm)
  22. to prepare the soil for planting.
  23. Before planting rice seeds, soak them in water
  24. and after three days take them out to drain
  25. and put them inside the hoch’ŏn, a bowl-shaped straw basket (Its vernacular name is pinsŏm or kongsŏm)
  26. and store in a warm place.
  27. Frequently open [the basket] and check [the rice seeds],
  28. making sure they do not become damp and smelly
  29. then the sprouts become two p’un (0.4 cm) long, scatter them evenly in the paddies
  30. and cover the seeds [with soil] using a p’allo (Its vernacular name is pŏnji) or a p’aro (Its vernacular name is ch’ugae or milgae),
  31. then irrigate the fields and keep the birds out (until the seedlings grow).
  32. When the seedlings sprout two leaves, drain the water.
  33. After completely removing by hand (the tiny weeds)
  34. <The seedlings are fragile so a hoe cannot be used.
  35. However, if the water evaporates and the soil firms up, a hoe should be used.)
  36. after removing the tiny weeds in between the seedlings, irrigate again.
  37. <Drain the water each time before weeding. Once weeding is complete, irrigate it.
  38. While the seedlings are still young and fragile, irrigate lightly,
  39. and when the seedlings are mature and strong, irrigate heavily.>
  40. Ifthe field has a constant source of water such as a stream,
  41. so that it does not dry out even in drought,
  42. then every time the weeding is completed, drain the water and expose the roots to the sunlight. After two days,
  43. restart irrigation (so they withstand wind and drought).
  44. When the seedlings grow to about half a ch’ŏk (about 10 cm),
  45. weed again with a hoe
  46. <the seedlings are firmly rooted so using a hoe is allowed>.
  47. When weeding, use the hands to rub gently the soil surface between the seedlings.
  48. Weed up to three or four times
  49. (The growth of the rice plants depends solely on the weeding effort.
  50. Moreover, the early ripening variety grows quickly by nature,
  51. so the slightest delay in the weeding is not allowed>
  52. When the rice is about to ripen, drain the water.
  53. <if the water remains, it delays the ripening of the rice.>
  54. The grain of early ripening varieties is prone to drop [from the ear],
  55. so harvest it as soon as it is ripe.


To Do

25.蒿 (쑥 호, 짚 고), 篅 (대그릇 천)

28.뜨다: 물기 있는 물체가 제 훈김으로 썩기 시작하다. shrivel up : to become dry and develop deep lines because of heat, lack of water, etc. 鬱 (썩어 냄새가 나다, 일다 울) 浥 (젖을 읍)

29. 二分 0.606cm, 尺 = 30.3 cm approximately (In the chapter How to assess the Quality of Wasteland it it said to be 2 cm….) 寸 = 3.03 cm, 分 is one tenth of 寸, so 0.303 cm.

36. 訖: 이를 흘, 모두 흘

44. How long is “半尺”? 1 尺: 29.6 (Tang), 1 尺: 20 cm, 1촌: 2 cm, 1푼: 0.2 cm

47. 挼: 주무를 뇌

Students' Contribution

Student 1: 린지

○ 種稻 附旱稻

稻種有早有晩. 耕種法, 有水耕【鄕名水沙彌】,有乾耕【鄕名乾沙彌】,又有揷種【鄕名苗種】. 除草之法, 則大抵皆同.

早稻秋收後, 擇連水源肥膏水田 【凡水田, 上可以引水,下可以決去. 旱 則灌之, 雨則洩 之者爲上. 洿 下渟水處次之. 然久雨泥渾, 則苗腐. 高處須雨而耕者, 斯爲下矣】, 耕之.

冬月, 入糞 【正月氷解, 耕之, 入糞, 或入新土亦得】, 二月上旬, 又耕之. 以木斫 【鄕名所訖羅】, 縱橫摩平, 復以鐵齒擺 【鄕名手愁音】打破土塊, 令熟.

先以稻種, 漬 水, 經三日, 漉出, 納蒿篅 中 【鄕名空石】, 置溫處. 頻頻開視, 勿致鬱 浥. 芽長二分, 均撒水田中,以板撈 【鄕名飜地】, 或把撈 【鄕名推介】, 覆種, 灌水驅鳥 【以苗生爲限】. 苗生二葉, 則去水. 以手耘苗弱, 【不可用鋤, 然水渴土强, 則當用鋤】, 去苗間細草訖,【又灌水每去水而耘, 耘訖, 灌之, 苗弱時, 宜淺, 苗强時, 宜深】.

如川水連通, 雖旱, 不渴處,則每耘訖, 決去水, 曝根, 二日後, 還灌水【耐風與旱】. 苗長半尺許,又耘以鋤苗强, 【可以用鋤】. 耘時, 以手挼軟苗間土面, 耘至三四度禾穀成長, 【唯賴鋤功. 且早稻性速, 不可小緩】, 將熟, 去水 【有水, 則熟遲】. 早稻善零, 隨熟隨刈.


○ Sowing and Cultivating Rice (Including Non-glutinous Rice)

There are early-sowing varieties and late-sowing varieties. As for cultivation and sowing methods, there are wet farming (commonly called musalmi), dry farming (commonly called mareunsami), and transplanting rice seedlings (commonly called myojong). The method of weeding is generally the same for all varieties.

For early-ripening rice: after the autumn harvest, choose the most fertile wet fields with an accessible source of water (In general, terraced paddy fields should be irrigated from above and drained below. The best [fields] are those that can be irrigated during droughts and drained during the rain. The second [best] are those where still water collects on the low ground. However, long rains may make the water sludgy and turbid, causing the seedlings to rot. The worst are those on high ground where farming is only possible when it rains.) and plow them.

In the winter months, apply manure [onto the fields]. (When the [spring] thaw occurs in the first [lunar] month, plow the fields and apply manure, or another way is to bring in new soil.) Then, plow again in the first lunar week of the second month. With a mokchak (commonly called soheulla), harrow the soil lengthwise and breadthwise. Then again, with a cheolchipa (commonly called susueum), break up the clods of soil to make it ready [for planting].

Before planting rice seeds, soak them in water and after three days take them out to drain and put them inside a hocheon (commonly called binseom or gongseom) and store in a warm place. Frequently open [the basket] and check [the rice grains], making sure they do not become damp and smelly. When the sprouts become two pun [0.4 cm] long, scatter them evenly in the paddies and cover the seeds [with soil] using a pallo (commonly called beonji) or a paro (commonly called chugae or milgae), then irrigate the fields and keep the birds out (until the seedlings grow). When the seedlings sprout two leaves, drain the water. After completely removing by hand [the tiny weeds] (The seedlings are fragile so a homi cannot be used. However, if the water evaporates and the soil firms up, a homi should be used.) in between the seedlings , irrigate again. (Drain the water each time before weeding. Once weeding is complete, irrigate it. While the seedlings are still young and fragile, irrigate lightly, and when the seedlings are mature and strong, irrigate heavily.)

If the field has a constant source of water such as a stream, so that it does not dry out even in drought, then every time the weeding is completed, drain the water, and expose the roots to the sunlight. After two days, restart irrigation (so they withstand wind and drought). When the seedlings grow to about half a cheok [about 10 cm], weed again with a homi (the seedlings are firmly rooted so using a homi is allowed). When weeding, use the hands to rub gently the soil surface between the seedlings. Weed up to three or four times (The growth of the rice plants depends solely on weeding. Moreover, the early ripening variety grows quickly by nature, so the slightest delay in the weeding is not allowed). When the rice is about to ripen, drain the water. (If the water remains, it delays the ripening of the rice.) The grain of early ripening varieties is prone to drop [from the ear], so harvest it as soon as it is ripe.

  • 附旱稻
    • 기존
      • KV1 <한도(旱稻)를 덧붙임>
      • KV2 <메벼(旱稻)를 덧붙임>
      • RDA <늦게 심는 법을 첨부함>
      • NKV X
      • ENG (Supplement: Dry Field Rice)
    • (네이버 사전) 메벼 - 벼의 하나. 낟알에 찰기가 없으며, 열매에서 멥쌀을 얻는다.
      • (네이버 사전) 낟알 - 껍질을 벗기지 아니한 곡식의 알.
      • (네이버 사전) 찰기 - 곡식이나 그것으로 만든 음식 따위의 끈기 있는 성질이나 기운.
      • 찰벼 (찹쌀) 와 비교 - glutinous rice
      • --> non-glutinous rice
  • rice seeds
    • rice는 rice plant의 씨앗 그 자체를 뜻하기 때문에 rice seeds라고 하면 "벼 씨앗의 씨앗"을 뜻한다. 따라서 "rice seed"이라고 하면 안 된다. 벼와 벼의 씨앗을 구분하고 싶다면 차라리 "rice plant"와 "rice"으로 하는 것을 권장한다.
    • "Rice is the seed of the grass species Oryza sativa (Asian rice) or Oryza glaberrima (African rice)."[4]
  • 旬 lunar week
  • 鄕名 commonly called, otherwise known as, commonly referred to as
  • 泥渾 muddy and roily --> sludgy and turbid
    • roily is a very uncommon word almost no one will know
    • 泥 dirty, sludge, mud
      • muddy: to make turbid
      • sludgy: mud, mire, ooze at the bottom of a body of water (진함을 강조 하는 말)[5]
    • 渾 muddy, murky, jumbled up, turbid, turbulent
      • turbid: not clear or transparent because of stirred-up sediment[6]
  • the mokchak, the cheollipa X --> a mokchak, a cheollipa
  • 以木斫 【鄕名所訖羅】, 縱橫摩平, 復以鐵齒擺 【鄕名手愁音】打破土塊, 令熟.
    • Order of words
    • 縱橫 lengthwise/breadthwise versus vertical/horizontal (used in a previous section)
    • 摩平 Harrow flat versus just harrow
      • flat is implied in the word harrow
    • Breaking versus breaking up
      • prepare or make ready?
    • Original: Harrow the soil flat lengthwise and breadthwise with the mokchak (known locally as sohŭlla). Break the dirt clods again with the ch'ŏlch'ip'a (known locally as such’uŭm) to prepare the soil for planting.
    • Edited version: With a mokchak (commonly called soheulla), harrow the soil lengthwise and breadthwise. Then again, with a cheolchipa (commonly called susueum), break up the clods of soil to make [the soil] ready [for planting].
  • What is a "hoe" - should we keep consistent with romanization of tools?
    • 호미
    • 그냥 hoe 아니고 (short half-moon hoe)
    • 鋤功
    • if 鋤 is 'homi' or hoe, then 鋤功 is the act of using the homi... which is, in effect, "weeding." Saying "weeding effort" is redundant.

Student 2: 에벨린


Student 3: 권지은


Student 4: 안카


Student 5: 이창섭

원문 대조 및 수정

  1. 種稻 【附旱稻】.
  2. 稻種有早有晩.
  3. 耕種法, 有水耕,【鄕名水沙彌】,有乾耕【鄕名乾沙彌】,又有揷種 【鄕名苗種】.
  4. 除草之法, 則大抵皆同.
  5. ○早稻秋收後,擇連水源肥膏水田.
  6. 【凡水田, 上可以引水,下可以決去. 旱,則灌之, 雨則洩之者爲上. 洿,下渟水處次之. 然久雨泥渾, 則苗腐. 高處須雨而耕者, 斯爲下矣.】
  7. 耕之,冬月入糞.
  8. 【正月氷解, 耕之入糞, 或入新土亦得.】
  9. 二月上旬, 又耕之, 以木斫,【鄕名, 所訖羅】, 縱橫摩平, 復以鐵齒擺【鄕名手愁音】,打破土塊令熟.
  10. 先以稻種, 漬水, 經三日漉出, 納蒿篅中【鄕名空石】, 置溫處.
  11. 頻頻開視, 勿致鬱浥.
  12. 芽長二分, 均撒水田中, 以板撈【鄕名飜地】, 或把撈 【鄕名推介】, 覆種, 灌水驅鳥【以苗生爲限】.
  13. 苗生二葉, 則去水, 以手耘.
  14. 【苗弱, 不可用鋤,然水渴土强, 則當用鋤.】
  15. 去苗間細草訖, 又灌水.
  16. 【每去水而耘, 耘訖灌之. 苗弱時, 宜淺,苗强時, 宜深.】
  17. 如川水連通,雖旱不渴處, 則每耘訖, 決去水, 曝根二日後, 還灌水【耐風與旱】.
  18. 苗長半尺許, 又耘以鋤.
  19. 【苗强, 可以用鋤.】
  20. 耘時, 以手挼軟苗間土面,耘至三四度.
  21. 【禾穀成長, 唯賴鋤功.且早稻性速, 不可小緩.】
  22. 將熟, 去水【有水, 則熟遲.】, 早稻善零, 隨熟隨刈.
한글 번역 적용(KR V2)
  1. 벼 심고 키우기 【메벼(旱稻)를 덧붙임】.
  2. 벼의 품종으로는 [일찍 파종하는] 올벼가 있고 [늦게 파종하는] 늦벼가 있다.
  3. 경종법으로는 [물을 채운 논에서 재배하는] 수경법(水耕法) 【향명으로는 무삶이(水沙彌)】이 있고, [물이 없는 논에서 재배하는] 건경법(乾耕法) 【향명(鄕名)으로는 마른 삶이(乾沙彌)】 이 있고, 또한 [모를 심는] 삽종법(揷種法) 【향명으로는 묘종】이 있다.
  4. 제초하는 방법은 대개 같다.
  5. ○ 올벼[早稻]를 [경종하기 위해서는] 추수(가을걷이)한 후에 수원지가 연결되어 있는(물을 공급하기 쉬운) 비옥한 논을 택한다.
  6. 【대개 논은 위치가 높은 곳에서부터 물을 끌어댈 수 있고, 낮은 위치에서 물을 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가뭄이 들면 물을 공급하여 주고, 비가 오면 물을 뺄 수 있는 곳이 가장 좋은 논이다. 웅덩이에로 물이 고이는 곳이 그 다음으로 좋은 논이지만 그러나 비가 오랫 동안 오면 진흙에 섞여 모가 썩는 결함이 있다. 높은 곳에 위치하여 비가 내리기를 기다려서 경작할 수 있는 곳은 가장 안 좋은 논이다.】
  7. [논을]갈 때 겨울에는 거름을 투입한다.
  8. 【정월에 얼음이 녹을 때 갈이를 하고 거름을 투입하거나 혹은 객토를 하여도 좋다.】
  9. 2월 상순에 다시 한 번 더 갈이를 한다. 써레(木斫) 【향명으로는 소흘라】로 가로 세로로 평평히 고르고, 다시 쇠스랑(鐵齒擺) 【향명(鄕名)으로는 수수음(手愁音)】 으로 흙덩이를 깨뜨려 잘 삶는다(무르게 한다).
  10. 파종에 앞서 볍씨를 물에 담가 3일이 지난 후에 건져내어 짚으로 엮은 바구니【향명 빈섬(空石)】에 담아 따뜻한 곳에 보관하여 둔다.
  11. 자주 자주 열어 보아 (벼 종자가) 눅눅해지지 않도록 한다.
  12. 싹이 2푼 쯤(약 0.4cm) 자라면 논에 골고루 뿌리고 판로【향명으로는 번지】나 고무래【향명으로는 밀개】로 씨를 덮고 새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물을 공급한다. 【묘가 자랄 기간 동안에만】
  13. 모에서 잎이 두 개가 나오면 물을 빼며, 손으로 김을 맨다.
  14. 【모가 어리고 약하기 때문에 호미를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물이 마르고 흙이 굳으면 호미로 마땅히 [김을] 매야 한다.】
  15. 모와 모 사이의 가는 풀을 뽑고 다시 물을 투입한다.
  16. 【김을 맬 때마다 물을 빼고, 김매기가 끝나면 다시 물을 대준다. 묘가 약할 때에는 물을 얕게, 강할 때에는 깊게 댄다.】
  17. 개천과 같이 물이 끊임없이 통해서 가뭄이 들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 곳은 [이러한 곳에서] 김매기가 매번 끝난 다음에 완전히 물을 빼고, 뿌리를 햇볕에 2일간 쬐인 후에 또 물을 대여 준다. 【바람과 가뭄에 강하게 견디어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18. 모의 길이가 반 자(대략 10 cm)쯤 될 정도로 자라면 또 김을 매는데 호미를 가지고 한다.
  19. 【모가 이미 굳게 뿌리를 내려서 호미를 사용해도 되기 때문이다.】
  20. 김을 맬 때에 손을 사용하여 모와 모 사이에 있는 흙 표면을 부드럽게 눌러주며 김매기는 3~4번까지 한다.
  21. 【벼과 곡식이 성장하는 것은 오직 김을 매주는 공력에 달려있다. 게다가 올벼의 성질은 빨리 자라므로 김매기를 게을리 할 수 없다.】
  22. 장차 벼가 익어갈 때에는 물을 뺀다. 【만약 이 때 물이 있으면 벼가 익는 것이 지체된다.】 올 벼는 [여물면] 잘 떨어지므로 익는 대로 수시로 베어야 한다.
Comment
  • 5번 문장에 동사가 해석이 안되어 있습니다.
  • 7번 문장에 골라서 갈이를 한다고 해석이 무슨 뜻인지 알고 싶습니다.
  • 원문과 주석이 병행되어 있어서 편집및 해석이 어렵습니다. 차라리 원문을 쭉 이어주고, 아랫 문단에 주석을 다는 방식으로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시
  • 수정전 芽長二分, 均撒水田中, 以板撈【鄕名飜地】, 或把撈 【鄕名推介】, 覆種, 灌水驅鳥【以苗生爲限】.
  • 수정후
    • 芽長二分, 均撒水田中, 以板撈(1), 或把撈(2), 覆種, 灌水驅鳥(3).
    • (1)【鄕名飜地】
    • (2)【鄕名推介】
    • (3)【以苗生爲限】

Student 6: 강혜원


Tutor 1: 전성호

  1. ○ 早稻 早稻(수경(水耕)생략)
  2. 秋收後,
  3. 擇連水源肥膏水田

以板撈【鄕名: 翻地】或把撈【鄕名: 推介】覆種, 灌水, 驅鳥。【以苗生爲限】


Tutor 2: 김현

標點 Punctuation

Text with Punctuation Punctuation Marks

○稻種有早有晩。 耕種法有水耕【鄕名: 水沙彌】有乾耕【鄕名: 乾沙彌】, 又有揷種【鄕名: 苗種】。 除草之法, 則大抵皆同。

○早稻:

秋收後, 擇連水源肥膏水田,【凡水田, 上可以引水, 下可以決去。 旱則灌之, 雨則洩之者, 爲上。 洿下渟水處, 次之, 然久雨泥渾, 則苗腐。 高處須雨而耕者, 斯爲下矣。】 耕之。

冬月入糞。【正月氷解, 耕之入糞。或入新土亦得。】

二月上旬又耕之。 以木斫【鄕名: 所訖羅】縱橫摩平, 復以鐵齒擺【鄕名: 手愁音】打破土塊令熟。

先以稻種漬水, 經三日漉出, 納蒿篅中【鄕名: 空石】, 置溫處。 頻頻開視, 勿致鬱浥。

芽長二分, 均撒水田中, 以板撈【鄕名: 翻地】或把撈【鄕名: 推介】覆種。 灌水驅鳥。【苗生爲限】

苗生二葉, 則去水, 以手耘。【苗弱, 不可用鋤。 然水渴土强, 則當用鋤。】

去苗間細草, 訖又灌水。【每去水而耘, 耘訖灌之。 苗弱時宜淺, 苗强時宜深。】

如川水連通, 雖旱不渴處, 則每耘訖決去水, 曝根二日, 後還灌水。【耐風與旱】

苗長半尺許, 又耘以鋤。【苗强, 可以用鋤。】

耘時, 以手挼軟苗間土面。 耘至三四度,【禾穀成長, 唯賴鋤功。 且旱稻性速, 不可小緩。】 將熟去水。【有水, 則熟遲。】

早稻善零, 隨熟隨刈。

音/訓 Character Reading

※ Characters with 氵(水) radical in this section ☞ The meaning of each character is all related to water (水).

  • 源 원 yuán​ ...... source / origin
  • 決 결 jué​ ...... (of a dam etc) to breach or burst
  • 灌 관 guàn​ ...... to irrigate
  • 洩(=泄 ) 설 xiè​ ...... to leak (of water or gas)
  • 洿 오 wū​ ...... dig (a pond) / stagnant water
  • 渟 정 tíng​ ...... stagnant water
  • 泥 니 ní​ ...... mud / clay / restrained
  • 渾 혼 hún​ ...... muddy / to mix
  • 漬 지 zì​ ...... to soak / to be stained
  • 溫 온 wēn​ ...... to warm up
  • 浥 읍 yì​ ...... damp / moist
  • 渴 갈 kě​ ...... thirsty / lack of water

文型 Pattern Practice

  • 稻種有早有晩。 耕種法有水耕有乾耕又有揷種。
    • (a) 有 (b) ...... (B) exsists in (A). There is (B) in (A).
  • 高處須雨而耕者, 斯爲下矣。
    • (A), 斯爲(B) ...... (A), this is (B). ☞ to emphasize "(A) is (B)."
  • 二月上旬又耕之。 以木斫縱橫摩平, 復以鐵齒擺打破土塊令熟。
    • (a), 復(b) ...... 耕之 by doing (A), 耕之 again by doing(B)
  • 隨熟隨刈。
    • 隨(a) 隨(b) ...... following (A) do (B) ☞ as soon as (A), do (b)

Class Comments

Jeeeun


Anca


ChangSup


Lyndsey


Evelyn


Collaborative Translation Result

English Translation, Version 3 (Editor: __________ )


Glossary

Type Hanja Hangeul MR RR English

Further Readings

References

  1. 무삶이 논에 물을 대어 써레질을 하고 나래로 고르는 일. 또는 물을 대어 써레질을 한 논. (국립국어원)
  2. The technique of cultivating terraced paddy fields 다랭이논 is not from Hwanghe(Yellow river) valley but from Himalayan mountains. From Himalayan mountains came three agricultural methods; one is Indian method, another is Chinese method, and the last is Korean method. The name Himalaya consists of two parts: Him means ‘snow’, alaya means ‘house’, therefore resulting in ‘a house full of snow.’
  3. 천수답 rain-fed paddy 전천후답 all weather fields (?) - 전천후농사 all weather agriculture
  4. [https://en.wikipedia.org/wiki/Rice Wikipedia "Rice"
  5. Dictionary.com, "Sludge"
  6. Dictionary.com, "Turb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