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문화유산 콘텐츠 편찬 계획(임정훈 정송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lassics
이동: 둘러보기, 검색
(논의사항 및 중간발표 피드백(2021.5.13~ 6.22))
(참고문헌 및 사이트(종합))
73번째 줄: 73번째 줄:
  
 
==참고문헌 및 사이트(종합)==
 
==참고문헌 및 사이트(종합)==
 
+
김현 외 2인, 『디지털 인문학 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18. <br>
 
진홍섭, 『불상』, 대원문화사, 1989 <br>
 
진홍섭, 『불상』, 대원문화사, 1989 <br>
장충식, 『한국의 불상』,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1986 <br>
+
장충식, 『한국의 불상』,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1986. <br>
황수영, 『한국의 불상』, 문예출판사, 1989 <br>
+
황수영, 『한국의 불상』, 문예출판사, 1989. <br>
 
[[https://citaliarestauro.com/en/what-are-art-styles/ citaliarestauro.com]]<br>
 
[[https://citaliarestauro.com/en/what-are-art-styles/ citaliarestauro.com]]<br>
 
[[https://www.museum.go.kr/site/eng/showroom/list/757?showroomCode=DM0031 국립중앙박물관]]<br>
 
[[https://www.museum.go.kr/site/eng/showroom/list/757?showroomCode=DM0031 국립중앙박물관]]<br>
 
[[https://www.metmuseum.org/toah/hd/kobs/hd_kobs.htm 메트로폴리탄뮤지엄]]
 
[[https://www.metmuseum.org/toah/hd/kobs/hd_kobs.htm 메트로폴리탄뮤지엄]]

2021년 6월 21일 (월) 23:38 판

2021 문화유산 콘텐츠 편찬 대상

문화재명(문화재청) 부처님 명호 수인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 비로자나불 지권인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석가모니불 항마촉지인
안동 안정사 석조여래좌상 석가모니불 항마촉지인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아미타불/미륵불 아미타구품인
옥산사 마애약사여래좌상 약사여래불 약기인

콘텐츠 편찬 계획 및 작업과정

문화유산 콘텐츠 편찬을 위한 과정설계

  • 주제선정의 기준: Cultutral Heritage Wiki [안동시 문화유산목록]을 기준으로 안동시 소재 불상(5)을 선정함
  • 역할분담
    • 기본원고(해당 문화재의 제작 시대, 수리이력 등) 및 기본원고와 관련한 추가 정보용 위키페이지 제작: 정송이
    • 기본원고 토대로 데이터 설계 및 네트워크 그래프 만들기
    • 개념 및 경전 관련 내용의 2차 원고 작성 (부처님의 종류, 32상 80종호, 수인의 종류, 연관된 경전 속의 이야기): 임정훈
    • 2차 원고 토대로 데이터 설계 및 네트워크 그래프 만들기

페이지 구성의 원칙

  • 각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대문 페이지는 최소한의 필수 정보와 흥미를 유도할 만한 내용만을 담도록 함
  • 대문 페이지에서 흥미를 가질 만한 키워드는 심화되는 내용의 별도 페이지로 구성함
  • 네트워크 그래프도 마찬가지로 필수적인 관계만을 제시해 단순화함.
  • 안동의 불상 해설문을 표층으로 하지만 심층으로는 불상 전반에 관한 지식을 전달하는 위키 페이지로 구성

작업노트

콘텐츠용 제작 위키페이지

  • 기본원고를 읽은 이용자가 추가적인 정보를 원할 경우를 생각하여 만든 콘텐츠
    • 안동_문화유산_불상의_부처님들: 각 불상마다 도상적인 특징으로 해석되는 부처님의 존명을 설명
    • 불상의_수인: 불상의 존명을 해석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도상적 표식인 수인을 설명 (우선, 안동 불상에서 보이는 대표적인 수인만 언급)
    • 안동의_불상_양식: 본 콘텐츠 대상의 불상들과 유사한 양식의 한국과 중국의 불상 사례 열거 및 한국 고대불교조각의 양식적 특징을 개론적으로 설명

네트워크 그래프

  • 문화유산 콘텐츠 편찬의 가장 기본자료가 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구축하고 그 결과물을 보여주는 방식 가운데 하나.
  • 데이터베이스 설계자가 본인 설계의 오류나 보완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방식.
  • 이용자가 본인의 관심사에 따라 능동적으로 자료접근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논의사항 및 중간발표 피드백(2021.5.13~ 6.22)

  • 과제 방향성? 2차 심화자료도 너무 만연체로 나가지 않고 최소한 핵심만 간결하게 정리하고 흥미 요소가 있으면 첨가하는 식
  • 구성? 기존 위키페이지들 참고하며 적합한 구성 논의
  • 6.3 중간발표 교수님 코멘트
    • 개별문서들은 독립적인 제목으로 작성할 것(본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는 다양하기 때문에)
    • 주제 선정 기준 언급 필요
  • 6.10 교수님 코멘트
    • 제목
    • 참고문헌
  • 1차 원고 수정 및 재번역, 작성 위키페이지 및 네트워크 그래프 보완 및 수정

문화유산 콘텐츠(결과물)

참고문헌 및 사이트(종합)

김현 외 2인, 『디지털 인문학 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18.
진홍섭, 『불상』, 대원문화사, 1989
장충식, 『한국의 불상』,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1986.
황수영, 『한국의 불상』, 문예출판사, 1989.
[citaliarestauro.com]
[국립중앙박물관]
[메트로폴리탄뮤지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