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의 불상 양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lassics
이동: 둘러보기, 검색
51번째 줄: 51번째 줄:
  
 
===참고문헌 및 사이트===
 
===참고문헌 및 사이트===
 +
*불교미술, 디트리히 제켈 저, 이주형 옮김, 예경, 2007.
 
*중국의 불상, 배재호(배진달), 일지사, 2005.
 
*중국의 불상, 배재호(배진달), 일지사, 2005.
 
*문화재청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1년 6월 20일 (일) 01:25 판

해당 불상의 사진을 클릭하면 관련 정보로 이동합니다.

통일신라 9세기 불교조각

인도의 불교와 미술은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들어왔다. 그렇기에 한국 고대불교조각(삼국~통일신라)에서 중국 남북조시대~당대(唐代) 불교조각의 영향이 나타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럽다. 고대 중국 불교조각은 인도 불상의 전입기를 거쳐 점차 중국적인 특징이 불상에 표현되기 시작된다. 한국 고대불교조각에서 통일신라 9세기는 중국 당나라 불교조각 양식의 영향이 받아 신체의 양감과 비만함이 강조되는 시점이다. 중국 당나라 불교조각은 외래 불교조각의 수용과 융합의 시기를 거친 고대 중국불교 조각의 전성기로 정의된다. 안동 안정사 석조여래좌상,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은 당나라 불교조각의 풍만함과 유연한 신체표현의 영향을 받은 통일신라 9세기 불상이다.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7호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867년에 조성된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과 비슷한 양식으로 규정되어 통일신라 9세기 불상으로 추정된다. 특히 지권인을 취한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안동 안정사 석조여래좌상

고려 초기 불교조각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옥산사 마애약사여래좌상

참고문헌 및 사이트

  • 불교미술, 디트리히 제켈 저, 이주형 옮김, 예경, 2007.
  • 중국의 불상, 배재호(배진달), 일지사, 2005.
  • 문화재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