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gsajikseol - Growing glutinous mille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lassics
이동: 둘러보기, 검색
(Original Script)
(Korean Translation)
27번째 줄: 27번째 줄:
 
===Korean Translation===
 
===Korean Translation===
 
#
 
#
 +
#찰기장[稷]의 성질은 저지대에 습기가 많은 곳이 적합한데, 2월 중순에 땅을 갈고 목작(木斫) 【향명(鄕名)으로는 소흘라(所訖羅)이다.】 으로 부드럽게 다듬는다. 
 +
#3월 상순부터 4월 상순까지 언제나 파종할 수 있다.
 +
#파종법은 메기장․조[黍粟] 파종법과 동일하다.
 +
#또는 종자를 뿌리는 방법[撒擲]도 괜찮다.
 +
#밭이 척박하다면 분회(糞灰) 【잘 삭힌 거름과 뇨회(尿灰)이다. 아래도 이와 같다.】 를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 우선 이랑 사이에 잡초를 깐 뒤에 갈아서 파종하고 김매기는 2번 한다.
 +
#○ 찰기장[稷] 역시 일찍 익는 만종(晩種)이 있다. 【향명(鄕名)으로는 강직(姜稷)이다.】
 +
#양맥(兩麥)의 바닥에 6월 상순에 심을 수 있다.
  
 
===English Translation===
 
===English Translation===

2018년 5월 21일 (월) 14:47 판

Class Home Text Image Text with Punctuation

種稷 附姜稷 Growing glutinous millet

Original Script


14

  1. 種稷【附 姜稷】
  2. ○稷性宜下濕之地, 二月中旬耕地, 以木斫【所訖羅】 熟治.
  3. 自三月上旬至四月上旬, 皆可種.
  4. 種法與種黍粟同.
  5. 或撒擲種亦得.
  6. 田若塉薄, 用糞灰【熟糞與尿灰也.下倣此.】 或先布雜草於畝間 後耕種, 鋤至二度.
  7. ○稷亦有晩種早熟者【鄕名 姜稷】
  8. 兩麥底六月上旬可種

Previous Translations

Korean Translation

  1. 찰기장[稷]의 성질은 저지대에 습기가 많은 곳이 적합한데, 2월 중순에 땅을 갈고 목작(木斫) 【향명(鄕名)으로는 소흘라(所訖羅)이다.】 으로 부드럽게 다듬는다.
  2. 3월 상순부터 4월 상순까지 언제나 파종할 수 있다.
  3. 파종법은 메기장․조[黍粟] 파종법과 동일하다.
  4. 또는 종자를 뿌리는 방법[撒擲]도 괜찮다.
  5. 밭이 척박하다면 분회(糞灰) 【잘 삭힌 거름과 뇨회(尿灰)이다. 아래도 이와 같다.】 를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 우선 이랑 사이에 잡초를 깐 뒤에 갈아서 파종하고 김매기는 2번 한다.
  6. ○ 찰기장[稷] 역시 일찍 익는 만종(晩種)이 있다. 【향명(鄕名)으로는 강직(姜稷)이다.】
  7. 양맥(兩麥)의 바닥에 6월 상순에 심을 수 있다.

English Translation


Students' Contribution

Student 1: 린지


Student 3: 권지은


Tutor 1: 전성호


Tutor 2: 김현


Class Comments

Collaborative Translation Result

English Translation, Version 3 (Editor: __________ )


Glossary

Type Hanja Hangeul MR RR English

Further Reading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