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gsajikseol - Growing sesam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lassics
이동: 둘러보기, 검색
11번째 줄: 11번째 줄:
 
<tr>
 
<tr>
 
<td align="center"><a href="http://digerati.aks.ac.kr/DhLab/2018/103/jpg/page-18-1.jpg"><img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8/103/thumb/page-18-1_xs.jpg"/><br>18</a></td>
 
<td align="center"><a href="http://digerati.aks.ac.kr/DhLab/2018/103/jpg/page-18-1.jpg"><img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8/103/thumb/page-18-1_xs.jpg"/><br>18</a></td>
<td align="center"><a href="http://digerati.aks.ac.kr/DhLab/2018/103/jpg/page-19-1.jpg"><img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8/103/thumb/page-18-1_xs.jpg"/><br>19</a></td>
+
<td align="center"><a href="http://digerati.aks.ac.kr/DhLab/2018/103/jpg/page-19-1.jpg"><img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8/103/thumb/page-19-1_xs.jpg"/><br>19</a></td>
 
</tr>
 
</tr>
 
</table>
 
</table>
 
</html>
 
</html>
  
#
+
{|class="wikitable" style="width:60%"
 +
! Text with Punctuation
 +
|-
 +
|
 +
種胡麻<small>【鄕名 眞荏子 八稜者多油】</small> <small>【附 油麻】</small> <br/>
 +
○性宜荒地<small>【白壤尤良】</small> 四月間雨後<small>【不因雨則不生】</small> 耕地撒種 用檑木<small>【鄕名古音波】</small> 破塊覆土 鋤不過再 隨熟刈之 作束欲小<small>【束大難乾】</small> 五六束相倚爲叢 候口開逐束<br/>
 +
倒堅 以小杖輕打 取了還叢之 三日一打 四五遍乃盡 若熟田則四月上旬 麥根田則 趂刈麥後 和糞灰稀種<br/>
 +
○ 又一法 以白胡麻三分,晩小豆一分 相和種之 或以菉豆二分 胡麻一分相和亦得 耕訖作畝 以所和種 均撒覆土<br/>
 +
○ 油麻<small>【鄕名 水荏子】</small> 路邊或田畔宜種 每科相去一尺<small>【密則無枝少實】</small><br/>
 +
|}
 +
 
 +
# 種胡麻 鄕名眞荏子 <ref>
 +
*장서각본에는 뒤에 ‘有黑者巨勝’이 첨자로 추가로 첨가되어 있음.<br/>
 +
*국립중앙도서관본에는 뒤에 ‘油黑者巨勝’이 첨자로 추가로 첨가되어 있음.<br/>
 +
*국립중앙도서관본에는 아래의 내용이 추가로 첨가되어 있음.<br/>
 +
</ref>
 +
# 附油麻 八稜者多油 <ref>
 +
*장서각본에는 뒤에 ‘附油麻, 八稜者多油’이 누락되어 있음
 +
*국립중앙도서관본에는 뒤에 ‘八稜者多油’이 누락되어 있음
 +
</ref>
 +
#性宜荒地 白壤尤良
 +
#四月間雨後 不因雨則不生 耕地撒種 用檑木 鄕名古音波 破塊覆土<ref>국립중앙도서관본에는 ‘鄕名古音波’ 첨자가 누락되어 있음.</ref>
 +
#鋤不過再 隨熟刈之 作束欲小 束大難乾 五六束相倚爲叢
 +
#候口開逐束 倒堅 以小杖輕打 取了還叢之
 +
#三日一打 四五遍乃盡<ref>장서각본에는 ‘三日一打, 四五適乃盡.’으로 ‘遍’자가 ‘適’자로 되어 있음.</ref>
 +
#若熟田則四月上旬 麥根田則 趂刈麥後 和糞灰稀種<ref>국립중앙도서관본에 적힌 내용임. 三月上旬爲上時 四月上旬爲中時 五月上旬爲下時 月半前種者 多實
 +
</ref>
 +
#又一法
 +
#以白胡麻三分,晩小豆一分 相和種之
 +
#或以菉豆二分 胡麻一分相和亦得
 +
#耕訖作畝 以所和種 均撒覆土
 +
#油麻 鄕名水荏子 路邊或田畔宜種<ref>국립중앙도서관본에서는 ‘鄕名水荏’으로 ‘子’자가 누락되어 있음.</ref>
 +
#每科相去一尺
 +
#密則無枝少實
 +
 
  
 
=='''Previous Translations'''==
 
=='''Previous Translations'''==
 
===Korean Translation===
 
===Korean Translation===
#
+
#호마 재배법[種胡麻] 향명(鄕名)으로는 진임자(眞荏子)이다. 유마(油麻)를 덧붙이는데, <유마는> 팔릉(八稜) <품종>에 기름이 많다.
 +
#(호마는) 성질이 황무지[荒地]가 적합하다 흰 토양이면 더욱 좋다.
 +
#4월 중에 비가 내린 후 비가 내려 습하지 않으면 자라지 않는다. 땅을 갈고 씨를 뿌리며, 뇌목(檑木)(향명(鄕名)으로는 고음파(古音波)이다)으로 흙덩이를 부수어 땅을 덮는다.
 +
#김매기는 2번 이상 하지 않고 익는대로 베어내서, 작은 묶음[束]으로 만든 후 묶음이 크면 건조가 어렵다, 5~6묶음을 서로 기대어 무더기를 만든다.
 +
#(호마의) 입이 벌어지면 묶음마다 뒤집어 작은 막대로 가볍게 두드리는데, <호마를> 거두면 원래대로 무더기로 만들어 둔다.
 +
#3일에 한번씩 두드리는데, 4~5번이면 모두 끝난다.
 +
#만약 좋은 밭[熟田]이라면 4월 상순에, 맥근(麥根)이라면 보리[麥]를 베어낸 직후에 분회(糞灰)와 섞어서 씨를 듬성듬성 뿌린다.
 +
#또 다른 방법.
 +
#백호마(白胡麻) 3푼․만소두(晩小豆) 1푼을 섞어서 파종한다.
 +
#또는 녹두(菉豆) 2푼․호마(胡麻) 1푼을 섞어도 괜찮다.
 +
#밭갈이가 끝나면 이랑을 만들고 섞은 종자들을 골고루 뿌린 후 흙을 덮는다.
 +
#유마(油麻)(향명(鄕名)으로는 수임자(水荏子)이다)는 길가나 밭두둑에서 심기에 적합하다.
 +
#1과(科)마다 1자의 거리를 둔다
 +
#빽빽하면 가지가 없고 열매도 적다.
  
  
 
===English Translation===
 
===English Translation===
#
+
#Growing Sesame  (Chinimja known locally as, includes Yuma( perilla) which has the most oil among the p'allŭng.
 +
#Its nature is appropriate for wasteland (white soil is even better).
 +
#In the fourth month after the rains fall (If it is not wet from the rain, it does not grow), plow the earth and scatter the seeds. Use a noemok (koŭmp’a known locally as) to break the dirt clods and cover the soil.
 +
#Hoe no more than twice, cutting as it ripens, and having tying it into small bundles (large bundles are hard to dry), make a pile by leaning five or six bundles against each other. 
 +
#Wait for the mouth of the sesame to open, flipping each bundle vertically in order and tapping lightly with a small stick. When [the sesame] is gathered, make it into a pile as before.
 +
#Tap once every three days, and this is all completed after four or five times.
 +
#If the field is fertile, then in the first ten days of the fourth month, for barley roots, after immediately cutting the barley, mix with manure and ash and sparsely sow them.
 +
#Yet Another Method
 +
#Mix three parts white sesame with one part late-ripening read bean and sow the mixture. 
 +
#Or mixing two parts mung bean with one part sesame is also fine. 
 +
#After plowing, make furrows, scattering the mixed seed grain evenly and cover them with soil.
 +
#Yuma (known locally as suimcha) should be sown on the roadside or boundaries in between fields.
 +
#Every pit is spaced one foot apart.
 +
#If dense, then there will be no stalks and few grains.
  
  

2018년 5월 21일 (월) 12:27 판

Class Home Text Image Text with Punctuation

種胡麻 鄕名眞荏子 Growing sesame

Original Script


18

19

Text with Punctuation

種胡麻【鄕名 眞荏子 八稜者多油】 【附 油麻】
○性宜荒地【白壤尤良】 四月間雨後【不因雨則不生】 耕地撒種 用檑木【鄕名古音波】 破塊覆土 鋤不過再 隨熟刈之 作束欲小【束大難乾】 五六束相倚爲叢 候口開逐束
倒堅 以小杖輕打 取了還叢之 三日一打 四五遍乃盡 若熟田則四月上旬 麥根田則 趂刈麥後 和糞灰稀種
○ 又一法 以白胡麻三分,晩小豆一分 相和種之 或以菉豆二分 胡麻一分相和亦得 耕訖作畝 以所和種 均撒覆土
○ 油麻【鄕名 水荏子】 路邊或田畔宜種 每科相去一尺【密則無枝少實】

  1. 種胡麻 鄕名眞荏子 [1]
  2. 附油麻 八稜者多油 [2]
  3. 性宜荒地 白壤尤良
  4. 四月間雨後 不因雨則不生 耕地撒種 用檑木 鄕名古音波 破塊覆土[3]
  5. 鋤不過再 隨熟刈之 作束欲小 束大難乾 五六束相倚爲叢
  6. 候口開逐束 倒堅 以小杖輕打 取了還叢之
  7. 三日一打 四五遍乃盡[4]
  8. 若熟田則四月上旬 麥根田則 趂刈麥後 和糞灰稀種[5]
  9. 又一法
  10. 以白胡麻三分,晩小豆一分 相和種之
  11. 或以菉豆二分 胡麻一分相和亦得
  12. 耕訖作畝 以所和種 均撒覆土
  13. 油麻 鄕名水荏子 路邊或田畔宜種[6]
  14. 每科相去一尺
  15. 密則無枝少實


Previous Translations

Korean Translation

  1. 호마 재배법[種胡麻] 향명(鄕名)으로는 진임자(眞荏子)이다. 유마(油麻)를 덧붙이는데, <유마는> 팔릉(八稜) <품종>에 기름이 많다.
  2. (호마는) 성질이 황무지[荒地]가 적합하다 흰 토양이면 더욱 좋다.
  3. 4월 중에 비가 내린 후 비가 내려 습하지 않으면 자라지 않는다. 땅을 갈고 씨를 뿌리며, 뇌목(檑木)(향명(鄕名)으로는 고음파(古音波)이다)으로 흙덩이를 부수어 땅을 덮는다.
  4. 김매기는 2번 이상 하지 않고 익는대로 베어내서, 작은 묶음[束]으로 만든 후 묶음이 크면 건조가 어렵다, 5~6묶음을 서로 기대어 무더기를 만든다.
  5. (호마의) 입이 벌어지면 묶음마다 뒤집어 작은 막대로 가볍게 두드리는데, <호마를> 거두면 원래대로 무더기로 만들어 둔다.
  6. 3일에 한번씩 두드리는데, 4~5번이면 모두 끝난다.
  7. 만약 좋은 밭[熟田]이라면 4월 상순에, 맥근(麥根)이라면 보리[麥]를 베어낸 직후에 분회(糞灰)와 섞어서 씨를 듬성듬성 뿌린다.
  8. 또 다른 방법.
  9. 백호마(白胡麻) 3푼․만소두(晩小豆) 1푼을 섞어서 파종한다.
  10. 또는 녹두(菉豆) 2푼․호마(胡麻) 1푼을 섞어도 괜찮다.
  11. 밭갈이가 끝나면 이랑을 만들고 섞은 종자들을 골고루 뿌린 후 흙을 덮는다.
  12. 유마(油麻)(향명(鄕名)으로는 수임자(水荏子)이다)는 길가나 밭두둑에서 심기에 적합하다.
  13. 1과(科)마다 1자의 거리를 둔다
  14. 빽빽하면 가지가 없고 열매도 적다.


English Translation

  1. Growing Sesame (Chinimja known locally as, includes Yuma( perilla) which has the most oil among the p'allŭng.
  2. Its nature is appropriate for wasteland (white soil is even better).
  3. In the fourth month after the rains fall (If it is not wet from the rain, it does not grow), plow the earth and scatter the seeds. Use a noemok (koŭmp’a known locally as) to break the dirt clods and cover the soil.
  4. Hoe no more than twice, cutting as it ripens, and having tying it into small bundles (large bundles are hard to dry), make a pile by leaning five or six bundles against each other.
  5. Wait for the mouth of the sesame to open, flipping each bundle vertically in order and tapping lightly with a small stick. When [the sesame] is gathered, make it into a pile as before.
  6. Tap once every three days, and this is all completed after four or five times.
  7. If the field is fertile, then in the first ten days of the fourth month, for barley roots, after immediately cutting the barley, mix with manure and ash and sparsely sow them.
  8. Yet Another Method
  9. Mix three parts white sesame with one part late-ripening read bean and sow the mixture.
  10. Or mixing two parts mung bean with one part sesame is also fine.
  11. After plowing, make furrows, scattering the mixed seed grain evenly and cover them with soil.
  12. Yuma (known locally as suimcha) should be sown on the roadside or boundaries in between fields.
  13. Every pit is spaced one foot apart.
  14. If dense, then there will be no stalks and few grains.


Students' Contribution

Student 2: 에벨린


Student 6: 강혜원


Tutor 1: 전성호


Tutor 2: 김현


Class Comments

Collaborative Translation Result

English Translation, Version 3 (Editor: __________ )


Glossary

Type Hanja Hangeul MR RR English

Further Readings

References

    • 장서각본에는 뒤에 ‘有黑者巨勝’이 첨자로 추가로 첨가되어 있음.
    • 국립중앙도서관본에는 뒤에 ‘油黑者巨勝’이 첨자로 추가로 첨가되어 있음.
    • 국립중앙도서관본에는 아래의 내용이 추가로 첨가되어 있음.
    • 장서각본에는 뒤에 ‘附油麻, 八稜者多油’이 누락되어 있음
    • 국립중앙도서관본에는 뒤에 ‘八稜者多油’이 누락되어 있음
  1. 국립중앙도서관본에는 ‘鄕名古音波’ 첨자가 누락되어 있음.
  2. 장서각본에는 ‘三日一打, 四五適乃盡.’으로 ‘遍’자가 ‘適’자로 되어 있음.
  3. 국립중앙도서관본에 적힌 내용임. 三月上旬爲上時 四月上旬爲中時 五月上旬爲下時 月半前種者 多實
  4. 국립중앙도서관본에서는 ‘鄕名水荏’으로 ‘子’자가 누락되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