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문화유산 콘텐츠 편찬 계획(임정훈 정송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lassics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화유산 콘텐츠(결과물))
(참고문헌 및 사이트(종합))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안동시 불교문화유산 중 불상 ===
+
=== 2021 문화유산 콘텐츠 편찬 대상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9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9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style="width:35%"|공식명칭||style="width:35%"|부처님 명호||style="width:30%"|수인
+
!style="width:35%"|문화재명(문화재청)||style="width:35%"|부처님 명호||style="width:30%"|수인
 
|-
 
|-
 
|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 || 비로자나불 || 지권인
 
|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 || 비로자나불 || 지권인
 
|-
 
|-
 
|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 석가모니불 || 항마촉지인
 
|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 석가모니불 || 항마촉지인
 +
|-
 +
| 안동 안정사 석조여래좌상 || 석가모니불 || 항마촉지인
 
|-
 
|-
 
|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아미타불/미륵불 || 아미타구품인
 
|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아미타불/미륵불 || 아미타구품인
13번째 줄: 15번째 줄:
 
|}
 
|}
  
=='''작업과정'''==
+
=='''콘텐츠 편찬 계획 및 작업과정'''==
  
 
===문화유산 콘텐츠 편찬을 위한 과정설계===
 
===문화유산 콘텐츠 편찬을 위한 과정설계===
* 기본원고 작성 (각 문화유산의 기본 명칭, 상호 옷주름 수인 묘사, 일제시대 연구 수리 이력): 정송이
+
* 주제선정의 기준: Cultutral Heritage Wiki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안동시_문화유산 안동시 문화유산목록]]을 기준으로 안동시 소재 불상(5)을 선정함
* 기본원고 토대로 데이터 설계 및 네트워크 그래프 만들기
+
* 역할분담
* 개념 및 경전 관련 내용의 2차 원고 작성 (부처님의 종류, 32상 80종호, 수인의 종류, 연관된 경전 속의 이야기) : 임정훈
+
** 기본원고(해당 문화재의 제작 시대, 수리이력 등) 기본원고와 관련한 추가 정보용 위키페이지 제작: 정송이
* 2차 원고 토대로 데이터 설계 및 네트워크 그래프 만들기
+
** 기본원고 토대로 데이터 설계 및 네트워크 그래프 만들기
 +
** 개념 및 경전 관련 내용의 2차 원고 작성 (부처님의 종류, 32상 80종호, 수인의 종류, 연관된 경전 속의 이야기): 임정훈
 +
** 2차 원고 토대로 데이터 설계 및 네트워크 그래프 만들기
  
 
===페이지 구성의 원칙===
 
===페이지 구성의 원칙===
28번째 줄: 32번째 줄:
  
 
===작업노트===
 
===작업노트===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_(작업노트)]]
+
* 각 불상 별 위키페이지,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을 위한 뼈대작업
*[[안동_안기동_석조여래좌상_(작업노트)]]
+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_(작업노트)]]
*[[안동_이천동_마애여래입상_(작업노트)]]
+
**[[안동_안기동_석조여래좌상_(작업노트)]]
*[[옥산사_마애약사여래좌상_(작업노트)]]
+
**[[안동_안정사_석조여래좌상_(작업노트)]]
*[[안동_문화유산_불상의_부처님들]]
+
**[[안동_이천동_마애여래입상_(작업노트)]]
*[[불상의_수인]]
+
**[[옥산사_마애약사여래좌상_(작업노트)]]
 +
 
 +
===콘텐츠용 제작 위키페이지===
 +
*기본원고를 읽은 이용자가 추가적인 정보를 원할 경우를 생각하여 만든 콘텐츠
 +
**위키피디아 인터넷을 기반으로 실시간 편집 및 갱신이 가능하며 누구나 편집과 관리에 참여할 수 있음
 +
**위키문서는 관련 있는 주제 및 문맥상의 키워드를 설명하는 또 다른 문서들과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됨
 +
**하이퍼링크는 이용자가 연결을 쫓아가면서 부분적인 지식 정보 사이의 맥락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함
 +
**시맨틱 웹은 서로 유관한 데이터가 서로에 대해 의미를 갖고 모여질 수 있도록 함
 +
*제작
 +
**[[안동_문화유산_불상의_부처님들]]: 각 불상마다 도상적인 특징으로 해석되는 부처님의 존명을 설명
 +
**[[불상의_수인]]: 불상의 존명을 해석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도상적 표식인 수인을 설명 (우선, 안동 불상에서 보이는 대표적인 수인만 언급)
 +
**[[안동의_불상_양식]]: 본 콘텐츠 대상의 불상들과 유사한 양식의 한국과 중국의 불상 사례 열거 및 한국 고대불교조각의 양식적 특징을 개론적으로 설명
 +
 
 +
===네트워크 그래프===
 +
*문화유산 콘텐츠 편찬의 가장 기본자료가 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구축하고 그 결과물을 보여주는 방식 가운데 하나.
 +
*데이터베이스 설계자가 본인 설계의 오류나 보완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방식.
 +
*이용자가 본인의 관심사에 따라 능동적으로 자료접근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불상의_수인.lst]]
 +
**[[안동의불상들.lst]]
  
===논의사항(0513~ 논의중)===
+
===논의사항 및 중간발표 피드백(2021.5.13~ 6.22)===
*1. 과제범위: 불상 5개를 다 할 것인지?-> 4개로 정리
+
* 과제 방향성? 2차 심화자료도 너무 만연체로 나가지 않고 최소한 핵심만 간결하게 정리하고 흥미 요소가 있으면 첨가하는 식
*2. 과제 방향성? 2차 심화자료도 너무 만연체로 나가지 않고 최소한 핵심만 간결하게 정리하고 흥미 요소가 있으면 첨가하는 식
+
* 구성? 기존 위키페이지들 참고하며 적합한 구성 논의
*3. 구성? 기존 위키페이지들 참고하며 적합한 구성 논의
+
**[[http://dh.aks.ac.kr/Korea100/wiki/index.php/대문 구성예시1: 100가지 이야기로 배우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
 +
**[[https://www.worldhistory.org/Korean_Sculpture/ 구성예시2: Ancient History Encyclopedia]]
 +
* 6.3 중간발표 교수님 코멘트
 +
**개별문서들은 독립적인 제목으로 작성할 것(본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는 다양하기 때문에)
 +
**주제 선정 기준 언급 필요
 +
* 6.10 교수님 코멘트
 +
**제목
 +
**참고문헌
 +
* 1차 원고 수정 및 재번역, 작성 위키페이지 및 네트워크 그래프 보완 및 수정
  
 
===문화유산 콘텐츠(결과물)===
 
===문화유산 콘텐츠(결과물)===
[[안동의_부처님들]]
+
* [[안동의_부처님들]] (중간과정)
 +
* [[2021 임정훈-정송이]] (최종)
 +
 
 +
==참고문헌 및 사이트(종합)==
 +
김현 외 2인, 『디지털 인문학 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18. <br>
 +
디트리히 제켈 저, 이주형 옮김, 『불교미술』, 예경, 2007.<br>
 +
배재호(배진달), 『중국의 불상』, 일지사, 2005. <br>
 +
진홍섭, 『불상』, 대원문화사, 1989 <br>
 +
장충식, 『한국의 불상』,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1986. <br>
 +
최성은,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 일조각, 2013.<br>
 +
황수영, 『한국의 불상』, 문예출판사, 1989. <br>
 +
문화재청<b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br>
 +
[[https://citaliarestauro.com/en/what-are-art-styles/ citaliarestauro.com]]<br>
 +
[[https://www.museum.go.kr/site/eng/showroom/list/757?showroomCode=DM0031 국립중앙박물관]]<br>
 +
[[https://www.metmuseum.org/toah/hd/kobs/hd_kobs.htm 메트로폴리탄뮤지엄]]

2021년 6월 22일 (화) 01:24 기준 최신판

2021 문화유산 콘텐츠 편찬 대상

문화재명(문화재청) 부처님 명호 수인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 비로자나불 지권인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석가모니불 항마촉지인
안동 안정사 석조여래좌상 석가모니불 항마촉지인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아미타불/미륵불 아미타구품인
옥산사 마애약사여래좌상 약사여래불 약기인

콘텐츠 편찬 계획 및 작업과정

문화유산 콘텐츠 편찬을 위한 과정설계

  • 주제선정의 기준: Cultutral Heritage Wiki [안동시 문화유산목록]을 기준으로 안동시 소재 불상(5)을 선정함
  • 역할분담
    • 기본원고(해당 문화재의 제작 시대, 수리이력 등) 및 기본원고와 관련한 추가 정보용 위키페이지 제작: 정송이
    • 기본원고 토대로 데이터 설계 및 네트워크 그래프 만들기
    • 개념 및 경전 관련 내용의 2차 원고 작성 (부처님의 종류, 32상 80종호, 수인의 종류, 연관된 경전 속의 이야기): 임정훈
    • 2차 원고 토대로 데이터 설계 및 네트워크 그래프 만들기

페이지 구성의 원칙

  • 각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대문 페이지는 최소한의 필수 정보와 흥미를 유도할 만한 내용만을 담도록 함
  • 대문 페이지에서 흥미를 가질 만한 키워드는 심화되는 내용의 별도 페이지로 구성함
  • 네트워크 그래프도 마찬가지로 필수적인 관계만을 제시해 단순화함.
  • 안동의 불상 해설문을 표층으로 하지만 심층으로는 불상 전반에 관한 지식을 전달하는 위키 페이지로 구성

작업노트

콘텐츠용 제작 위키페이지

  • 기본원고를 읽은 이용자가 추가적인 정보를 원할 경우를 생각하여 만든 콘텐츠
    • 위키피디아 인터넷을 기반으로 실시간 편집 및 갱신이 가능하며 누구나 편집과 관리에 참여할 수 있음
    • 위키문서는 관련 있는 주제 및 문맥상의 키워드를 설명하는 또 다른 문서들과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됨
    • 하이퍼링크는 이용자가 연결을 쫓아가면서 부분적인 지식 정보 사이의 맥락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함
    • 시맨틱 웹은 서로 유관한 데이터가 서로에 대해 의미를 갖고 모여질 수 있도록 함
  • 제작
    • 안동_문화유산_불상의_부처님들: 각 불상마다 도상적인 특징으로 해석되는 부처님의 존명을 설명
    • 불상의_수인: 불상의 존명을 해석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도상적 표식인 수인을 설명 (우선, 안동 불상에서 보이는 대표적인 수인만 언급)
    • 안동의_불상_양식: 본 콘텐츠 대상의 불상들과 유사한 양식의 한국과 중국의 불상 사례 열거 및 한국 고대불교조각의 양식적 특징을 개론적으로 설명

네트워크 그래프

  • 문화유산 콘텐츠 편찬의 가장 기본자료가 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구축하고 그 결과물을 보여주는 방식 가운데 하나.
  • 데이터베이스 설계자가 본인 설계의 오류나 보완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방식.
  • 이용자가 본인의 관심사에 따라 능동적으로 자료접근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논의사항 및 중간발표 피드백(2021.5.13~ 6.22)

  • 과제 방향성? 2차 심화자료도 너무 만연체로 나가지 않고 최소한 핵심만 간결하게 정리하고 흥미 요소가 있으면 첨가하는 식
  • 구성? 기존 위키페이지들 참고하며 적합한 구성 논의
  • 6.3 중간발표 교수님 코멘트
    • 개별문서들은 독립적인 제목으로 작성할 것(본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는 다양하기 때문에)
    • 주제 선정 기준 언급 필요
  • 6.10 교수님 코멘트
    • 제목
    • 참고문헌
  • 1차 원고 수정 및 재번역, 작성 위키페이지 및 네트워크 그래프 보완 및 수정

문화유산 콘텐츠(결과물)

참고문헌 및 사이트(종합)

김현 외 2인, 『디지털 인문학 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18.
디트리히 제켈 저, 이주형 옮김, 『불교미술』, 예경, 2007.
배재호(배진달), 『중국의 불상』, 일지사, 2005.
진홍섭, 『불상』, 대원문화사, 1989
장충식, 『한국의 불상』,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1986.
최성은,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 일조각, 2013.
황수영, 『한국의 불상』, 문예출판사, 1989.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citaliarestauro.com]
[국립중앙박물관]
[메트로폴리탄뮤지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