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문화유산 콘텐츠 편찬 계획(이효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lassics
(→네트워크 그래프) |
(→수정 및 개선 방향)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주제'''== | =='''주제'''== | ||
− | * 안동 지역 내 광산 김씨 | + | ===개요=== |
+ | * 안동 지역 내 광산 김씨 문화유산의 네트워크 그래프 (3가지 구성: 족보, 문화유산, 전체) | ||
+ | * 복수의 문화재를 연결하여 스토리텔링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안동_광산김씨_수운잡방_스토리 할아버지를 이어 손자가 쓴 책, 수운잡방]: 수운잡방과 탁청정, 계암일록 / 김유, 김령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안동_광산김씨_김해_스토리 자신보다는 나라와 사회를 생각하는 군자의 삶]: 광산김씨 재사 및 사당, 향병일기 / 김해 | ||
+ | * 문화재 개별 스토리텔링 | ||
+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안동_후조당_유물 후조당 유물]: 후조당 유물 / 김부필 | ||
+ | |||
+ | ===수정 및 개선 방향=== | ||
+ | * 기존 스토리의 보완 ~ Context의 보완을 통하여 보다 신뢰성을, 내부 각 Story의 흥미요소를 부제로 뽑아서 관심을 증진함 | ||
+ | # 보다 신뢰성 높은 Fact 자료를 기반으로 참고자료 수정 및 추가 진행 (인용문을 적극적으로 활용) | ||
+ | # 각 내부 Story를 넣은 이유 혹은 자료 조사 시 재미있던 부분을 흥미요소로 뽑아서 부제로 삼음 (그 흥미요소가 일반인에게도 재미있을 것으로 뽑는 것이 관건) | ||
+ | * 스토리라인 그래프 생성 | ||
+ | # 각 Story를 기준점으로 하여 스토리라인 그래프 생성 | ||
+ | # 스토리라인 그래프는 해당 Story의 요소들과 관련된 자료를 넣어서 각 Story가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 그 내용은 어느 자료와 관련된 것인지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함 | ||
+ | * 영문 Story의 개선 (현재는 국문을 단순히 영문으로 번역한 것에 지나지 않다고 생각됨) | ||
+ | # 너무 상세한 내용은 단순하게 수정하고, 긴 내용은 여러 문장으로 나누어서 가독성 증진 | ||
+ | # 영문을 한글로 번역한 내용도 추가 | ||
=='''노드리스트'''== | =='''노드리스트'''== | ||
7번째 줄: | 24번째 줄: | ||
! 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 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
|- | |- | ||
− | | '''안동_광산김씨_탁청정공파_종택''' || Heritage || (국가민속문화재_제272호)_안동_광산김씨_탁청정공파_종택 || 조선시대의 학자인 김유(1491~1555, 호:탁청정) 가문의 종택이다. | + | |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안동_광산김씨_탁청정공파_종택 '''안동_광산김씨_탁청정공파_종택'''] || Heritage || (국가민속문화재_제272호)_안동_광산김씨_탁청정공파_종택 || 조선시대의 학자인 김유(1491~1555, 호:탁청정) 가문의 종택이다. |
|- | |- | ||
− | | ''' | + | |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안동_탁청정 '''안동_탁청정'''] || Heritage || (국가민속문화재_제226호)_탁청정 || 안동 광산김씨 탁청정공파 종택에 딸린 정자이다. |
|- | |- | ||
− | | ''' | + | |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안동_후조당_종택 '''안동_후조당_종택'''] || Heritage || (국가민속문화재_제227호)_후조당_종택 || 안동 광산 김씨 예안파 종택에 딸린 별당으로, 김부필(1516∼1577, 호:후조당)이 지었다고 전하는 별당건물이다. |
|- | |- | ||
| 후조당_유물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64호)_후조당_유물 || 광산 김씨 김부필(1577∼1644, 호: 후조당)이 나라에서 시호를 내릴 때 받은 교지와 「퇴계유묵」, 『향병일기』, 『전가보첩』 등 4종 6점이며, 숭원각에 보호 및 관리되고 있다. | | 후조당_유물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64호)_후조당_유물 || 광산 김씨 김부필(1577∼1644, 호: 후조당)이 나라에서 시호를 내릴 때 받은 교지와 「퇴계유묵」, 『향병일기』, 『전가보첩』 등 4종 6점이며, 숭원각에 보호 및 관리되고 있다. | ||
|- | |- | ||
− | | '''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27호)_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 김효로(1445∼1534)와 증손자 김해(1555∼1592)를 모시고 있는 사당과 후조당에 부속된 재사(제사지내는 집)이다. | + | |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27호)_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 김효로(1445∼1534)와 증손자 김해(1555∼1592)를 모시고 있는 사당과 후조당에 부속된 재사(제사지내는 집)이다. |
|- | |- | ||
− | | '''침락정'''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40호)_침락정 || 김광계(1580∼1646)가 현종 13년(1672)에 세운 누정으로, 일명 운암정사라고도 한다. | + | |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침락정 '''침락정''']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40호)_침락정 || 김광계(1580∼1646)가 현종 13년(1672)에 세운 누정으로, 일명 운암정사라고도 한다. |
|- | |- | ||
| 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전적 || Heritage || (보물_제1019호)_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전적 || 광삼김씨 예안파 종가 문중에는 전적 약 3천여권이 보관되어 있으며, 그 중 서첩을 포함한 13종 61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전적에는『서전(書傳)』, 『송조명신언행록』, 『 매월당집』, 『점필재집』,『역대명감』,『주자대전』,『징비록』,『근사록』,『주자실기』,『논어집주』 등이 있다. 서첩에는 「퇴계선생유묵」(이황이 직접 손으로 쓴 김효로의 묘비명),「퇴계선생서법」, 「별시첩(別時帖)」등이 있다. | | 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전적 || Heritage || (보물_제1019호)_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전적 || 광삼김씨 예안파 종가 문중에는 전적 약 3천여권이 보관되어 있으며, 그 중 서첩을 포함한 13종 61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전적에는『서전(書傳)』, 『송조명신언행록』, 『 매월당집』, 『점필재집』,『역대명감』,『주자대전』,『징비록』,『근사록』,『주자실기』,『논어집주』 등이 있다. 서첩에는 「퇴계선생유묵」(이황이 직접 손으로 쓴 김효로의 묘비명),「퇴계선생서법」, 「별시첩(別時帖)」등이 있다. | ||
29번째 줄: | 46번째 줄: | ||
| 향병일기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483호)_향병일기(鄕兵日記) || 선조 26년(1592)~선조 27년(1593) 약 1년 남짓한 기간 동안 안동과 그 주변 지역에서 활약한 김해의 의병부대 활동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필사본 일지이다. (저자나 필자는 알 수 없음) | | 향병일기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483호)_향병일기(鄕兵日記) || 선조 26년(1592)~선조 27년(1593) 약 1년 남짓한 기간 동안 안동과 그 주변 지역에서 활약한 김해의 의병부대 활동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필사본 일지이다. (저자나 필자는 알 수 없음) | ||
|- | |- | ||
− | | '''안동_유일재_종택''' || Heritage || (경상북도_민속문화재_제113호)_안동_유일재_종택 || 광산 김씨 유일재공파의 종가로, 김언기(1520∼1588, 호:유일재)는 선조 때의 문신으로 안동지방의 교육에 크게 힘쓴 인물이다. | + | |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안동_유일재_종택 '''안동_유일재_종택'''] || Heritage || (경상북도_민속문화재_제113호)_안동_유일재_종택 || 광산 김씨 유일재공파의 종가로, 김언기(1520∼1588, 호:유일재)는 선조 때의 문신으로 안동지방의 교육에 크게 힘쓴 인물이다. |
|- | |- | ||
| 광산김씨_긍구당_고택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316호)_광산김씨_긍구당_고택 || 원래 영천 이씨 참봉공파 종택이었는데 김언기(1520∼1588)가 재혼을 하면서 이 집에 살게 되었으며, 집 이름은 후손 김세환(1640∼1703)의 호를 따서 붙인 것이다. | | 광산김씨_긍구당_고택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316호)_광산김씨_긍구당_고택 || 원래 영천 이씨 참봉공파 종택이었는데 김언기(1520∼1588)가 재혼을 하면서 이 집에 살게 되었으며, 집 이름은 후손 김세환(1640∼1703)의 호를 따서 붙인 것이다. | ||
36번째 줄: | 53번째 줄: | ||
|} | |} | ||
− | ===인물( | + | ===인물(문화유산 관련)===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 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
141번째 줄: | 158번째 줄: | ||
[[안동_광산김씨4.lst]] | [[안동_광산김씨4.lst]] | ||
{{NetworkGraph | title=안동_광산김씨4.lst | direction=LR}} | {{NetworkGraph | title=안동_광산김씨4.lst | direction=LR}} | ||
+ | |||
+ | =='''Geo Space (3D 지도)'''== | ||
+ | [[광산김씨.xml]] | ||
+ | {{GeoSpace | title=광산김씨.xml}} | ||
=='''참고사항'''== | =='''참고사항'''== |
2021년 6월 4일 (금) 15:36 기준 최신판
목차
주제
개요
- 안동 지역 내 광산 김씨 문화유산의 네트워크 그래프 (3가지 구성: 족보, 문화유산, 전체)
- 복수의 문화재를 연결하여 스토리텔링
- 할아버지를 이어 손자가 쓴 책, 수운잡방: 수운잡방과 탁청정, 계암일록 / 김유, 김령
- 자신보다는 나라와 사회를 생각하는 군자의 삶: 광산김씨 재사 및 사당, 향병일기 / 김해
- 문화재 개별 스토리텔링
- 후조당 유물: 후조당 유물 / 김부필
수정 및 개선 방향
- 기존 스토리의 보완 ~ Context의 보완을 통하여 보다 신뢰성을, 내부 각 Story의 흥미요소를 부제로 뽑아서 관심을 증진함
- 보다 신뢰성 높은 Fact 자료를 기반으로 참고자료 수정 및 추가 진행 (인용문을 적극적으로 활용)
- 각 내부 Story를 넣은 이유 혹은 자료 조사 시 재미있던 부분을 흥미요소로 뽑아서 부제로 삼음 (그 흥미요소가 일반인에게도 재미있을 것으로 뽑는 것이 관건)
- 스토리라인 그래프 생성
- 각 Story를 기준점으로 하여 스토리라인 그래프 생성
- 스토리라인 그래프는 해당 Story의 요소들과 관련된 자료를 넣어서 각 Story가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 그 내용은 어느 자료와 관련된 것인지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함
- 영문 Story의 개선 (현재는 국문을 단순히 영문으로 번역한 것에 지나지 않다고 생각됨)
- 너무 상세한 내용은 단순하게 수정하고, 긴 내용은 여러 문장으로 나누어서 가독성 증진
- 영문을 한글로 번역한 내용도 추가
노드리스트
문화유산
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
안동_광산김씨_탁청정공파_종택 | Heritage | (국가민속문화재_제272호)_안동_광산김씨_탁청정공파_종택 | 조선시대의 학자인 김유(1491~1555, 호:탁청정) 가문의 종택이다. |
안동_탁청정 | Heritage | (국가민속문화재_제226호)_탁청정 | 안동 광산김씨 탁청정공파 종택에 딸린 정자이다. |
안동_후조당_종택 | Heritage | (국가민속문화재_제227호)_후조당_종택 | 안동 광산 김씨 예안파 종택에 딸린 별당으로, 김부필(1516∼1577, 호:후조당)이 지었다고 전하는 별당건물이다. |
후조당_유물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64호)_후조당_유물 | 광산 김씨 김부필(1577∼1644, 호: 후조당)이 나라에서 시호를 내릴 때 받은 교지와 「퇴계유묵」, 『향병일기』, 『전가보첩』 등 4종 6점이며, 숭원각에 보호 및 관리되고 있다. |
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27호)_광산김씨_재사_및_사당 | 김효로(1445∼1534)와 증손자 김해(1555∼1592)를 모시고 있는 사당과 후조당에 부속된 재사(제사지내는 집)이다. |
침락정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40호)_침락정 | 김광계(1580∼1646)가 현종 13년(1672)에 세운 누정으로, 일명 운암정사라고도 한다. |
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전적 | Heritage | (보물_제1019호)_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전적 | 광삼김씨 예안파 종가 문중에는 전적 약 3천여권이 보관되어 있으며, 그 중 서첩을 포함한 13종 61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전적에는『서전(書傳)』, 『송조명신언행록』, 『 매월당집』, 『점필재집』,『역대명감』,『주자대전』,『징비록』,『근사록』,『주자실기』,『논어집주』 등이 있다. 서첩에는 「퇴계선생유묵」(이황이 직접 손으로 쓴 김효로의 묘비명),「퇴계선생서법」, 「별시첩(別時帖)」등이 있다. |
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고문서 | Heritage | (보물_제1018호)_광산김씨_예안파_종가_고문서 | 광산 김씨 예안파 종가의 21대 6백년간에 걸쳐 전해내려오는 고문서들로 1,000여점이 보관되어 있으며, 이 중 교지 등 7종 429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
수운잡방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435호)_수운잡방(需雲雜方) | 안동김씨 설월당 종가가 소장하다가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요리책이며, 상편은 김유가, 하편은 김령이 집필한 것으로 추정된다. |
설월당_종택_소장_전적_및_고문서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320호)_설월당_종택_소장_전적_및_고문서 | 설월당 김부륜 종가에 전해지는 전적 및 고문서로서 전적은 『설월당유고』, 『계암일록』 등 2종 9책이고, 고문서는 김부륜·김령 부자와 관련된 교지, 유지, 분재기, 호구단자, 제문 등으로 177매이다. |
향병일기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483호)_향병일기(鄕兵日記) | 선조 26년(1592)~선조 27년(1593) 약 1년 남짓한 기간 동안 안동과 그 주변 지역에서 활약한 김해의 의병부대 활동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필사본 일지이다. (저자나 필자는 알 수 없음) |
안동_유일재_종택 | Heritage | (경상북도_민속문화재_제113호)_안동_유일재_종택 | 광산 김씨 유일재공파의 종가로, 김언기(1520∼1588, 호:유일재)는 선조 때의 문신으로 안동지방의 교육에 크게 힘쓴 인물이다. |
광산김씨_긍구당_고택 | Heritage | (경상북도_유형문화재_제316호)_광산김씨_긍구당_고택 | 원래 영천 이씨 참봉공파 종택이었는데 김언기(1520∼1588)가 재혼을 하면서 이 집에 살게 되었으며, 집 이름은 후손 김세환(1640∼1703)의 호를 따서 붙인 것이다. |
안동_긍구당고댁_사당내_감실 | Heritage | (경상북도_민속문화재_제142호)_안동_긍구당고댁_사당내_감실 | 긍구당고택 사당 안에 모셔져 있는 위패감실(位牌龕室) 4점으로, 고조, 증조, 조부, 부친 등 4대의 감실이 독립적으로 완비되어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
인물(문화유산 관련)
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
광산김씨 | Concept | 광산김씨 | |
영천이씨 | Concept | 영천이씨 | |
광산김씨_안동 | Concept | 광산김씨_안동 | |
광산김씨_안동_예안 | Concept | 광산김씨_안동_예안 | |
설월당_종가 | Concept | 설월당_종가 | |
광산김씨_안동_구담 | Concept | 광산김씨_안동_구담 | |
김흥광 | Actor | 김흥광(金興光) | 광산김씨의 시조 |
김무 | Actor | 김무(金務) | 광산김씨 17세손, 안동 풍산 도양리 입향조 |
김효로 | Actor | 김효로(金孝盧,_1454~1534) | 광산김씨 20세손 (증조부 김무), 안동 예안 오천리 입향조 |
김연 | Actor | 김연(金緣,_1487~1544) | 광산김씨 21세손, 김효로 첫째 아들 |
김유 | Actor | 김유(金綏,_1481~1552) | 광산김씨 21세손, 김효로 둘째 아들 |
김부필 | Actor | 김부필(金富弼,_1516~1577) | 광산김씨 22세손, 김연의 첫째 아들 |
김부륜 | Actor | 김부륜(金富倫,_1531~1598) | 광산김씨 22세손, 김유의 셋째 아들 |
김해 | Actor | 김해(金垓,_1555~1641) | 광산김씨 23세손, 김연의 손자 |
김령 | Actor | 김령(金坽,_1579~1641) | 광산김씨 23세손, 김부륜의 첫째 아들 |
김광계 | Actor | 김광계(金光繼,_1580~1646) | 광산김씨 24세손, 김해의 첫째 아들 |
김염 | Actor | 김염(1612~1659) | 광산김씨 25세손, 김광계의 첫째 아들 |
김선 | Actor | 김선(1615~1670) | 광산김씨 25세손, 김해의 손자 |
김순의 | Actor | 김순의(金純義,_1645~1714) | 광산김씨 26세손, 김염의 첫째 아들 |
김용석 | Actor | 김용석(金用石,_1453~?) | 광산김씨 22세손, 안동 풍천 구담리 입향조 |
김언기 | Actor | 김언기(金彦璣,_1520~1588) | 광산김씨 24세손, 김용석의 손자 |
김세환 | Actor | 김세환(金世煥,_1640~1703) | 광산김씨 28세손, 김언기의 4세손 |
기타
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
계암일록 | Record | 계암일록(溪巖日錄) | 김령이 1603~1641년에 쓴 일기 |
매원일기 | Record | 매원일기(梅園日記) | 김광계가 1603~1645년에 쓴 일기 |
정미일록 | Record | 정미일록(丁未日錄) | 김령이 1607년에 쓴 일기 |
묵재일기 | Record | 묵재일기(默齋日記) | 김염이 1636∼1640년에 쓴 일기 |
여온일기 | Record | 여온일기(汝溫日記) | 김선이 1639∼1644년에 쓴 일기 |
과헌일기 | Record | 과헌일기(果軒日記) | 김순의가 1662∼1714년에 쓴 일기 |
안동_탁청정_현판 | Object | 안동_탁청정_현판 | 한호가 쓴 안동 탁청정 현판 |
안동_후조당_현판 | Object | 안동_후조당_현판 | 이황이 쓴 안동 탁청정 현판 |
숭원각 | Place | 숭원각 | 후조당 유물과 광산 김씨 유물 (문집, 서책) 수백점을 보호 및 관리하고 있음 |
설월당 | Place | 설월당 | 김부륜이 학문과 후진양성을 위해 건립한 정자로, 후조당 종택 아래쪽에 있다. |
한호 | Actor | 한호(韓濩,_1543~1605) | |
이황 | Actor | 이황(李滉,_1501~1570) | |
시도민속문화재 | Concept | 시도민속문화재 | |
시도유형문화재 | Concept | 시도유형문화재 | |
국가민속문화재 | Concept | 국가민속문화재 | |
보물 | Concept | 보물 | |
의병 | Concept | 의병 | |
운암정사 | Place | 운암정사 | |
한국국학진흥원 | Place | 한국국학진흥원 |
네트워크 그래프
안동 광산김씨 인물과 문화유산
안동 광산김씨 가계
안동 광산김씨 문화유산
Geo Space (3D 지도)
참고사항
안동 광산김씨 인물
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
김흥광 | Actor | 김흥광(金興光) | 광산김씨의 시조 |
김무 | Actor | 김무(金務) | 광산김씨 17세손, 안동 풍산 도양리 입향조 |
김효로 | Actor | 김효로(金孝盧,_1454~1534) | 광산김씨 20세손 (증조부 김무), 안동 예안 오천리 입향조 |
김연 | Actor | 김연(金緣,_1487~1544) | 광산김씨 21세손, 김효로 첫째 아들 |
김유 | Actor | 김유(金綏,_1481~1552) | 광산김씨 21세손, 김효로 둘째 아들 |
김부필 | Actor | 김부필(金富弼,_1516~1577) | 광산김씨 22세손, 김연의 첫째 아들 |
김부의 | Actor | 김부의(金富儀,_1525~1582) | 광산김씨 22세손, 김연의 둘째 아들 |
김부인 | Actor | 김부인(金富仁,_1512~1584) | 광산김씨 22세손, 김유의 첫째 아들 |
김부신 | Actor | 김부신(金富信) | 광산김씨 22세손, 김유의 둘째 아들 |
김부륜 | Actor | 김부륜(金富倫,_1531~1598) | 광산김씨 22세손, 김유의 셋째 아들 |
김해 | Actor | 김해(金垓,_1555~1641) | 광산김씨 23세손, 김부의의 첫째 아들 |
김령 | Actor | 김령(金坽,_1579~1641) | 광산김씨 23세손, 김부륜의 첫째 아들 |
김광계 | Actor | 김광계(金光繼,_1580~1646) | 광산김씨 24세손, 김해의 첫째 아들 |
김광실 | Actor | 김광실(金光實) | 광산김씨 24세손, 김해의 둘째 아들 |
김염 | Actor | 김염(1612~1659) | 광산김씨 25세손, 김광계의 첫째 아들 |
김선 | Actor | 김선(1615~1670) | 광산김씨 25세손, 김광실의 넷째 아들 |
김순의 | Actor | 김순의(金純義,_1645~1714) | 광산김씨 26세손, 김염의 첫째 아들 |
김용석 | Actor | 김용석(金用石,_1453~?) | 광산김씨 22세손, 안동 풍천 구담리 입향조 |
김주 | Actor | 김주(金籌) | 광산김씨 23세손, 김용석의 넷째 아들 |
김언기 | Actor | 김언기(金彦璣,_1520~1588) | 광산김씨 24세손, 김주의 둘째 아들 |
김득연 | Actor | 김득연(金得硏,_1555~1637) | 광산김씨 25세손, 김언기의 첫째 아들 |
김득의 | Actor | 김득의(金得礒) | 광산김씨 25세손, 김언기의 셋째 아들 |
김세환 | Actor | 김세환(金世煥,_1640~1703) | 광산김씨 28세손, 김언기의 4세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