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승:복식제도 변화와 사건들.lst

workshop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Project
h1 근대 복식 제도에 영향을 끼친 사건들

#Class
Actor
Clothing
Clothing:복장
Event

#Relation
hasPart
hasSon
isPreviousInSequenceTo
isRelatedTo

#Nodes
남연군_이구	Actor	남연군_이구(李球_1788~1836)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이구-1788	http://dh.aks.ac.kr/Encyves/Graph/icons/joseon_yangban_old.png
에른스트_오페르트	Actor	에른스트_야코프_오페르트(1832~_1903)	https://ko.wikipedia.org/wiki/에른스트_오페르트	http://dhlab.aks.ac.kr/~hyunseung/icon/ErnstOppert.png
흥선대원군_이하응	Actor	흥선대원군_이하응(李昰應_1820~1898)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흥선대원군_이하응	http://dh.aks.ac.kr/hanyang2/icon/인물/조선양반.png
흥완군_이정응	Actor	흥완군_이정응(李晸應_1814~1848)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흥완군_이정응	http://dh.aks.ac.kr/hanyang2/icon/인물/조선양반.png
흥인군_이최응	Actor	흥인군_이최응(李最應_1815~1882)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253	http://dh.aks.ac.kr/hanyang2/icon/인물/문관.png
담색전복	Clothing	담색_전복	http://sillok.history.go.kr/id/kza_12106003_004	http://dh.aks.ac.kr/hanyang2/icon/clothing2.png
두루마기	Clothing	두루마기(周衣)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두루마기	http://dh.aks.ac.kr/hanyang2/image/2021/두루마기.png
목화-木靴	Clothing	목화(木靴)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8753	http://dh.aks.ac.kr/hanyang2/image/2021/목화-木靴.png
백색두루마기	Clothing	백색두루마기(白色周衣)	NULL	http://dh.aks.ac.kr/hanyang2/image/2021/백색두루마기.png
사대-絲帶	Clothing	사대(絲帶)	NULL	http://dh.aks.ac.kr/hanyang2/icon/clothing2.png
사모	Clothing	사모(紗帽)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사모	http://digerati.aks.ac.kr/dhlab/2021/hanyang/image/사모.png
소례복대	Clothing	소례복대(小禮服帶)	http://dh.aks.ac.kr/~sandbox/cgi-bin/SemanticWikiPage.py?db=hanyang2023&project=hanyang&key=소례복대	http://dh.aks.ac.kr/hanyang2/image/2021/소례복대.png
전복-戰服	Clothing	전복(戰服)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전복-戰服	http://digerati.aks.ac.kr/dhlab/2021/hanyang/image/전복.png
품대	Clothing	품대(品帶)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품대	http://dh.aks.ac.kr/~tutor/Images/TC/RC/xs/RC013_xs.jpg
흉배	Clothing	흉배(胸背)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흉배	http://dh.aks.ac.kr/~tutor/Images/TC/RC/xs/RC135_xs.jpg
흑단령	Clothing	흑단령(黑團領)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흑단령	http://dh.aks.ac.kr/hanyang2/image/2021/흑단령.png
흑반령착수포	Clothing	흑반령착수포(黑盤領窄袖袍)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흑반령착수포	http://dh.aks.ac.kr/hanyang2/image/2021/흑반령착수포.png
공사예복	Clothing:복장	공사예복(公私禮服)	http://sillok.history.go.kr/id/kza_13203029_001	http://dh.aks.ac.kr/hanyang2/icon/clothing2.png
대례복	Clothing:복장	대례복(大禮服)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4314	http://dh.aks.ac.kr/hanyang2/image/2021/대례복.png
상복-喪服	Clothing:복장	상복(喪服)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상복(喪服)	http://dh.aks.ac.kr/hanyang2/icon/clothing2.png
소례복	Clothing:복장	소례복(小禮服)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024	http://dh.aks.ac.kr/hanyang2/image/2021/소례복.png
통상예복	Clothing:복장	통상예복(通常禮服)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840	http://dh.aks.ac.kr/hanyang2/image/2021/통상예복.png
갑신의제개혁	Event	갑신의제개혁_1884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839	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
갑오의제개혁	Event	갑오의제개혁_1894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840	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
을미의제개혁	Event	을미의제개혁_1895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42	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
남연군묘_도굴_사건	Event	남연군묘_도굴_사건_1876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남연군묘_도굴_사건	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
신미양요	Event	신미양요_1871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2961	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
운요호_사건	Event	운요호_사건_1875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운요호_사건	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
조일수호조규	Event	조일수호조규_1876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병자수호조약	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
갑신정변	Event	갑신정변_1884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0922	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
갑오개혁	Event	갑오개혁_1894~1895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갑오개혁	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
을미사변	Event	을미사변_1895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을미사변	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
단발령	Event	단발령_1895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단발령	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
아관파천	Event	아관파천_1896~1897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아관파천	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
고종황제등극의_1897	Event	고종황제등극의_1897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고종황제등극의	http://dh.aks.ac.kr/hanyang2/icon/sandglass.png

#Links
에른스트_오페르트	남연군묘_도굴_사건	isRelatedTo
남연군묘_도굴_사건	남연군_이구	isRelatedTo
남연군_이구	흥선대원군_이하응	hasSon
남연군_이구	흥완군_이정응	hasSon
남연군_이구	흥인군_이최응	hasSon
남연군묘_도굴_사건	신미양요	isPreviousInSequenceTo
신미양요	운요호_사건	isPreviousInSequenceTo
운요호_사건	조일수호조규	isPreviousInSequenceTo
조일수호조규	갑신의제개혁	isPreviousInSequenceTo
갑신의제개혁	갑신정변	isPreviousInSequenceTo
갑신정변	갑오의제개혁	isPreviousInSequenceTo
갑오의제개혁	갑오개혁	isPreviousInSequenceTo
갑오개혁	을미의제개혁	isPreviousInSequenceTo
을미의제개혁	을미사변	isPreviousInSequenceTo
을미사변	단발령	isPreviousInSequenceTo
단발령	아관파천	isPreviousInSequenceTo
아관파천	고종황제등극의_1897	isPreviousInSequenceTo
갑신의제개혁	상복-喪服	isRelatedTo
갑신의제개혁	흑반령착수포	isRelatedTo
갑오의제개혁	대례복	isRelatedTo
갑오의제개혁	통상예복	isRelatedTo
갑오의제개혁	흑반령착수포	isRelatedTo
통상예복	두루마기	hasPart
통상예복	목화-木靴	hasPart
통상예복	사대-絲帶	hasPart
통상예복	사모	hasPart
통상예복	전복-戰服	hasPart
대례복	목화-木靴	hasPart
대례복	사모	hasPart
대례복	품대	hasPart
대례복	흉배	hasPart
대례복	흑단령	hasPart
을미의제개혁	공사예복	isRelatedTo
을미의제개혁	대례복	isRelatedTo
을미의제개혁	소례복	isRelatedTo
을미의제개혁	통상예복	isRelatedTo
공사예복	두루마기	hasPart
공사예복	목화-木靴	hasPart
공사예복	사대-絲帶	hasPart
공사예복	사모	hasPart
소례복	목화-木靴	hasPart
소례복	사모	hasPart
소례복	소례복대	hasPart
소례복	흑반령착수포	hasPart
상복-喪服	담색전복	hasPart
상복-喪服	백색두루마기	hasPart

#End

Story

근대 복식 제도 변화에 영향을 끼친 사건들

1868년 5월 10일 저녁,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 이구의 묘가 도굴될 뻔한 사건이 발생한다. 통상 수교 요청을 거절당한 것에 앙심을 품은 독일인 오페르트가 도굴하려 했으나 봉분 아래의 큰 무쇠에 도끼가 튀어 실패하게 된 것이다. 남연군 묘 도굴 미수 사건은 서양인에 대한 흥선대원군의 감정을 자극하여 쇄국정책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남연군 묘 도굴 미수 사건은 이미 국가 간의 정세가 불안정하게 움직이고 있던 와중에 발생한 사건이었고, 이후로도 신미양요(1871), 강화도 운요호 사건(1875)이 일어나면서 조선은 일본의 강압에 의해 불평등 조약인 조일수호조규(1876)를 체결하게 되었고, 조선에서는 서양식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쌓이는 와중에 의복 제도에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다.
복식제도의 개혁으로 갑신의제개혁(1884), 갑오의제개혁(1894), 을미의제개혁(1895)이 단행되었고, 전통 복식의 종류와 구성에 조금씩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을미의제개혁이 발표된 후 명성황후가 시해되는 을미사변이 일어나면서 민심은 더욱 흉흉해졌고, 그런 가운데 내려진 단발령은 백성들의 큰 반발을 사게 된다.

단발령 직후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어하였다가 1897년 덕수궁으로 환궁하며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변경하였고, 이로서 땅에 떨어진 국가의 위신을 다시 일으켜 세우려는 시도를 하였다.


※ 참고

  • 이경미, 『제복의 탄생』, 민속원, 2012.

Visualization


데이테베이스 적재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