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KCC T001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workshop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13번째 줄: 113번째 줄:
 
| 조선_영조 || 을묘_1735_친정후선온 || participatesIn
 
| 조선_영조 || 을묘_1735_친정후선온 || participatesIn
 
|-
 
|-
| 병오_1726_친정후선온 || 병오년영조친정후선온도록 || depicts
+
| 병오년영조친정후선온도록 || 병오_1726_친정후선온 || depicts
 
|-
 
|-
| 무신_1728_친정 || 무신친정계첩 || depicts
+
| 무신친정계첩 || 무신_1728_친정 || depicts
 
|-
 
|-
| 갑인_1734_친정 || 갑인춘친정계첩 || depicts
+
| 갑인춘친정계첩 || 갑인_1734_친정 || depicts
 
|-
 
|-
| 을묘_1735_친정후선온 || 을묘친정후선온계병 || depicts
+
| 을묘친정후선온계병 || 을묘_1735_친정후선온 || depicts
 
|-
 
|-
 
| 이봉명 || 병오_1726_친정후선온 || participatesIn
 
| 이봉명 || 병오_1726_친정후선온 || participatesIn

2024년 9월 10일 (화) 18:18 기준 최신판


이봉명과 병오년영조친정후선온도록(군신제회도)

영조친정후선온도록.jpg

친정(親政)이란 인사 고과인 도목정사(都目政事)에 임금이 친림하는 것을 말하며, 국가 의례를 대대적으로 정비하기 시작했던 숙종대부터 친정 장면을 그림으로 남기기 시작했다. 국가의 주요 임무나 행사를 마친 후 국왕이 수고한 신하를 위로하기 위해 내리는 술을 선온(宣醞)이라고 한다. 병오년(1726) 12월 29일에 병조좌랑 이봉명(李鳳鳴)은 친정후 선온 행사에서 영조의 어제시(御製詩)에 화답하는 시를 지어 올려 칭찬을 받고 족자를 하사받았다. 이 족자는 이봉명의 문집인 『구포유고(九苞遺稿)』에 「군신제회도(君臣際會圖)」라는 이름으로 사진이 실려있다.

지식 요소 간 관계

A B 관계어
조선_영조 병오_1726_친정후선온 participatesIn
조선_영조 무신_1728_친정 participatesIn
조선_영조 갑인_1734_친정 participatesIn
조선_영조 을묘_1735_친정후선온 participatesIn
병오년영조친정후선온도록 병오_1726_친정후선온 depicts
무신친정계첩 무신_1728_친정 depicts
갑인춘친정계첩 갑인_1734_친정 depicts
을묘친정후선온계병 을묘_1735_친정후선온 depicts
이봉명 병오_1726_친정후선온 participatesIn
한사득 을묘_1735_친정후선온 participatesIn
김재로 갑인_1734_친정 participatesIn
윤혜교 무신_1728_친정 participatesIn
이봉명 서천이씨 clan
한사득 청주한씨 clan
김재로 청풍김씨 clan
윤헤교 파평윤씨 clan
조선_영조 병오년영조친정후선온도록 grantor
병오년영조친정후선온도록 이봉명 recipient
갑인춘친정계첩 (부산광역시_유형문화유산)갑인춘_친정도 isDesignatedAs
IKCC_병오년영조친정후선온도록 군신제회도 isRelatedTo
군신제회도 구포유고 hasWork
무신친정계첩 국립중앙박물관 currentLocation
갑인춘친정계첩 동아대박물관 currentLocation
을묘친정후선온계병 서울대박물 currentLocation
구포유고 이봉명 creator

네트워크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