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인문지식 데이터 편찬 실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workshop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크립트 작성 방법 1: 섹션 설명)
(스크립트 작성 방법 4: 관계성(링크)의 표시 방법)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1번째 줄: 21번째 줄:
 
</pre>
 
</pre>
  
===위키 문서 스크립트 작성 방법===
+
====위키 문서 스크립트 작성 방법====
 
* 온톨로지 설계 스크립트를 '''[[예제.lst]]'''라는 이름으로 이 위키에 저장하였습니다.
 
* 온톨로지 설계 스크립트를 '''[[예제.lst]]'''라는 이름으로 이 위키에 저장하였습니다.
 
* 이 예시를 참고하여 아래의 설명을 읽으시기 바랍니다.  
 
* 이 예시를 참고하여 아래의 설명을 읽으시기 바랍니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네트워크 그래프 스크립트 예시: [[예제.lst]]====
+
=====가장 간단한 형태의 네트워크 그래프 스크립트 예시: [[예제.lst]]=====
 
<pre>
 
<pre>
 
#Project
 
#Project
41번째 줄: 41번째 줄:
  
 
#Nodes
 
#Nodes
철수 사람 철수
+
001 사람 철수
영이 사람 영이
+
002 사람 영이
보미 동물 보미
+
003 동물 몽실           
커피 음식 커피
+
004 음식 아이스_아메리카노                                           
크림 음식 아이스크림
+
005 음식 아이스크림
  
 
#Links
 
#Links
철수 크림 likes
+
001 005 likes
영이 커피 likes
+
002 004 likes
영이 보미 isCloseTo
+
002 003 isCloseTo
철수 영이 loves
+
001 002 loves
  
 
#End
 
#End
66번째 줄: 66번째 줄:
 
</pre>
 
</pre>
  
===네트워크 그래프 표시===
+
=====네트워크 그래프 표시=====
 
*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 '[[예제.lst]]' '''에 담은 내용을 네트그래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 '[[예제.lst]]' '''에 담은 내용을 네트그래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93번째 줄: 93번째 줄:
  
 
#Nodes
 
#Nodes
철수 사람 철수
+
001 사람 철수
영이 사람 영이
+
002 사람 영이
보미 동물 보미
+
003 동물 몽실           
커피 음식 커피
+
004 음식 아이스_아메리카노                                           
크림 음식 아이스크림
+
005 음식 아이스크림
  
 
#Links
 
#Links
철수 크림 likes
+
001 005 likes
영이 커피 likes
+
002 004 likes
영이 보미 isCloseTo
+
002 003 isCloseTo
철수 영이 loves
+
001 002 loves
  
 
#End
 
#End
109번째 줄: 109번째 줄:
 
====#Project====
 
====#Project====
 
*네트워크 그래프의 제목, 주제 등을 표시합니다.  
 
*네트워크 그래프의 제목, 주제 등을 표시합니다.  
*'''h1''' ~ '''h7'''의 '''헤딩 표시자'''를 사용하여 문자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헤딩은 2줄 이상, 최대 10줄까지 쓸 수 있습니다.
 
  
 
====#Class====
 
====#Class====
137번째 줄: 135번째 줄:
 
====#End====
 
====#End====
 
*스크립트의 끝을 알리는 표시자입니다.
 
*스크립트의 끝을 알리는 표시자입니다.
 +
 +
 +
  
 
===스크립트 작성 방법 2: 노드와 링크의 모양 지정 방법===
 
===스크립트 작성 방법 2: 노드와 링크의 모양 지정 방법===
(예제 2)는 범주별로 노드의 모양을 지정하는 방법과, 관계성 표시 화살표의 모양을 지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범주별로 노드의 모양을 지정하는 방법과, 관계성 표시 화살표의 모양을 지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노드 모양: #Class 섹션에서 지정====
 
====노드 모양: #Class 섹션에서 지정====
*'''#Class''' 색션에서 '''범주 이름''' 뒤에 이 범주에 속하는 '''노드'''의 표시 색상, '''노드''' 표시 모양을 추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Class''' 섹션에서 '''범주 이름''' 뒤에 이 범주에 속하는 '''노드'''의 표시 색상, '''노드''' 표시 모양을 추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노드 표시 색상''': HTML 문서에서 쓸 수 있는 모든 색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ont color="red">red</font>,  <font color="blue">blue</font>,  <font color="green">green</font>''' ....
 
*'''노드 표시 색상''': HTML 문서에서 쓸 수 있는 모든 색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ont color="red">red</font>,  <font color="blue">blue</font>,  <font color="green">green</font>''' ....
 
*'''노드 표시 모양''': '''box'''(사각형), '''circle'''(원), '''ellipse'''(타원), '''star'''(별), '''triangle'''(삼각형), '''square'''(정사각형), '''dot'''(점), '''text'''(문자열)
 
*'''노드 표시 모양''': '''box'''(사각형), '''circle'''(원), '''ellipse'''(타원), '''star'''(별), '''triangle'''(삼각형), '''square'''(정사각형), '''dot'''(점), '''text'''(문자열)
  
 
====링크 모양: #Relation 섹션에서 지정====
 
====링크 모양: #Relation 섹션에서 지정====
*'''#Relation''' 색션에서 '''관계성 이름''' 뒤에 관계성의 '''다른 이름''', 관계성 표시 '''화살표의 모양'''을 추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Relation''' 섹션에서 '''관계성 이름''' 뒤에 관계성의 '''다른 이름''', 관계성 표시 '''화살표의 모양'''을 추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관계성의 '''다른 이름''':  예를 들어, ''''isRelatedTo''''라는 관계성 ''''이름''''에 대해 ''''~와_관계가_있다''''라는 ''''다른 이름 (또는 설명)''''을 병기해 줄 수 있습니다. 그래프 상에서 ''''이름''''과 ''''다른 이름(설명)''''은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작성 방법 4'''에서 설명)
 
*관계성의 '''다른 이름''':  예를 들어, ''''isRelatedTo''''라는 관계성 ''''이름''''에 대해 ''''~와_관계가_있다''''라는 ''''다른 이름 (또는 설명)''''을 병기해 줄 수 있습니다. 그래프 상에서 ''''이름''''과 ''''다른 이름(설명)''''은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작성 방법 4'''에서 설명)
 
*'''화살표의 모양''': '''arrow'''(--->), '''inverse'''(<---), '''both'''(<-->), '''moving-arrows'''(->->), '''line'''(----)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화살표의 모양''': '''arrow'''(--->), '''inverse'''(<---), '''both'''(<-->), '''moving-arrows'''(->->), '''line'''(----)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163번째 줄: 164번째 줄:
 
</pre>
 
</pre>
  
<font color='green'>❖ 예시2: 노드와 링크의 모양을 지정한 스크립트</font> ☞ [[예제2.lst]]<br/>
+
<font color='green'>❖ 예시: 노드와 링크의 모양을 지정한 스크립트</font> ☞ [[예제2.lst]]<br/>
 
{{NetworkGraph | title=예제2.lst}}
 
{{NetworkGraph | title=예제2.lst}}
  
===스크립트 작성 방법 3: 이미지 아이콘의 표시===
+
===스크립트 작성 방법 3: 이미지 아이콘의 표시 방법===
 
+
====이미지 아이콘 사용 방법====
 
+
*'''#Nodes 섹션''' 에서 Hyperlink URL 뒤에 ICON 이미지 URL을 지정하면 해당 노드를 ICON으로 표시한 그래프가 출력됩니다.  
@@
+
*Hyperlink URL을 지정하지 않고, ICON 이미지 URL만 지정하고 싶을 때에는 Hyperlink URL 자리에 '''null'''을 입력하면 됩니다.
(예제 3)은 노드를 ICON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예제 4)는 노드 표시의 다양한 방법을 방법을 소개합니다.  
 
  
 +
<font color='green'>❖ 예시3: 노드를 ICON으로 표시하는 스크립트</font> ☞ [[예제3.lst]]
 
<pre>
 
<pre>
 
#Nodes
 
#Nodes
철수 사람 철수 sample1.htm#Cheol-su Cheol.png 1
+
001    사람   철수           null                                                 http://dh.aks.ac.kr/~jisun/images/철수.png
영이 사람 영이 sample1.htm#Yeong-i Yeong.png 1
+
002    사람   영이           null                                                 http://dh.aks.ac.kr/~jisun/images/영이.png
보미 동물 보미 null Dog.png 2
+
003    동물   몽실              http://dh.aks.ac.kr/workshop/index.php/귀여운_몽실    http://dh.aks.ac.kr/~jisun/images/몽실.png  
커피 음식 커피 sample1.htm#Coffee Coffee.png 0
+
004    음식   아이스_아메리카노 https://ko.wikipedia.org/wiki/카페_아메리카노          http://dh.aks.ac.kr/~jisun/images/아아메.png
크림 음식 아이스크림 sample1.htm#IceCream IceCream.png 0
+
005    음식   아이스크림   null                                                 http://dh.aks.ac.kr/~jisun/images/아이스크림.png  
 
</pre>
 
</pre>
<pre>
+
{{NetworkGraph | title=예제3.lst}}
#Nodes
 
철수 사람 철수 sample1.htm#Cheol-su Cheol.png
 
영이 사람 영이 sample1.htm#Yeong-i Yeong.png
 
보미 동물 보미 null Dog.png
 
커피 음식 커피 sample1.htm#Coffee Coffee.png
 
크림 음식 아이스크림 sample1.htm#IceCream IceCream.png
 
</pre>
 
<html>
 
<iframe width="800" height="480px" src="http://dh.aks.ac.kr/Graph/mygraph2018/sample1/예제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iframe width="800" height="480px" src="http://dh.aks.ac.kr/Graph/mygraph2018/sample1/예제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이미지 아이콘 사용 방법====
 
*'''#Nodes 섹션''' 에서 Hyperlink URL 뒤에 ICON 이미지 URL을 지정하면 해당 노드를 ICON으로 표시한 그래프가 출력됩니다.
 
*Hyperlink URL을 지정하지 않고, ICON 이미지 URL만 지정하고 싶을 때에는 Hyperlink URL 자리에 '''null'''을 입력하면 됩니다.
 
  
 
====이미지 아이콘 표시 옵션====
 
====이미지 아이콘 표시 옵션====
205번째 줄: 188번째 줄:
 
* 1: 기본 값. 노드를 ICON으로 표시합니다. 이 경우, 노드 위치에 커서를 올려 놓으면 노드 레이블 텍스트를 담은 말풍선이 표시됩니다. 이 텍스트에 밑줄이 있는 것은 클릭 시 Hyperlink가 된다는 표시입니다. (※ Hyperlink URL이 '''null'''인 경우 밑줄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 1: 기본 값. 노드를 ICON으로 표시합니다. 이 경우, 노드 위치에 커서를 올려 놓으면 노드 레이블 텍스트를 담은 말풍선이 표시됩니다. 이 텍스트에 밑줄이 있는 것은 클릭 시 Hyperlink가 된다는 표시입니다. (※ Hyperlink URL이 '''null'''인 경우 밑줄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 2: Circular Icon: 노드 ICON을 원형으로 표시합니다.
 
* 2: Circular Icon: 노드 ICON을 원형으로 표시합니다.
 
+
<font color='green'>❖ 예시3-2: 노드 표시의 다양한 방법을 방법을 적용한 스크립트</font> ☞ [[예제3-2.lst]]
<font color='green'>❖ 예시3: 이미지 아이콘으로 노드를 표시하는 스크립트</font> ☞ [[Celery3.lst]]
 
 
 
===스크립트 작성 방법 4: '''관계성(링크)'''의 표시 방법===
 
 
 
@@
 
(예제 5)는 그래프 상에 '''관계성(링크)'''을 표시할 때, '''이름''' 대신 '''다른 이름(설명)'''을 표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pre>
 
<pre>
#Relation
+
#Nodes
likes 좋아한다 arrow 2
+
001    사람    철수           null                                                 http://dh.aks.ac.kr/~jisun/images/철수.png        0
loves 사랑한다 moving-arrows 2
+
002    사람    영이           null                                                 http://dh.aks.ac.kr/~jisun/images/영이.png        0
isCloseTo 친하다 both 2
+
003    동물    몽실              http://dh.aks.ac.kr/workshop/index.php/귀여운_몽실    http://dh.aks.ac.kr/~jisun/images/몽실.png        0
 +
004    음식    아이스_아메리카노 https://ko.wikipedia.org/wiki/카페_아메리카노          http://dh.aks.ac.kr/~jisun/images/아아메.png      1
 +
005    음식    아이스크림   null                                                 http://dh.aks.ac.kr/~jisun/images/아이스크림.png  1
 
</pre>
 
</pre>
 +
{{NetworkGraph | title=예제3-2.lst}}
  
<html>
+
===스크립트 작성 방법 4: '''관계성(링크)'''의 표시 방법===
<iframe width="800" height="480px" src="http://dh.aks.ac.kr/Graph/mygraph2018/sample1/예제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그래프 상에 '''관계성(링크)'''을 표시할 때, '''이름''' 대신 '''다른 이름(설명)'''을 표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html>
 
 
 
 
* '''#Relation''' 섹션에서 화살표 모양 지정 뒤에  '''관계성 이름 표시 방법'''을 숫자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Relation''' 섹션에서 화살표 모양 지정 뒤에  '''관계성 이름 표시 방법'''을 숫자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0: '''관계성 이름'''이 보이지 않게 합니다.  노드와 노드를 잇는 화살표만 표시됩니다.
 
* 0: '''관계성 이름'''이 보이지 않게 합니다.  노드와 노드를 잇는 화살표만 표시됩니다.
229번째 줄: 206번째 줄:
 
* 2: 그래프 상에 '''관계성 이름''' 대신 '''다른 이름(설명)'''이 표시됩니다. 화살표 위에 커서를 놓으면 '''관계성 이름'''을 보이는 말풍선이 표시됩니다.
 
* 2: 그래프 상에 '''관계성 이름''' 대신 '''다른 이름(설명)'''이 표시됩니다. 화살표 위에 커서를 놓으면 '''관계성 이름'''을 보이는 말풍선이 표시됩니다.
 
* 3: 그래프 상에 '''관계성 이름'''과 '''다른 이름(설명)'''이 함께 표시됩니다. '
 
* 3: 그래프 상에 '''관계성 이름'''과 '''다른 이름(설명)'''이 함께 표시됩니다. '
 +
 +
<pre>
 +
#Relation
 +
likes 좋아한다 arrow 1
 +
loves 사랑한다 moving-arrows 2
 +
isCloseTo 친하다 both 3
 +
</pre>
 +
<font color='green'>❖ 예시4: 링크 표시의 다양한 방법을 방법을 적용한 스크립트</font> ☞ [[예제4.lst]]
 +
{{NetworkGraph | title=예제4.lst}}
  
<font color='green'>❖ 예시4: '''관계성 이름''' 대신 '''다른 이름''' 표시</font> ☞ [[Celery4.lst]]<br/>
+
===추가===
<font color='green'>❖ 예시5: '''관계성 이름'''과 '''다른 이름'''을 함께 표시</font> ☞ [[Celery5.lst]]
+
<font color='green'>❖ 예시5: </font> ☞ [[예제5.lst]]
 +
{{NetworkGraph | title=예제5.lst}}
  
 
===참조===
 
===참조===

2019년 7월 30일 (화) 17:09 기준 최신판

네트워크 그래프 작성

네트워크 그래프 작성 방법 두 가지

  1. PC에서: 나의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방법
  2. Wiki에서: Network Graph in Wiki

위키 문서로 네트워크 그래프를 만드는 방법

온톨로지 설계 스크립트를 위키 문서로 저장하면 바로 네트워크 그래프 시각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2018. 7. 15.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 인문학 연구소) 아래의 방법으로 실행하세요.

  • (1 단계) 네트워크 그래프로 표현할 온톨로지 설계 스크립트를 위키 문서로 작성하여 저장합니다.
√ 이 문서의 제목은 일반적인 위키 문서와 구별되도록 '.lst'를 붙이세요. (권장 사항)
√ 문서의 끝에 분류 정보 '[[분류: Network Graph Script]]'를 첨가하세요. (권장 사항)
√ 스크립트 코드는 위키 텍스트로 인식되지 않도록 시작과 끝에 부분<pre>....</pre> 태그를 첨가하세요. (권장 사항)
범주 이름, 관계성 이름, 관계성의 다른 이름, 노드 식별자, 노드 레이블 안에는 모두 공백 문자(white space)를 쓸 수 없습니다. 단어를 띄어쓸 필요가 있을 때에는 공백 문자 대신 '_' 기호를 쓰세요.
√ 그래프가 망가진 모양으로 표시되는 경우, 노드 표시 ICON 이미지의 URL이 잘못된 경우(이미지 파일이 없는 경우)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정확한 이미지의 URL을 지정하거나 #Nodes 섹션에서 각 노드의 이미지 표시 여부를 0으로 한 후 다시 실행해 보세요.
  • (2 단계) 네트워크 그래프를 보일 위키 문서 상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그 곳에 네트워크 그래프가 표시됩니다.
    {{NetworkGraph | title=스크립트 문서 제목}}

위키 문서 스크립트 작성 방법

  • 온톨로지 설계 스크립트를 예제.lst라는 이름으로 이 위키에 저장하였습니다.
  • 이 예시를 참고하여 아래의 설명을 읽으시기 바랍니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네트워크 그래프 스크립트 예시: 예제.lst
#Project
h1 나의 첫번째 네트워크 그래프

#Class
사람	
동물	
음식	

#Relation
likes	
loves	
isCloseTo		

#Nodes
001	사람	철수		 
002	사람	영이		 	
003	동물	몽실            
004	음식	아이스_아메리카노                                             
005	음식	아이스크림		 

#Links
001	005	likes
002	004	likes
002	003	isCloseTo
001	002	loves

#End
==Visualization==
{{NetworkGraph | title=예제.lst}}
[[분류:Network Graph Script]]
[[분류:2019 디지털인문학교육워크샵]]
네트워크 그래프 표시
  •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예제.lst' 에 담은 내용을 네트그래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NetworkGraph | title=예제.lst}}



스크립트 작성 방법 1: 섹션 설명

  • 온톨로지 설계 스크립트는 #Project, #Class, #Relation, #Nodes, #Links 등 5개 섹션과 스크립트 종료 표시자 #End로 구성됩니다.
#Project
h1 나의 첫번째 네트워크 그래프

#Class
사람	
동물	
음식	

#Relation
likes	
loves	
isCloseTo		

#Nodes
001	사람	철수		 
002	사람	영이		 	
003	동물	몽실            
004	음식	아이스_아메리카노                                             
005	음식	아이스크림		 

#Links
001	005	likes
002	004	likes
002	003	isCloseTo
001	002	loves

#End

#Project

  • 네트워크 그래프의 제목, 주제 등을 표시합니다.

#Class

  • 그래프로 표시하고자 하는 대상 세계의 범주(Class)를 지정합니다.
  • 범주(Class) 개념에 대해서는 이 위키온톨로지의 이해를 참고 하세요.

#Relation

  • 노드 사이의 관계성을 지정합니다.
  • 관계성(Relation) 개념에 대해서는 이 위키온톨로지의 이해를 참고 하세요.

#Nodes

  • 대상 세계에 존재하는 각각의 노드(Node)를 지정합니다.
  • 노드(Node) 개념에 대해서는 이 위키데이터의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를 참고 하세요.
  • 노드 지정을 위한 필수 요소는 노드 식별자, 범주, 노드 레이블 등 3 가지입니다.
  • 노드 식별자는 컴퓨터가 하나의 노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이름입니다. 중복된 이름이 있어서는 않됩니다.
  • 노드 레이블은 그래프 상에서 노드의 이름으로 표시하기 위한 이름입니다. 중복이 있어도 무방합니다.
  • 네 번째 요소 DATA URL을 추가할 경우, 네트워크 그래프 상에서 노드를 클릭하면, 해당 URL로 이동합니다.
  • 노드범주 이름은 반드시 #Class 섹션에서 정의된 것이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그래프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Links

  • 노드(Node)노드(Node)를 잇는 링크(Link)를 지정합니다.
  • 링크(Link) 개념에 대해서는 이 위키데이터의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를 참고 하세요.
  • 링크 지정은 첫번째 노드 식별자(Domain), 두번째 노드 식별자(Range), 두 노드 사이의 관계성(Relation) 이름 순으로 기술합니다.
  • 두 노드 사이의 관계성 이름은 반드시 #Relation 섹션에서 정의된 것이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그래프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End

  • 스크립트의 끝을 알리는 표시자입니다.



스크립트 작성 방법 2: 노드와 링크의 모양 지정 방법

범주별로 노드의 모양을 지정하는 방법과, 관계성 표시 화살표의 모양을 지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노드 모양: #Class 섹션에서 지정

  • #Class 섹션에서 범주 이름 뒤에 이 범주에 속하는 노드의 표시 색상, 노드 표시 모양을 추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노드 표시 색상: HTML 문서에서 쓸 수 있는 모든 색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d, blue, green ....
  • 노드 표시 모양: box(사각형), circle(원), ellipse(타원), star(별), triangle(삼각형), square(정사각형), dot(점), text(문자열)

링크 모양: #Relation 섹션에서 지정

  • #Relation 섹션에서 관계성 이름 뒤에 관계성의 다른 이름, 관계성 표시 화살표의 모양을 추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관계성의 다른 이름: 예를 들어, 'isRelatedTo'라는 관계성 '이름'에 대해 '~와_관계가_있다'라는 '다른 이름 (또는 설명)'을 병기해 줄 수 있습니다. 그래프 상에서 '이름'과 '다른 이름(설명)'은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작성 방법 4에서 설명)
  • 화살표의 모양: arrow(--->), inverse(<---), both(<-->), moving-arrows(->->), line(----)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Class
사람	blue	circle
동물	red	box
음식	green	ellipse  

#Relation
likes	좋아한다	arrow
loves	사랑한다	moving-arrows
isCloseTo	친하다	both

❖ 예시: 노드와 링크의 모양을 지정한 스크립트예제2.lst


스크립트 작성 방법 3: 이미지 아이콘의 표시 방법

이미지 아이콘 사용 방법

  • #Nodes 섹션 에서 Hyperlink URL 뒤에 ICON 이미지 URL을 지정하면 해당 노드를 ICON으로 표시한 그래프가 출력됩니다.
  • Hyperlink URL을 지정하지 않고, ICON 이미지 URL만 지정하고 싶을 때에는 Hyperlink URL 자리에 null을 입력하면 됩니다.

❖ 예시3: 노드를 ICON으로 표시하는 스크립트예제3.lst

#Nodes
001     사람    철수	          null	                                                 http://dh.aks.ac.kr/~jisun/images/철수.png
002     사람    영이	          null	                                                 http://dh.aks.ac.kr/~jisun/images/영이.png
003     동물    몽실              http://dh.aks.ac.kr/workshop/index.php/귀여운_몽실     http://dh.aks.ac.kr/~jisun/images/몽실.png   
004     음식    아이스_아메리카노 https://ko.wikipedia.org/wiki/카페_아메리카노          http://dh.aks.ac.kr/~jisun/images/아아메.png
005     음식    아이스크림	  null	                                                 http://dh.aks.ac.kr/~jisun/images/아이스크림.png 


이미지 아이콘 표시 옵션

  • #Nodes 섹션에서 이미지 URL 뒤에 노드 표시 옵션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0: 아이콘 감춤. 노드 위치에 ICON을 표시하지 않고, Text Label만 표시합니다. 이 경우, 노드 위치에 커서를 올려 놓을 때만 (hover) ICON 이미지가 표시됩니다.
  • 1: 기본 값. 노드를 ICON으로 표시합니다. 이 경우, 노드 위치에 커서를 올려 놓으면 노드 레이블 텍스트를 담은 말풍선이 표시됩니다. 이 텍스트에 밑줄이 있는 것은 클릭 시 Hyperlink가 된다는 표시입니다. (※ Hyperlink URL이 null인 경우 밑줄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 2: Circular Icon: 노드 ICON을 원형으로 표시합니다.

❖ 예시3-2: 노드 표시의 다양한 방법을 방법을 적용한 스크립트예제3-2.lst

#Nodes
001     사람    철수	          null	                                                 http://dh.aks.ac.kr/~jisun/images/철수.png        0
002     사람    영이	          null	                                                 http://dh.aks.ac.kr/~jisun/images/영이.png        0
003     동물    몽실              http://dh.aks.ac.kr/workshop/index.php/귀여운_몽실     http://dh.aks.ac.kr/~jisun/images/몽실.png        0
004     음식    아이스_아메리카노 https://ko.wikipedia.org/wiki/카페_아메리카노          http://dh.aks.ac.kr/~jisun/images/아아메.png      1
005     음식    아이스크림	  null	                                                 http://dh.aks.ac.kr/~jisun/images/아이스크림.png  1


스크립트 작성 방법 4: 관계성(링크)의 표시 방법

그래프 상에 관계성(링크)을 표시할 때, 이름 대신 다른 이름(설명)을 표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Relation 섹션에서 화살표 모양 지정 뒤에 관계성 이름 표시 방법을 숫자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0: 관계성 이름이 보이지 않게 합니다. 노드와 노드를 잇는 화살표만 표시됩니다.
  • 1: 기본 값. 관계성 이름이 그래프의 링크 화살표 밑에 표시됩니다. 화살표 위에 커서를 놓으면(hover) 다른 이름(설명)을 보이는 말풍선이 표시됩니다.
  • 2: 그래프 상에 관계성 이름 대신 다른 이름(설명)이 표시됩니다. 화살표 위에 커서를 놓으면 관계성 이름을 보이는 말풍선이 표시됩니다.
  • 3: 그래프 상에 관계성 이름다른 이름(설명)이 함께 표시됩니다. '
#Relation
likes		좋아한다	arrow		1
loves		사랑한다	moving-arrows	2
isCloseTo	친하다		both		3

❖ 예시4: 링크 표시의 다양한 방법을 방법을 적용한 스크립트예제4.lst


추가

❖ 예시5: 예제5.lst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