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스토리텔링 툴 샘플 페이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workshop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정조의 일생과 관련 사건들(년도와 나이 표시))
20번째 줄: 20번째 줄:
  
 
==사도세자, 정조의 일생과 관련 사건들(년도와 나이 표시)==
 
==사도세자, 정조의 일생과 관련 사건들(년도와 나이 표시)==
1735년 사도세자 출생(사도세자 1세): 영조와 후궁 영빈 이씨 사이에 출생.  
+
#1735년 사도세자 출생(사도세자 1세): 영조와 후궁 영빈 이씨 사이에 출생.  
 
+
#1736년 사도세자 세자로 책봉 (사도세자 2세)
1736년 사도세자 세자로 책봉 (사도세자 2세)
+
#1744년 홍봉한의 딸을 빈으로 맞이함 (사도세자 10세)
 
+
#1752년 정조 출생 (정조 1세)  
1744년 홍봉한의 딸을 빈으로 맞이함 (사도세자 10세)
+
#1759년 왕세손 책봉 (정조 8세)  
 
+
#1761년 성균관 입학 (정조 10세)  
1752년 정조 출생 (1세)  
+
#1762년 임오화변 (사도세자 28세, 정조 11세)
 
+
#1765년 동궁책봉 (정조 14세)  
1759년 왕세손 책봉 (8세)  
+
#1775년 대리청정 (정조 24세)  
 
+
#1776년 정조 즉위 / 규장각 설치 (정조 25세)  
1761년 성균관 입학 (10세)  
+
#1777년 서얼철폐  
 
+
#1778년 노비제도 폐지 추진  
1762년 임오화변  
+
#1782년 외규장각 준공  
 
+
#1785년 장용위 설치 (정조 34세)  
1765년 동궁책봉 (14세)  
+
#1789년 현륭원 이전 (정조 38세)  
 
+
#1791년 신해통공  
1775년 대리청정 (24세)  
+
#1793년 장용영 확대 (정조 42세)  
 
+
#1794년 화성 건설 (정조 43세)  
1776년 즉위 / 규장각 설치 (25세)  
+
#1795년 행행 (정조 44세)
 
 
1777년 서얼철폐  
 
 
 
1778년 노비제도 폐지 추진  
 
 
 
1782년 외규장각 준공  
 
 
 
1785년 장용위 설치 (34세)  
 
 
 
1789년 현륭원 이전 (38세)  
 
 
 
1791년 신해통공  
 
 
 
1793년 장용영 확대 (42세)  
 
 
 
1794년 화성 건설 (43세)  
 
 
 
1795년 행행 (44세)
 
  
 
==Google my map==
 
==Google my map==

2019년 7월 15일 (월) 22:36 판

Timeline.js

  1. 1735년 1월 21일 : 사도세자 출생.
  2. 1743년 11월 13일 :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가례.
  3. 1752년 : 정조 탄생
  4. 1762년 : 임오화변
  5. 1776년 : 정조 즉위
  6. 1790년 : 무예도보통지 편찬.
  7. 1794년 2월 : 수원화성 착공
  8. 1795년 윤2월 9일-16일 : 을묘원행
  9. 1796년 09월 : 수원화성 완공
  10. 1800년 : 정조 사후 순조 즉위.



사도세자, 정조의 일생과 관련 사건들(년도와 나이 표시)

  1. 1735년 사도세자 출생(사도세자 1세): 영조와 후궁 영빈 이씨 사이에 출생.
  2. 1736년 사도세자 세자로 책봉 (사도세자 2세)
  3. 1744년 홍봉한의 딸을 빈으로 맞이함 (사도세자 10세)
  4. 1752년 정조 출생 (정조 1세)
  5. 1759년 왕세손 책봉 (정조 8세)
  6. 1761년 성균관 입학 (정조 10세)
  7. 1762년 임오화변 (사도세자 28세, 정조 11세)
  8. 1765년 동궁책봉 (정조 14세)
  9. 1775년 대리청정 (정조 24세)
  10. 1776년 정조 즉위 / 규장각 설치 (정조 25세)
  11. 1777년 서얼철폐
  12. 1778년 노비제도 폐지 추진
  13. 1782년 외규장각 준공
  14. 1785년 장용위 설치 (정조 34세)
  15. 1789년 현륭원 이전 (정조 38세)
  16. 1791년 신해통공
  17. 1793년 장용영 확대 (정조 42세)
  18. 1794년 화성 건설 (정조 43세)
  19. 1795년 행행 (정조 44세)

Google my map

  1. 첫째날 : 창덕궁(돈화문) → 돈녕부 앞길/파자전 돌다리(지금의 단성사 앞) → 통운 돌다리(지금의 보신각 앞길) → 대광통 돌다리(지금의 서린동 122번지 남쪽) → 소광통 돌다리(남대문로1가 23번지 남쪽) → 동현(銅峴, 지금의 명동)병문 앞길 → 송현(松峴, 지금의 한국은행 부근) → 수각(水閣) 돌다리/숭례문(남대문) → 노량행궁(용양봉저정,지금의 동작구 본동 30번지) → 시흥행궁(금천구 시흥 5동 831번지 6호)
  2. 둘째날 : 시흥행궁 → (지금의 시흥대로와 안양시 만안대로, 그리고 1번 국도를 따라 이동) → 장산(長山)모루 → 청천평 (晴川坪) 에서 휴식/ 왕은 말에서 내려 혜경궁에게 문안 → 사근참행궁(肆覲站行宮)에서 점심 → 저녁에 화성행궁 봉수당(奉壽堂)에 도착 (혜경궁을 봉수당 왼편에 있는 장락당(長樂堂)으로 모심)
  3. 셋째날 : 화성향교 대성전 참배 → 행궁에서 문무과 별시 시행 → 행궁의 봉수당에서 회갑잔치의 예행연습인 진찬습의(進饌習儀) 거행
  4. 넷째날 : 새벽 인정 3각(寅正三刻, 오전 4시45분) 3취에 화성행궁 출발 → 팔달문 → (지금의 정조로(正祖潞)를 따라 이동) → 상류천점(上柳川店)(지금의 매교삼거리)에서 잠시 휴식 → 융릉 → 화성행궁 → 서장대에 친림하여 주간 및 야간 군사훈련
  5. 다섯째날 : 진정3각(辰正三刻, 오전 8시 45분경)에 봉수당에서 회갑 진찬례 거행
  6. 여섯째날 : 새벽에 신풍루(新豊樓)에서 사미의식 → 진정1각(辰正一刻, 8시 15분경)에 낙남헌(洛南軒)에서 양로연
  7. 일곱째날 : 진정3각(辰正三刻, 오전 8시 45분경)3취에 수원 화성행궁 출발 → 미륵현(彌勒峴, 지지대고개) → 사근행궁에서 점심 → 시흥행궁(1박)
  8. 여덟째날 : 묘정3각(卯正三刻時, 오전 6시 45분경)에 부로(父老)와 민인(民人)을 만나 백성들의 소망을 듣고 이 자리에서 환곡을 탕감 → 노량행궁에서 점심 → 저녁에 창덕궁 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