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참여자

"장문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workshop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재생중)
47번째 줄: 47번째 줄: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mKZB6inD09s"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mKZB6inD09s"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
===가보고 싶어요===
 +
{{#display_map:
 +
35.996664, 129.409143~청포도 문학공원~청포도 문학공원
 +
|service=googlemaps
 +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2019년 8월 7일 (수) 11:14 판


인사말

'한국근대문예비평사'를 전공하는 장문석입니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가르치고 있습니다.

이육사이원조 형제의 문학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기본정보

  1. 이름: 장문석
  2. 소속: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 https://www.khu.ac.kr/kor/main/index.do
    2. [1]
  3. 참여한 워크샵: 2019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4. 위키ID: daldol2

상세정보

이 시간을 함께하는 사람들

그 장면, 그 말

다시 천고의 뒤에 백마 타고 오는 초인[1]


Quote-left.png 날 때부터 발에 쇠고랑을 찬 채

평생 다리도 펼 수 없는 작은 감옥안에 갇혀 살던 사내가 있었습니다.
빛 한 점 들어오지 않는 이곳이,
세상의 전부려니 별 불평 없이 살았는데 말입니다.

그런데, 딱 하루 창이 열리던 날에
사내는 달을 보게 되었습니다.
사내는 그만 달빛을 사모하게 되었지요.

이제는 평생 그 달빛을 볼 수 없는데 말입니다.

달빛을 보게 된 건,
사내에게 잘 된 일입니까?

아니면 잘 안 된 일입니까?
Quote-right.png
MBC 드라마 <절정>(2011)


재생중

가보고 싶어요

지도를 불러오는 중...

주석

  1. 【TVPP】 김동완(신화) - 이육사가 고문 받은 후 감옥 벽에 쓴 시 '청포도' @절정 2011 http://allclip.sbs.co.kr/end.html?clipid=M11_T9201701130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