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포(白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의복|대표표제=백포|한글표제=백포|한자표제=白袍|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시사복(視事服)|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김소현|용도=소상(小祥) 후 시사복(視事服)|시기=조선|관련의례행사=사시의(賜諡儀), 사제의(賜祭儀), 상회례(相會禮)|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517|실록연계=}}
 
{{의복|대표표제=백포|한글표제=백포|한자표제=白袍|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시사복(視事服)|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김소현|용도=소상(小祥) 후 시사복(視事服)|시기=조선|관련의례행사=사시의(賜諡儀), 사제의(賜祭儀), 상회례(相會禮)|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517|실록연계=}}
26번째 줄: 26번째 줄:
  
 
=='''관계망'''==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script><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iframe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4517" width="100%" height="700px"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4517"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의복]][[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분류:생활·풍속]][[분류:의생활]][[분류:의복]][[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2017년 12월 9일 (토) 20:59 기준 최신판



소상(小祥) 후에 왕이 정무를 볼 때 입는 옷.

개설

상(喪)이 난 지 13개월이 되어 지내는 제사를 연제(練祭), 상제(詳祭), 소상(小祥)이라고 한다. 연제 후에 왕이 정무를 볼 때 입는 시사복(視事服)은 백포(白袍), 백포과익선관(白布褁翼善冠), 백포과오서대(白布褁烏犀帶), 백피화(白皮靴)로 한다.

연원 및 변천

조선전기의 『세종실록』「오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는 왕세자의 졸곡(卒哭) 후 시사복으로 백포(白袍), 익선관, 오서대, 백피화를 규정하고 있으나, 조선후기의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에는 연제 후 시사복으로 백포, 백포과익선관, 백포과오서대, 백피화를 규정하고 있다. 조선후기에는 상례가 보다 엄격해져서 조선전기의 졸곡 후 시사복을 연제 후 시사복으로 개정했다.

형태

연제 후에 왕이 정무를 볼 때 백포를 입는다. 백포는 곤룡포와 동일한 형태이지만 소재가 베라는 점이 다르다. 익선관도 베로 둘러싸므로 백포과익선관이라고 하며, 각(角)도 베로 싼다. 허리에는 백포과오서대를 띠고, 신은 백피화로 한다.

용도

연제 후에 왕이 정무를 볼 때 입는다. 선왕이 운명하면서 새롭게 왕위에 오른 왕세자는 일상적인 정무 외에 외교적인 업무도 많아진다. 중국에서 내린 시호(諡號)를 받는 의식[賜諡儀], 시호를 받은 후에 길일(吉日)을 택해 중국에서 온 사신(使臣)이 제문(祭文)을 바치는 의식[賜祭儀], 사신이나 손님이 왔을 때 처음으로 서로 만나 인사를 나누던 예[相會禮] 등에 백포를 입었다.

참고문헌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