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석사(浮石寺)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부석사 |
한글표제 | 부석사 |
한자표제 | 浮石寺 |
관련어 | 결응(決凝), 무량수전(無量壽殿), 부석존자(浮石尊者), 부석종(浮石宗), 봉황산(鳳凰山), 선달사(先達寺), 의상(義湘), 화엄십찰(華嚴十刹), 흥교사(興敎寺) |
분야 | 문화/종교/불교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윤기엽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부석사(浮石寺) |
신라의 의상이 창건한, 경상북도 영주시의 사찰.
개설
부석사(浮石寺)는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봉황산(鳳凰山)에 있는 절이다. 신라시대에 의상이 창건하여 화엄10찰(華嚴十刹) 중의 종찰로 사세를 드날렸고 고려시대에도 화엄의 종통을 이어갔다. 조선시대와 근대기에 절이 여러 차례 중건, 중수되었다. 경내에 있는 주심포(柱心包) 양식의 무량수전(無量壽殿)은 한국 최고의 목조 건축물로 잘 알려져 있다.
연원
676년(신라 문무왕 16) 2월 의상이 왕명으로 창건하여 화엄종(華嚴宗)의 중심 사찰이 되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다음과 같은 부석사의 창건 설화가 전해온다.
불법(佛法)을 공부하기 위해 신라를 떠나 당(唐)에 간 의상은 상선(商船)을 타고 등주(登州) 해안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의상은 어느 신사(信士)의 집에서 며칠을 머물게 되었고, 그 집의 딸 선묘(善妙)는 의상을 사모하였다. 하지만 의상은 오히려 선묘를 감동시켜 보리심[菩提心]을 발하게 하였다. 선묘는 그때 "영원히 스님의 제자가 되어 스님의 공부와 교화와 불사를 성취하는 데 도움이 되어드리겠다."는 원을 세웠고, 의상은 종남산(終南山)에 있는 지엄(智儼)의 제자가 되어 화엄학을 공부하였다. 의상이 공부를 마치고 귀국하는 길에 다시 등주에서 배를 타고 귀국길에 올랐다. 선묘는 의상에게 전해주고자 준비한 법복(法服)과 집기를 넣은 상자를 전하기도 전에 의상이 떠나버리자, 급히 상자를 가지고 선창으로 달려갔으나 배는 이미 떠나고 없었다. 선묘는 의상에게 공양하려는 지극한 정성으로 떠나가는 배를 향해 기물 상자를 던져 의상에게 전하고는 다시 서원(誓願)을 세워 몸을 바다에 던져 의상이 탄 배를 보호하는 용(龍)이 되었다. 선묘가 변한 용은 의상이 신라에 도착한 뒤에도 줄곧 호위하며 따라 다녔다. 의상이 화엄의 대교(大敎)를 펼 수 있는 땅을 찾아 봉황산에 이르렀으나 도둑 무리 500여 명이 그 땅에 살고 있었다. 이에 용은 커다란 바위로 변하여 공중을 떠다니면서 도둑의 무리를 위협해 모두 몰아내고 의상이 절을 창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의상은 용이 바위로 변하여 절을 지을 수 있도록 했다고 하여 절 이름을 부석사(浮石寺)로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선묘사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부석사를 영원히 지키고자 석룡(石龍)으로 변하여 무량수전 밑에서부터 절 마당 석등 자리까지 몸을 묻고 지키고 있다고 전한다. 의상의 존호(尊號)를 부석존자(浮石尊者)로 칭하고, 의상이 개창한 화엄종을 부석종(浮石宗)으로 부르게 된 것도 모두 부석사를 바탕으로 생겨난 것이다.
의상 창건 후 부석사는 화엄10찰의 종찰이 되어 역대 제자들이 주석하며 화엄사상을 드날렸고, 후일 이름난 선사가 되는 혜철, 무염, 절중 등이 이 절에서『화엄경(華嚴經)』을 배우며 깊은 뜻을 깨우쳤다.
내용 및 변천
(1) 고려시대
1041년(고려 정종 7)에 원융(圓融) 국사(國師) 결응(決凝)이 부석사에 들어와 화엄종통을 이어받았다. 부석사 동쪽 언덕에 있는 원융국사비의 건립 연대는 명문의 마멸이 심하여 확인할 길이 없으나 입적 이듬해인 1054년(고려 문종 8)으로 추정하고 있다. 비문에는 의상 당대의 부석사의 모습과 그의 법손들이 줄곧 이곳에 주석해 온 것을 알려주는 귀중한 내용이 담겨 있다. 11세기(또는 13세기)에 건립된 본당 무량수전(無量壽殿)은 우리나라에서 오래되고 아름답기로 첫손 꼽히는 건축물로서, 1358년(고려 공민왕 7)에 왜구의 침략으로 불에 타 큰 피해를 입어 1376년(고려 우왕 2)에 고쳐 지었다.
(2) 조선시대
조선시대에는 부석사의 중수 기록이 자주 발견된다. 1490년(성종 21)에 조사당(祖師堂)을 중수하였고, 1493년(성종 24)에 조사당에 단청을 하였다. 1555년(명종 10) 화재로 인해 안양루가 소실되었고, 1580년(선조 13) 사명당이 부석사를 중건하였다. 1593년(선조 6)에는 조사당 지붕을 개수하였다. 1596년(선조 9)부터 1598년(선조 11)까지 석린이 안양루를 중건하였다. 1611년(광해군 3)에 폭풍우로 인해 무량수전의 중보가 부러져 이듬해 중수하면서 서까래를 교체하고 단청도 새롭게 하였다. 1746년(영조 22) 화재로 인해 추승당(秋僧堂), 만월당(滿月堂), 서별실(西別室), 만세루(萬歲樓), 범종각(梵鐘閣) 등이 소실된 것을 후대에 중건하였다.
(3) 근현대
일제강점기인 1919년에 무량수전과 조사당을 해체 수리하였는데 이때 허리 부분이 잘린 석룡(石龍)이 노출되었다. 무량수전 서쪽에 있던 취원루를 동쪽으로 옮기고 취현암이라 하였다.
1967년에 부석사의 동쪽 옛 절터에서 쌍탑을 옮겨 범종각 앞에 세웠고 1969년에는 무량수전 기와를 교체했다. 1977년부터 1980년에 걸쳐 전체적으로 정비하면서 일주문(一柱門), 천왕문(天王門), 승당(僧堂) 등을 신축하였다
문화재
무량수전(無量壽殿, 국보 제18호)은 부석사의 중심 건물로 극락정토를 상징하는 아미타여래불상을 모시고 있다. 신라 문무왕(文武王) 때 짓고 고려 현종(顯宗) 때 고쳐지었으며 1358년(고려 공민왕 7) 왜구의 침입으로 일부가 불에 타서 1376년(고려 우왕 2)에 중수하였다. 조선 광해군 때 새로 단청하고, 1916년에 해체 및 수리 공사를 하였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를 간결한 형태로 기둥 위에만 짜 올린 주심포 양식이다. 특히 세부 수법이 후세의 건물에서 볼 수 있는 장식적인 요소가 적어 주심포 양식의 기본 수법을 가장 잘 남기고 있는 대표적인 건물로 평가 받고 있다. 건물 안에는 다른 불전과 달리 불전의 옆면에 불상을 모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목조 건물 중 경상북도 안동시 봉정사(鳳停寺)의 극락전(국보 제15호)과 더불어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무량수전 앞 석등(無量壽殿 앞 石燈, 국보 제17호)은 무량수전 앞에 세워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으로,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아름다운 석등으로 꼽힌다. 비례의 조화가 아름답고 화려하면서도 단아한 멋을 지니고 있다. 특히 화사석(火舍石) 4면에 새겨진 보살상 조각의 정교함은 이 석등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조사당(祖師堂, 국보 제19호)은 무량수전 뒤쪽에 있는 건물로 부석사를 창건한 의상의 영정을 봉안하고 있다. 건물의 건립 연대는 확실하지 않고 1201년(고려 신종 1)에 단청했다는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건립된 건물임을 알 수 있다. 공민왕 때 소실된 것을 1377년(고려 우왕 3)에 재건하였고, 1493년(성종 24)에 중수한 것이다.
소조아미타여래좌상(塑造阿彌陀如來坐像, 국보 제45호)은 무량수전의 본존으로 높이는 278㎝, 광배 높이는 380㎝에 이른다. 편단우견의 대의에 촉지인을 하고 결가부좌로 앉아 있다. 1916년 무량수전의 해체 수리시에 발견된 묵서명(墨書名)에는 1358년(고려 공민왕 7) 왜구의 침공으로 불상의 두부(頭部)가 분리되어 1376년(고려 우왕 2) 원응 국사가 개금 개조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무량수전불상개금문에서는 1723년(경종 3) 통정 정상주를 비롯한 74명의 정성으로 불상을 개금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시대 불상으로는 정교하고 소조상(塑造像)으로는 가장 크고 오래된 것으로 평가되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 『가람고(伽藍考)』
- 한국불교연구원, 『부석사』, 일지사, 1974.
- 김형우 외, 『한국의 사찰』, 대한불교진흥원, 200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