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재(三才)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27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우주의 근원이자 변화의 동인으로 작용하는 천(天)·지(地)·인(人) 세 가지를 이르는 말.

개설

삼재(三才)는 천지만물을 창조하고 운행하는 주체인 하늘과 땅에, 역시 만물의 조화와 질서를 주관하는 주체적 존재로서 인간의 역할을 더함으로써 완성한 개념이다. 인간 중심의 사고를 바탕으로, 하늘과 땅이 중심인 우주 운행의 과정에 인간을 동등한 수준으로 포함시켰다는 점이 특징이다. 삼재론은 음양오행(陰陽五行)과 더불어, 고대 중국 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주역(周易)』의 기본 구조를 구축하는 원리로 작용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성리학의 영향으로 훈민정음을 창제하는 과정에서 모음을 만드는 기본 원리로 채택되었으며, 조선후기 실학자들에 의해 실용적인 이론으로 재정립되기도 하였다.

내용 및 특징

삼재론은 세계의 형성과 흐름을 주도하는 천·지·인을 각각 대등한 위치에 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삼재론은 인의(仁義)를 바탕으로 하는 윤리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하늘 및 땅과 함께 우주 운행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존재로 격상시킨 것이다. 동양 사상에서는 본래 인간과 천지자연의 관계를 대립과 극복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인간을 자연에 순응하는 존재로 인식하였다. 그러다 중국 춘추시대 공자에 이르면, 인간을 단순한 사회적 윤리의 중심이 아니라 천지와 더불어 우주를 창조하고 운행하는 주체로 격상시키게 된다. 삼재론은 이러한 인식의 변화 과정 속에서 형성되었다.

삼재론은 음양오행이나 태극설 등에 비해서는 사람들에게 널리 수용되지 못했지만 음양론(陰陽論)과 더불어 유교 경전인 『주역』의 이론적인 바탕이 되었다. 실제로 『주역』「설괘전(說卦傳)」에는, 상징적 부호인 ‘괘(卦)’가 삼재의 원리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주역』「계사전(繫辭傳)」에서는 대성괘(大成卦)인 64괘에서 가장 아래의 초효(初爻)와 다음의 2효는 지(地), 3효와 4효는 인(人), 5효와 제일 위의 상효(上爻)는 천(天)을 각각 상징하는 것이라 하여, 여섯 효가 천·지·인을 상징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주역』에서 천도(天道)에는 음양(陰陽), 지도(地道)에는 강유(剛柔), 인도(人道)에는 인의(仁義)의 작용이 있다고 한 것 역시, 세상의 이치와 질서를 삼재론을 통해 해명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은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공맹(孔孟)을 중심으로, 사회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도덕 중심의 학문으로 전개되어 오던 유학은 송나라와 명나라에 이르러 주희(朱熹) 등 유학자들이 노불(老佛), 즉 도교와 불교 사상을 일부 도입하면서 이론적으로 심화되었다. 또한 유학은 태극설과 이기설(理氣說) 등 형이상학적 깊이를 지닌 설명을 이루어 냈다. 격물치지(格物致知)를 바탕으로 하는 실천적 도덕으로서 인격과 학문의 성취를 중시하는 성리학은 이후 조선의 건국 이념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그 결과 훈민정음의 철학적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중국과 우리나라 모두 지(地)의 개념이 몰락하면서 삼재의 공통적인 개념은 약화되었으며, 그 대신 천인설이 발달하였다. 그러다가 조선시대 후기에 실사구시(實事求是), 경세치용(經世致用) 등의 실용적인 이념을 추구하는 실학이 등장하면서, 이원구(李元龜) 등은 도덕과 경제의 조화를 위해 다시 실용의 문제를 삼재론을 통해 해명하려 하였다.

한편 삼재론은 훈민정음 모음 창제의 배경 이론으로 쓰였다. 모음의 경우 1차 기본 모음인 ‘·, ㅡ, ㅣ’는 삼재의 형상을 본떠서 만들었다. ‘·’는 하늘의 원만하고 둥근 모양을 본뜬 것이고, ‘ㅡ’는 땅의 고르고 평평한 모양을, 그리고 ‘ㅣ’는 사람이 직립하여 서 있는 모양을 각각 상형한 것이다(『세종실록』 28년 9월 29일). 또한 하늘과 관련된 모음은 양성, 땅에 관련된 모음은 음성으로 설명하면서 음양 이론까지 적용하였으며, 이후 양성모음, 음성모음의 음절 내 모음조화 현상에 대한 설명도 이를 바탕으로 전개하였다

다음은 훈민정음에서 모음의 위(位)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300px

위의 표에서 수(數)는 하늘에서 정한 운명을 의미한다. 훈민정음 창제자들은 홀수에 양성모음을, 짝수에 음성모음을 연결시켰다. 그리고 유일하게 모음 ‘ㅣ’를 하늘과 땅 사이에 중립적으로 존재하면서 그 둘을 연결하는 중성모음으로 보았다. 이러한 설정은 모든 사물에 천지의 작용이 나타나며 이를 완성하는 존재가 사람이라는 의미에서 삼재와의 관련성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특기할 사항은 ‘ㅠ, ㅛ, ㅕ, ㅑ’의 경우는 모두 사람이 관여하여 완성된 것으로 보았다는 점이다. 이는 해당 모음들이 이중모음이라는 점과, 오늘날의 반모음인 [j]에서 시작되는 상향모음들이라는 점을 음성학적인 측면에서 파악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그러면서 하늘과 땅의 작용이 사물 즉 모음에 각각 나타나고 이 둘 모두에 사람을 상징하는 ‘ㅣ’가 두루 관여하는 것은 사람이 가장 신령스럽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여, 삼재를 통해 인간 존엄에 대한 인식을 보여 준다.

성리학의 철학적 배경이 중시되었던 조선시대에는 학문의 세부적 논의들을 언어 등 타 영역에 적용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었는데, 훈민정음 창제 과정에서도 모음을 만들고 특징을 설명하는 데 삼재와 관련된 논의들이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훈민정음(訓民正音)』
  • 박종국, 『訓民正音』, 정음사, 1976.
  • 김준락, 「性理學에 대한 이해」, 『한국언어문학』40, 1998.
  • 윤사순, 「朝鮮初 性理學의 時代的 意義」, 『東洋學』11, 198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