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기역(安奇驛)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55 판 (XML 가져오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경기도 포천에 위치했던 역.

개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안기역(安奇驛)은 포천(抱川) 북쪽 4리(약 1.6㎞) 지점에 위치하였다. 안기역은 고려시대 춘주도(春州道)에 편제되었던 안수역(安遂驛)의 후신으로 여겨지며, 조선시대에는 평구도(平丘道) 소속 역(驛)이었다.

내용 및 변천

안기역은 고려시대 춘주도에 소속되었던 안수역의 후신으로 여겨진다. 고려시대 안수역은 포주(抱州: 현 포천)에 위치하였다. 조선시대 들어서 안기역은 『세종실록』「지리지」에 경기강원도정역찰방(京畿江原道程驛察訪) 소속의 역으로 편성되었다. 하지만 이후 1465년(세조 11)에 경기강원도정역찰방 관할하의 역들 중에 녹양역(綠楊驛)과 안기역, 양문역(梁文驛) 등 경기도에 위치한 3역은 평구도로 이속되었고, 강원도에 위치했던 나머지 역들은 은계도(銀溪道)로 별도 설정되었다(『성종실록』 2년 4월 11일).

『경국대전(經國大典)』에도 안기역은 평구도 소속 역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후기까지도 변화가 없었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의하면, 안기역에는 역마(驛馬) 9마리, 역노(驛奴) 15명, 역비(驛婢) 5명이 배속되어 있었다고 한다.

안기역은 한양에서 강원도 회양과 철령을 거쳐 함경도 방면으로 향하는 간선 교통로상에 위치하였다. 남쪽으로는 양주의 녹양역, 북쪽으로는 영평의 양문역과 연결되었으며, 동남쪽으로는 가평의 연동역(連洞驛)과도 이어졌다.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전국의 역들이 폐지되면서 안기역도 폐지되었다.

안기역의 위치는 현재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에 해당된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정요근, 「高麗·朝鮮初의 驛路網과 驛制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