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곡역(安谷驛)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51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경상도의 도로망인 유곡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경상북도 구미시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고려시대 성종에서 문종 연간에 역로(驛路)를 22역도(驛道)-525속역(屬驛) 체제로 정비하는 과정에서 안곡역(安谷驛)은 경산부도(京山府道) 선주(善州)에 위치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의 44역도-537속역 체제와 세조대의 41역도-543속역 체제에서 모두 경상도의 역도인 유곡도(幽谷道)를 구성하는 역의 하나가 되었다. 이후 조선후기까지 존속했으나, 1896년(고종 33) 1월에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안곡역은 고려시대부터 경상도 선산 지역에 설치되어 있었으며, 경산부도에 속한 25개소의 역 가운데 하나였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고려의 역제(驛制)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067년(고려 문종 21) 사이에 경산부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에 전국적인 역도-역로 조직을 갖추는 과정에서 유곡역(幽谷驛)·요성역(聊城驛) 등과 함께 유곡도에 소속되었다.

조직 및 역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선산 편에 따르면, 안곡역에는 중마(中馬) 2필, 복마(卜馬) 4필 등 총 6필의 역마와, 역리(驛吏) 62명, 역노(驛奴) 20명, 역비(驛婢) 5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또 14결(結) 84부(負) 2속(束)의 복호결(復戶結)이 지급되어 입마(立馬) 재원에 충당되었다.

변천

1460년(세조 6)에 전국의 역로를 개편하고, 뒤이어 1462년(세조 8)에 병조의 건의에 따라 각 도의 역참을 파하고 역로를 정비하여 찰방과 역승을 두는 과정에서 유곡도찰방의 관할 역이 되었다(『세조실록』 8년 8월 5일). 그 뒤 안곡역은 조선후기까지 유곡도의 속역으로 존속했다. 1896년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철폐되었다.

안곡역의 위치는 『여지도서』에 따르면 선산도호부 서쪽 35리 지점이었다. 남쪽의 개령 양천역(陽川驛)에서 30리, 북쪽의 상주 청니역(淸泥驛)에서 20리 거리였는데,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상주에서 안곡역까지의 거리가 40리라고 하였다. 한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안곡역 옆에는 관리나 상인 등 공무 여행자에게 숙식 편의를 제공하던 안곡원(安谷院)이 있었다고 한다. 오늘날의 위치는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안곡리인데, 무을면에는 말발굽을 갈아 주던 곳이라는 뜻의 ‘말발티’, 고을 원님이 쉬어 가는 곳이라는 의미의 ‘원리’ 등 안곡역과 관련된 지명들이 전하고 있다. 조선중기의 문신인 주세붕(周世鵬)은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안곡역」이라는 시를 남기기도 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여지도서(輿地圖書)』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무릉잡고(武陵雜稿)』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매일신문』, 2011. 1. 12, 「[옛길기행] <3>구미 무을면 안곡리 길」.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