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당(鄕黨)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41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역 사회를 지칭하는 전통적 한문 용어.

개설

향당(鄕黨)은 보통 지역 사회를 지칭할 때 쓰는 일반적인 용어로, 『전한서(前漢書)』「식화지(食貨志)」에 "5가(家)가 린(鄰)이 되고, 5린이 리(里)가 되며, 4리가 족(族)이 되고, 5족이 당(黨)이 되며, 5당이 주(州)가 되고, 5주가 향(鄕)이 되는데, 1향은 1만 2천 500호이다.[五家爲鄰 五鄰爲里 四里爲族 五族爲黨 五黨爲州 五州爲鄕 是萬二千五百戸也]"라고 한 데에서 유래한다. 조선시대의 지방 제도는 각 도(道) 밑에 주(州)·부(府)·군(郡)·현(縣)이 있어 이곳에는 중앙관이 파견되었고, 수령이 파견되는 주부군현 밑에는 면리(面里)가 설치되었다. 따라서 보통 향당이라는 표현은 군현 단위의 지역 사회를 지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내용 및 특징

향당에 대한 『조선왕조실록』 기사를 보면, 조선초기 검교판중추원사(檢校判中樞院事)변옥란(卞玉蘭)의 졸기(卒記)에 그가 효도를 하고 우애를 하였다고 향당에서 칭송했다는 표현이 있다(『태조실록』 4년 1월 23일). 또한 각 도에서 보고한 효자·절부(節婦) 등을 정려(旌閭)하고 복호(復戶)하는 보고서에서 전라도 광주 사람 탁신(卓愼)이 효도하여 향당에서 그를 칭송한다고 한 기록이 있다(『태조실록』 4년 9월 16일).

한편, 향당은 중앙 정부를 일컫는 조정(朝廷)과 대응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총제(摠制)유사눌(柳思訥)은 「용흥가(龍興歌)」를 지어 바치면서 "이를 관현에 올려서 악부에 간수하여 조정에서 연주하고 향당에서 사용하여, 온 나라 신민들로 하여금 영구한 세대에 잊지 않도록 하시면 매우 다행이겠습니다."라고 하였다(『세종실록』 13년 10월 1일).

향당은 중앙과 지방의 대칭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조선후기에 영조는 중앙과 지방의 운영 원리가 다르다는 원칙을 제시하였다. 영조는 영남 유림들의 상소에 대한 비답(批答)에서 ‘조정은 조정이고 향당은 향당[朝廷自朝廷 鄕黨自鄕黨]’이라는 하교로 각 지역의 자율적 결정권을 강조하였다(『영조실록』 49년 1월 27일). 여기에서 조정은 중앙 정부를 지칭하는 것이고 향당은 중앙관이 파견된 군현 단위의 지방을 말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현영, 『조선시대의 양반과 향촌 사회』, 집문당, 1999.
  • 이수건, 『한국 중세 사회사 연구』, 일조각, 1984.
  • 이수건, 『조선시대 지방행정사』, 민음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