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패(梵唄)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27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불교 의식에 사용하는 음악.

개설

범패(梵唄)는 범음(梵音)·어산(魚山) 또는 인도(印度) 소리·인도(引導) 소리라고도 한다. 절에서 재(齋)와 같은 불교 의식에 부르는 음악을 통칭한다. 범패는 불교가 한반도에 유입되었을 때부터 불렸을 것이며, 현재도 연주되고 있다.

내용 및 특징

범패는 불교가 성행했던 삼국시대부터 있었다. 『삼국유사』 「도솔가(兜率歌)」 조에 월명으로 하여금 범패를 부르라 하니 향가만을 알 뿐 범패를 모른다고 한 것으로 보아, 불가에서 특별한 의식을 수행할 때 범패를 불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하동 쌍계사(雙磎寺)의 「진감선사대공탑비문(眞鑑禪師大空塔碑文)」에 의하면 진감선사가 804년(신라 애장왕 5)에 재공사(才貢使)로 당나라에 갔다가 830년(신라 흥덕왕 5)에 귀국한 뒤, 옥천사(玉泉寺), 즉 쌍계사에서 수많은 제자들에게 범패를 가르쳤다고 한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의 일본 승려인 원인자각(圓仁慈覺) 대사(大師)가 쓴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 중국 산동반도 등주(登州)의 적산원(赤山院)이라는 신라인의 절에서 불린 범패가 당풍(唐風)과 향풍(鄕風), 그리고 고풍(古風)이 있다는 기록도 있다. 이러한 기록을 보면, 당시 절에서 다양한 형태의 범패가 연행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고려시대 역시 불교를 숭상하였기에 범패 역시 성행했을 것으로 보이나, 기록은 전무하다. 억불숭유 정책을 폈던 조선시대에도 범패 계보가 기록된 문헌이나 범음집 등이 있는 것으로 보아 여전히 범패가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범패는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음악이다. 불교 의식의 종류는 일상적으로 절에서 올리는 사시불공부터 큰 의식인 재(齋)까지 다양하다. 사시불공에서는 전문적인 범패승이 없이 일반 승려들이 목탁을 두드리며 불경을 봉송하는데, 봉송하는 소리에 율격이 있다.

불교의 큰 의식인 재는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수륙재(水陸齋)·영산재(靈山齋)로 나뉜다. 현재는 예수재와 수륙재와 영산재 등이 있다. 상주권공재는 죽은 자가 극락왕생할 수 있도록 축원하는 의식이며, 49재가 여기에 속한다. 시왕각배재는 저승에 있는 십왕에게, 자비를 빌어 산자의 재수를 축원하는 의식이다. 무(巫) 의식의 재수굿과 비슷하다. 생전예수재는 죽어서 극락왕생하게 해달라고 살아생전에 지내는 재이다. 수륙재는 수중고혼을 위한 재이며, 넋풀이나 넋건지기, 또는 혼맞이굿의 불교식 표현이다. 그리고 영산재는 불교 의식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국가의 안녕이나 죽은 자를 위해 행한다. 범패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범패승들은 처음에 상주권공에 사용하는 소리를 배우고, 시왕각배재를 배운 다음 마지막으로 이 영산재를 배우게 된다. 예로부터 ‘1일 권공 3일 영산’이라 하여, 영산재는 3일이나 걸리는 대규모의 재이다. 때문에 그 절차도 상당히 복잡하였으나, 지금은 하루로 축소되었다.

범패는 음악적으로 보면,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일반적인 승려들이 부르는 안채비소리, 전문적인 범패승인 겉채비들이 부르는 홑소리와 짓소리, 그리고 축원의 의미를 담고 있는 화청이 그것이다.

안채비소리는 흔히 염불이라고 하며, 축원문이나 불경을 요령(搖鈴)을 흔들거나 목탁을 두들기며 낭송하는 것이다.

홑소리는 전문적인 범패승들이 부르는 것 중 하나로, 그 사설은 대개 7언 4구 또는 5언 4구의 한문으로 된 정형시로 되어 있다. 메나리토리 음계나 선법과 유사하다. 그리고 짓소리는 홑소리를 모두 배운 범패승이 배우는 소리로, 대개 한문의 산문(散文)이나 범어(梵語)의 사설로 되어 있다. 또한 반드시 합창으로 부르지만 독창으로 부르는 허덜품이라는 것이 있어 일종의 전주(前奏) 또는 간주(間奏) 구실을 한다. 짓소리는 홑소리에 비하여 한 곡의 연주 시간이 상당히 길어서 30∼40분 이상이 소요되기도 한다. 또한 홑소리에 비해 소리가 억세고 꿋꿋한 발성법을 갖고, 소리를 길게 끄는 점이 특징이다.

화청은 일반 대중이 잘 알아들을 수 있는 우리말 사설에 민속적 선율을 붙여 부른다. 승려들이 부르는 화청과 경서도 민요 가수들이 부르는 화청으로 나뉜다.

의의

불교 의식에 사용하는 음악인 범패는 그 유래가 신라 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현재까지 연주되고 있으며, 전문 범패승이 부르는 홑소리나 짓소리 등은 중국이나 일본에는 없는 독특한 불교문화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홑소리와 짓소리의 연행 형태가 티베트 불교의 것과 닮아있어 이들과의 관계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 장사훈, 『최신 국악총론』, 세광음악출판사, 1985.
  • 이혜구, 「한국 범패의 연혁」, 『한국음악서설』, 서울대학교출판부, 197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