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학(南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집단기구|대표표제=남학|한글표제=남학|한자표제=南學|대역어=|상위어=사학(四學)|하위어=|동의어=|관련어=겸교수(兼敎授), 동학(東學), 서학(西學), 중학(中學)|분야=교육·출판/교육기관/사부학당|유형=집단·기구|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조준호|설치시기=1411년(태종 11)|폐지시기=|소속관서=사학(四學)|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034|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ca_11106029_002 『태종실록』 11년 6월 29일], [http://sillok.history.go.kr/id/kca_11111016_001 『태종실록』 11년 11월 16일], [http://sillok.history.go.kr/id/kga_11201015_001 『세조실록』 12년 1월 15일], [http://sillok.history.go.kr/id/kca_11111016_001 『태종실록』 11년 11월 16일],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303026_003 『세종실록』 3년 3월 26일], [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05006_001 『예종실록』 1년 5월 6일], [http://sillok.history.go.kr/id/kca_11205006_001 『태종실록』 12년 5월 6일], [http://sillok.history.go.kr/id/kca_11706020_001 『태종실록』 17년 6월 20일]}}
+
{{개념용어|대표표제=남학|한글표제=남학|한자표제=南學|대역어=|상위어=|하위어=대종교(大倧敎), 오방불교(五方佛敎), 금강불교(金剛佛敎)|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정치운영/정변|유형=개념용어|지역=|시대=|왕대=|집필자=조성환|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592|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za_13203022_003 『고종실록』 32년 3월 22일], [http://sillok.history.go.kr/id/kza_13203010_001 『고종실록』 32년 3월 10일]}}
  
조선시대 서울에 설치되어 유생들의 교육을 담당한 사학(四學)의 하나.
+
19세기 말에 이운규가 『정역』을 바탕으로 창도한 개벽 사상.
  
 
=='''개설'''==
 
=='''개설'''==
  
남학은 1411년(태종 11)에 개설된 사부학당의 하나로, 중등 교육을 위해 설치되었다. 남학에는 [[교수(敎授)]]와 [[훈도(訓導)]]가 배치되어 교육을 담당하였다. 유생들 중 성적 우수자는 선발되어 성균관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조선전기부터 이 기관의 교육적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들이 시행되었다고는 하나, 그 실효성은 의문시 되고 있다.
+
조선 왕조가 내우외환으로 인해 통치 기능을 상실하여 사회적 혼란이 가중되어 가던 19세기 말, 두 가지 대표적인 민중 사상이 등장하였는데 하나는 동학이고 다른 하나가 남학이다. 남학은 동학이 발생한 1860년을 전후하여 충청남도와 전라북도 일대에서 연담이운규에 의해 창도되었다. 양자는 모두 민중이 주체가 되어 새로운 세계를 지향한 아래로부터의 사상이었다. 동학이 한국의 전통적인 ‘하늘’을 중심으로 만물 평등과 인간 존엄에 중점을 둔 반면에, 남학은 일종의 역학 사상인 ‘정역(正易)’을 바탕으로 장차 다가올 후천 세계의 변화를 맞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설립 경위 목적'''==
+
=='''내용 특징'''==
  
조선 건국 초 한성부를 오부(五部)로 편제하면서 이에 맞추어 각 부(部)에 학당을 설치하려고 하였다. 처음으로 1411년(태종 11) 한성부 남부의 성명방(誠明坊)에 남학을 설치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ca_11106029_002 『태종실록』 11년 6월 29일]). 이후 순차적으로 1422년(세종 4)에 [[중학(中學)]]을, 1424년(세종 6)에 서학(西學)을 설치하고, 1428년(세종 10) 이전까지 [[동학(東學)]]도 설치하였으나 북학(北學)은 끝내 설치하지 못해 결국 사부학당으로 남았다. 남학을 포함한 사부학당은 유생들의 중등 교육을 위한 기관이었다.
+
19세기 말 조선 민중들의 상황은 토지 겸병으로 인해 생업을 잃고 떠돌면서 살아가는, ‘민중들이 한 때도 편안함이 없는[民無四時之安]’ 시대였다. 이러한 시대적 불안에 대한 민중들의 사상적 표출이 바로 동학과 남학이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3203022_003 『고종실록』 32년 3월 22일]). 당시에 남학은 『고종실록』에 동학과 병칭되어 일컬어질 정도로 영향력이 있는 세력이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3203010_001 『고종실록』 32년 3월 10일]).
  
=='''조직 및 역할'''==
+
남학의 핵심적인 내용으로는 정역과 후천 개벽, 그리고 오음주송(五音呪誦)과 영가무도(靈歌舞蹈)를 들 수 있다. 남학의 교리에 의하면, ‘음·아·어·이·오’의 5음을 주송하면 오장이 수련되고, 이것으로 노래하면 손발이 저절로 움직여 춤이 되고, 이것이 극치에 달하면 질병이 치유된다고 한다. 이처럼 남학 교도들은 오음주(五音呪)를 외우면서 춤을 추기 때문에 남학을 다른 말로 영가무도교(靈歌舞蹈敎)라고도 불렀다.
  
남학을 비롯해 사부학당에는 각 학당마다 종6품의 교수 2명, 정9품의 훈도 2명씩을 두었다. 이 관직은 성균관 관원이 겸하도록 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ca_11111016_001 『태종실록』 11년 11월 16일]). 그러나 1466년(세조 12) 1월 관제 개편 과정에서 겸직제를 폐지하고 전임 관원을 두게 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ga_11201015_001 『세조실록』 12년 1월 15일]).
+
=='''변천'''==
 
 
학당에서는 10살 이상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15세 이상인 유생들 중 학업이 어느 정도 성취된 사람은 시험을 거쳐 성균관에 진학하게 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ca_11111016_001 『태종실록』 11년 11월 16일]). 그러나 남학을 포함한 학당의 교육적 성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인데, 이미 1421년(세종 3)부터 학당의 아이들이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다([http://sillok.history.go.kr/id/kda_10303026_003 『세종실록』 3년 3월 26일]).
 
 
 
이에 성과를 높이기 위해 1469년(예종 1) 5월에는 사부학당 유생 중 80인을 선발해서 이들을 남학에 모아 경서를 암송하는 [[고강(考講)]], 글을 짓고 쓰는 [[제술(製述)]]을 시험 보게 하는([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05006_001 『예종실록』 1년 5월 6일]) 등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였으나 여전히 교육적 성과는 미미했다.
 
  
한편 유생들에게 매 끼니 음식을 조달하기 위해 1412년(태종 12) 5월에는 학당에 토지 100결을 하사하였고([http://sillok.history.go.kr/id/kca_11205006_001 『태종실록』 12년 5월 6일]), 1417년(태종 17)부터는 정부의 모든 경비를 관할하는 풍저창(豊儲倉)에서 매월 일정량을 지급하게 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ca_11706020_001 『태종실록』 17년 6월 20일]).
+
남학은 이운규에 의해 창도된 이후 10여 개의 분파로 나뉘는데, 이때에 비로소 교단도 만들어진다. 10여 개의 분파는 다시 충청남도 논산을 중심으로 한 김일부 계와 전라북도 완주를 중심으로 한 김치인 계의 두 계통으로 크게 나뉜다.
  
=='''변천'''==
+
김일부는 김항 또는 김재일이라고도 하는데, 이연담의 아들 이일수로부터 가르침을 전수 받은 인물로, 자신의 교단을 ‘무극대도’ 또는 ‘대종교’라고 칭했다. 반면에 김치인은 호가 ‘광화’로, 그의 교단은 ‘오방불교(五方佛敎)’ 또는 ‘금강불교(金剛佛敎)’라고 불렸다. 이들은 모두 『정역』을 바탕으로 했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그 해석에 있어서는 각각 유교적 접근과 불교적 접근이라는 차이점을 갖고 있다. 대종교에서는 김일부를 후천 정역의 운세를 밝혔다고 하여 후천 개벽의 지도자로 본 반면에, 오방불교에서는 김치인을 미륵불의 강림으로 보았다.
  
남학 등 사부학당의 관원은 조선후기 정원이 조정되어 영조대 간행된 『속대전』에는 종6품의 교수와 정9품의 훈도가 모두 1명씩 축소되어 올라갔다. 그리고 보다 이전인 1654년(효종 5)에는 김익희(金益熙)의 건의로, 국왕을 측근에서 모신 시종신(侍從臣)을 대상으로 겸교수(兼敎授)로 차출하도록 하였다. 이 겸교수 직제는 이후 숙종 초에 잠시 폐지되었다가 곧 다시 복구되어 『속대전』에 올랐다.
+
1894년 동학농민혁명이 한창일 때에 남학 역시 그에 자극을 받아 전라북도 진안을 중심으로 봉기하였다. 이 지역에 사는 노인들의 증언에 의하면, 당시에 진안군 주천면 대불리에서 만 명이 넘는 신도들이 모여 거사의 노래를 부르면서 총궐기를 도모했는데, 내부 밀고자에 의해 거사 계획이 관군에 발각되어 출정 직전에 모두 해산했다고 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경국대전(經國大典)』     
+
*이강오, 「남학계 총론」, 『한국신흥종교총람』, 1992.       
*『속대전(續大典)』     
+
*이강오, 「남학에 관한 소고」, 『한국문화인류학』10-1, 197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역주 경국대전-주석편』, 1986.     
 
*이광린, 「선초의 사부학당」, 『역사학보』16, 역사학회, 1961.       
 
*피정만, 「조선시대 성균관·사학의 유생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학』3, 한국교육사연구회, 1981.       
 
  
 
=='''관계망'''==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4034"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4592"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교육·출판]][[분류:교육기관]][[분류:사부학당]][[분류:집단·기구]][[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
[[분류:정치]][[분류:정치운영]][[분류:정변]][[분류:개념용어]]

2017년 12월 10일 (일) 02:20 판



19세기 말에 이운규가 『정역』을 바탕으로 창도한 개벽 사상.

개설

조선 왕조가 내우외환으로 인해 통치 기능을 상실하여 사회적 혼란이 가중되어 가던 19세기 말, 두 가지 대표적인 민중 사상이 등장하였는데 하나는 동학이고 다른 하나가 남학이다. 남학은 동학이 발생한 1860년을 전후하여 충청남도와 전라북도 일대에서 연담이운규에 의해 창도되었다. 양자는 모두 민중이 주체가 되어 새로운 세계를 지향한 아래로부터의 사상이었다. 동학이 한국의 전통적인 ‘하늘’을 중심으로 만물 평등과 인간 존엄에 중점을 둔 반면에, 남학은 일종의 역학 사상인 ‘정역(正易)’을 바탕으로 장차 다가올 후천 세계의 변화를 맞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내용 및 특징

19세기 말 조선 민중들의 상황은 토지 겸병으로 인해 생업을 잃고 떠돌면서 살아가는, ‘민중들이 한 때도 편안함이 없는[民無四時之安]’ 시대였다. 이러한 시대적 불안에 대한 민중들의 사상적 표출이 바로 동학과 남학이었다(『고종실록』 32년 3월 22일). 당시에 남학은 『고종실록』에 동학과 병칭되어 일컬어질 정도로 영향력이 있는 세력이었다(『고종실록』 32년 3월 10일).

남학의 핵심적인 내용으로는 정역과 후천 개벽, 그리고 오음주송(五音呪誦)과 영가무도(靈歌舞蹈)를 들 수 있다. 남학의 교리에 의하면, ‘음·아·어·이·오’의 5음을 주송하면 오장이 수련되고, 이것으로 노래하면 손발이 저절로 움직여 춤이 되고, 이것이 극치에 달하면 질병이 치유된다고 한다. 이처럼 남학 교도들은 오음주(五音呪)를 외우면서 춤을 추기 때문에 남학을 다른 말로 영가무도교(靈歌舞蹈敎)라고도 불렀다.

변천

남학은 이운규에 의해 창도된 이후 10여 개의 분파로 나뉘는데, 이때에 비로소 교단도 만들어진다. 10여 개의 분파는 다시 충청남도 논산을 중심으로 한 김일부 계와 전라북도 완주를 중심으로 한 김치인 계의 두 계통으로 크게 나뉜다.

김일부는 김항 또는 김재일이라고도 하는데, 이연담의 아들 이일수로부터 가르침을 전수 받은 인물로, 자신의 교단을 ‘무극대도’ 또는 ‘대종교’라고 칭했다. 반면에 김치인은 호가 ‘광화’로, 그의 교단은 ‘오방불교(五方佛敎)’ 또는 ‘금강불교(金剛佛敎)’라고 불렸다. 이들은 모두 『정역』을 바탕으로 했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그 해석에 있어서는 각각 유교적 접근과 불교적 접근이라는 차이점을 갖고 있다. 대종교에서는 김일부를 후천 정역의 운세를 밝혔다고 하여 후천 개벽의 지도자로 본 반면에, 오방불교에서는 김치인을 미륵불의 강림으로 보았다.

1894년 동학농민혁명이 한창일 때에 남학 역시 그에 자극을 받아 전라북도 진안을 중심으로 봉기하였다. 이 지역에 사는 노인들의 증언에 의하면, 당시에 진안군 주천면 대불리에서 만 명이 넘는 신도들이 모여 거사의 노래를 부르면서 총궐기를 도모했는데, 내부 밀고자에 의해 거사 계획이 관군에 발각되어 출정 직전에 모두 해산했다고 한다.

참고문헌

  • 이강오, 「남학계 총론」, 『한국신흥종교총람』, 1992.
  • 이강오, 「남학에 관한 소고」, 『한국문화인류학』10-1, 197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