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례복(小禮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의복|대표표제=소례복|한글표제=소례복|한자표제=小禮服|대역어=|상위어=예복(禮服)|하위어=|동의어=|관련어=고종(高宗), 복장식(服裝式), 흑단령착수포(黑團領窄袖袍),|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대한제국|왕대=고종|집필자=윤양노|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3715|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za_13208010_001 『고종실록』 32년 8월 10일]}}
 
{{의복|대표표제=소례복|한글표제=소례복|한자표제=小禮服|대역어=|상위어=예복(禮服)|하위어=|동의어=|관련어=고종(高宗), 복장식(服裝式), 흑단령착수포(黑團領窄袖袍),|분야=생활·풍속/의생활/의복|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대한제국|왕대=고종|집필자=윤양노|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3715|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za_13208010_001 『고종실록』 32년 8월 10일]}}

2017년 12월 9일 (토) 20:45 기준 최신판



고종 때 벼슬아치들이 간단한 예식에 입던 옷.

내용

1895년(고종 32) 8월에 조신(朝臣) 이하의 조복(朝服)·제복(祭服)·대례복(大禮服)·소례복(小禮服) 등 복장식(服裝式)에 관한 칙령을 내렸다. 소례복은 진현(進見)과 간단한 공식적인 연회에 참석할 때 입으며, 옷의 구성은 흑단령착수포(黑團領窄袖袍)·사모(紗帽)·속대(束帶)·화자(靴子)이다. 그 후 1899년(광무 3) 6월에는 소례복에 흉배를 달아 대례복으로 삼고 조회(朝會)·참반(參班)·배종(陪從)에 입도록 하고, 9월에는 행행(幸行)에 배종하는 백관은 소례복에 칼만 차도록 하는 조령을 내려 모두 이에 따랐다.

용례

一 小禮服은 黑盤領窄袖袍紗帽束帶靴子大禮服時에도 或用之며 無時進見時에 用之고(『고종실록』 32년 8월 10일).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사화기략(使和記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