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관(儒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의복|대표표제=유관|한글표제=유관|한자표제=儒冠|대역어=|상위어=유생복(儒生服)|하위어=|동의어=유건(儒巾)|관련어=관모(冠帽)|분야=생활·풍속/의생활/관모|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김소현|용도=유생복|시기=조선|관련의례행사=평상 예관(禮冠), 다례(茶禮)|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528|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na_11804017_003 『선조실록』 18년 4월 17일]}}
 
{{의복|대표표제=유관|한글표제=유관|한자표제=儒冠|대역어=|상위어=유생복(儒生服)|하위어=|동의어=유건(儒巾)|관련어=관모(冠帽)|분야=생활·풍속/의생활/관모|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김소현|용도=유생복|시기=조선|관련의례행사=평상 예관(禮冠), 다례(茶禮)|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528|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na_11804017_003 『선조실록』 18년 4월 17일]}}

2017년 12월 9일 (토) 20:55 기준 최신판



조선시대 유생들이 쓰는 관.

개설

검은 베로 만든 일종의 두건으로 유관 또는 유건이라고 한다. 유생이 평상시 입는 포에 갖추어 쓰개로 썼다. 보통 성균관이나 집 안에서만 썼고 거리에서는 잘 쓰지 않았다. 벼슬하지 않은 선비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였다.

연원 및 변천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제학생도(諸學生徒)는 검은 베로 만든 건[緇布巾]을 쓰고, 단령을 입고, 실띠[條兒]를 띠며, 선비들은 청금(靑衿)을 입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에서의 치포건은 유건을 가리킨다.

중국의 유건은 민자(民子)와 비슷한 모양이어서 민자건(民子巾)이라고도 한다. 대[竹]로 엮어 검은 베로 싸거나 종이를 바르고 칠을 하여 평시뿐 아니라 비가 올 때에도 썼다.

1585년(선조 18) 조선의 조정에서는 조선의 유관을 중국과 같게 할 수 있겠는가 하고 왕이 묻자 유관을 만드는 재료가 다르기 때문에 같게 만드는 것은 어려울 듯하다는 대화가 오갔다(『선조실록』 18년 4월 17일). 조선의 유관도 민자와 모양이 비슷하지만 검은 베, 모시 등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중국의 유관과는 차이가 있다.

형태

유관의 형태가 민자와 비슷해서 민자건이라고도 한다. 네모지게 박은 천의 위를 조금 꺾고 뒷면을 반듯하게 세워 굽지 않게 한 후, 뒷면의 남은 부분을 접어서 앞면과 뒷면의 길이를 같게 만들어 주면 남은 폭이 좌우 양쪽으로 벌어져 귀가 나온다. 이 양쪽 귀를 반쯤 접어서 판판하게 하면 민자 모양이 된다. 갓끈처럼 끈을 달아 턱에 매도록 되어 있다. 유관은 하나를 마련하면 몇 해를 두고 아껴 쓰는 갓과 달리 각 가정에서 쉽게 박아 접어 만들 수 있어서 값도 싸고 만들기도 쉬웠다.

용도

유생들은 평상시 예관(禮冠)으로 도포, 창의, 중치막, 두루마기 등의 포를 입고 유건을 썼다. 향교에서 1년에 몇 차례씩 성현에게 다례(茶禮)를 지낼 때, 제사 지낼 때도 유생은 유건을 썼다. 상중(喪中)에는 베유건을 썼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유영순, 「조선조의 유생복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