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主事)"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주사(통리기무아문)]]
 
+
*[[주사(토관직)]]
{{직역|대표표제=주사|한글표제=주사|한자표제=主事|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육방주사(六房主事), 형방주사(刑房主事)|분야=정치/행정/관직·관품|유형=직역|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조선|집필자=이근호|제정시기=|폐지시기=1395년(태조 4)|소속관서=토관직(土官職)|관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8294|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da_12905012_003 『세종실록』 29년 5월 12일], [http://sillok.history.go.kr/id/kda_13001018_002 『세종실록』 30년 1월 18일], [http://sillok.history.go.kr/id/kga_10207014_004 『세조실록』 2년 7월 14일]}}
+
*[[주사(육조)]]
 
 
조선전기 평안도와 함경도의 토관직으로 설치한 관직
 
 
 
=='''개설'''==
 
 
 
함경도나 평안도 등지에 설치된 토관직의 하나로 설치된 관직으로 인원은 정해져 있다. 또한 해당 인원 중 소수이지만 7품관으로 거관(去官)하기도 하였다. 지역 현안에 대한 검찰을 담당하였다.
 
 
 
=='''담당 직무'''==
 
 
 
평안도와 함경도의 토관직으로 설치된 주사에는 각각의 임무가 앞에 붙어 형방주사(刑房主事) 혹은 육방(六房) 주사(主事) 등으로 불렸다([http://sillok.history.go.kr/id/kda_12905012_003 『세종실록』 29년 5월 12일]). 평양부의 경우 1448년에 인원을 조정하여 종전 89명에 1명을 추가하여 모두 90명으로 하고 매 30명당 1명은 7품으로 거관하게 하였다. 함흥부의 경우 종전 56명에서 4명을 추가하여 모두 60명으로 하고 매 30명당 1명씩 7품으로 거관하도록 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da_13001018_002 『세종실록』 30년 1월 18일]). 이어 1449년에 함경도의 경성부(鏡城府)에, 1451년(문종 1)에 평안도의 의주목(義州牧)에, 1458년(세조 4)에 평안도의 영변부(寧邊府)에, 1465년(세조 11)에 개성부 등지에 토관직으로 역시 주사를 설치하였다. 토관의 주사직은 해당 지역 현안을 검찰하는 역할을 맡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ga_10207014_004 『세조실록』 2년 7월 14일]).
 
 
 
=='''변천'''==
 
 
 
함경도와 평안도 등지에 토관직으로 설치되었던 주사는 15세기 말 토관직이 소멸되면서 함께 없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8294"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정치]][[분류:행정]][[분류:관직·관품]][[분류:직역]][[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분류:조선]]
 

2018년 1월 24일 (수) 22:29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