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화문(延和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문서 내용을 "*연화문(경희궁) *연화문(창덕궁 창경궁)"으로 바꿈)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연화문(경희궁)]]
 
+
*[[연화문(창덕궁 창경궁)]]
{{건축|대표표제=연화문|한글표제=연화문|한자표제=延和門|대역어=|상위어=문(), 창경궁(昌慶宮), 창덕궁(昌德宮)|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왕실/왕실건축/궁궐건축물|유형=건축|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조옥연|일시=|장소=창덕궁, 창경궁|규모=정면 1칸|양식=담장솟을문|관련인물=|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8273|실록연계=}}
 
 
 
창덕궁 서북쪽 영역에 있는 문 또는 창경궁 후궁 영역에 있는 문,
 
 
 
=='''개설'''==
 
 
 
창덕궁과 창경궁의 연화문(延和門)에 대한 정보는 「동궐도(東闕圖)」와 「동궐도형(東闕圖形)」에서 그 자취를 찾을 수 있을 뿐이다. 궁궐의 정보를 가장 잘 알 수 있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성록(日省錄)』, 『궁궐지(宮闕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의 문헌에서는 이 문의 흔적을 찾기 어렵다. 경희궁에도 집경당(集慶堂) 권역에 같은 이름의 문이 있었다.
 
 
 
=='''위치 및 용도'''==
 
 
 
창덕궁의 연화문은 영모당(永慕堂), 수궁(守宮), 수라간 등이 모여 있는 행각의 서쪽에 직교하는 담장에 있는 문이다. 창경궁의 연화문은 집복헌(集福軒), 양화당(養和堂) 등의 후방을 두르는 담장에 설치된 문이다.
 
 
 
=='''변천 및 현황'''==
 
 
 
창덕궁과 창경궁의 연화문은 1900년대 초까지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에 사라지고 복원되지 않아 지금은 없다.
 
 
 
=='''형태'''==
 
 
 
창덕궁과 창경궁의 연화문은 담장에 속한 솟을문으로 사주문(四柱門)의 형태를 하고 있고, 기와로 맞배지붕을 이었으며, 주칠을 한 2짝 판장문을 달았다.
 
 
 
=='''참고문헌'''==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성록(日省錄)』     
 
*『궁궐지(宮闕志)』     
 
*『만수전수리도감의궤(萬壽殿修理都監儀軌)』     
 
*『어제속집경당문집(御製續集慶堂文集)』「동궐도(東闕圖)」「동궐도형(東闕圖形)」     
 
*안장리, 「영조궁궐인식의 특징」, 『정신문화연구』 제29권 3호, 2006.     
 
 
 
[[분류:왕실]][[분류:왕실건축]][[분류:궁궐건축물]][[분류:건축]][[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2018년 1월 24일 (수) 22:24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