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극문(貳極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문서 내용을 "*이극문(경복궁) *이극문(창경궁)"으로 바꿈)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이극문(경복궁)]]
 
+
*[[이극문(창경궁)]]
{{건축|대표표제=이극문|한글표제=이극문|한자표제=貳極門|대역어=|상위어=경복궁(景福宮)|하위어=|동의어=|관련어=자선당(資善堂)|분야=왕실/왕실건축/궁궐건축물|유형=건축|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조재모|일시=|장소=경복궁, 창경궁|규모=|양식=|관련인물=|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7877|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za_10411008_001 『고종실록』 4년 11월 8일]}}
 
 
 
경복궁 자선당 인근에 있는 문으로 동궁전의 외대문.
 
 
 
=='''개설'''==
 
 
 
이극문(貳極門)은 경복궁 비현각(丕顯閣)의 동쪽 행각이 남쪽으로 뻗어 마무리되는 지점에 놓인 2칸의 문으로 동향하였다. 이극(貳極)이라는 말은 동궁과 연관되었다.
 
 
 
=='''위치 및 용도'''==
 
 
 
경복궁 자선당(資善堂) 바깥 행랑의 남문이다. 고종대에 경복궁을 중건할 때 자선당 안의 행랑 남문을 중광문(重光門), 북문을 육덕문(毓德門), 바깥 행랑의 남문을 이극문으로 명명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0411008_001 『고종실록』 4년 11월 8일]). 『궁궐지』에 구현문(求賢門) 남쪽 문으로 기록되었다.
 
 
 
=='''형태'''==
 
 
 
2칸 문으로 조성되었다.
 
 
 
=='''관련사건 및 일화'''==
 
 
 
창경궁에도 이극문이 있는데, 낙선재(樂善齋) 일대의 남서쪽으로 난 문이다. 「동궐도(東闕圖)」에 1칸의 솟을문과 따로 1칸의 협문이 연이은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참고문헌'''==     
 
*「경복궁배치도(景福宮配置圖)」「동궐도(東闕圖)」「동궐도형(東闕圖形)」「북궐도형(北闕圖形)」     
 
*홍순민, 「조선왕조 궁궐 경영과 “양궐체제”의 변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7877"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왕실]][[분류:왕실건축]][[분류:궁궐건축물]][[분류:건축]][[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2018년 1월 24일 (수) 22:27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