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영자(笠纓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
{{의복|대표표제=입영자|한글표제=입영자|한자표제=笠纓子|대역어=|상위어=|하위어=포백영(布帛纓), 주영(珠纓), 죽영(竹纓)|동의어=입영(笠纓)|관련어=입식(笠飾)|분야=생활·풍속/의생활/관모|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대한제국|왕대=태조~순종|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5539|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07009_004 『예종실록』 1년 7월 9일], [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07009_004 『예종실록』 1년 7월 9일]}}
{{의복|대표표제=입영자|한글표제=입영자|한자표제=笠纓子|대역어=|상위어=|하위어=포백영(布帛纓), 주영(珠纓), 죽영(竹纓)|동의어=입영(笠纓)|관련어=입식(笠飾)|분야=생활·풍속/의생활/관모|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대한제국|왕대=태조~순종|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5539|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07009_004 『예종실록』 1년 7월 9일],[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07009_004 『예종실록』 1년 7월 9일]}}
 
  
 
갓을 머리 위에 고정하기 위해 턱 밑에 매는 끈.
 
갓을 머리 위에 고정하기 위해 턱 밑에 매는 끈.

2017년 12월 9일 (토) 20:53 기준 최신판



갓을 머리 위에 고정하기 위해 턱 밑에 매는 끈.

내용

입영자(笠纓子)는 입영(笠纓)이라고도 하며, 갓을 머리 위에 고정하기 위하여 턱 밑에 매는 실용적인 끈이다. 일반 서민은 목면이나 비단의 한 종류인 갑사(甲紗)로 접어서 만드는 포백영(布帛纓)을 주로 사용하였다. 입영자는 포백영 외에도 재료에 따라 옥(玉)·마노(瑪瑙)·호박(琥珀)·산호(珊瑚)·금파[錦貝]·수정(水晶) 등으로 만든 주영(珠纓) 및 대로 만든 죽영(竹纓) 등 종류도 다채로워졌다. 1469년(예종 1)에 서인(庶人)의 입영자를 금지하기도 하였다(『예종실록』 1년 7월 9일).

용례

詳定所啓 (중략) 禁庶人紅紫衣及袱交綺綃 珊瑚 瑪瑙 琥珀 明貝 靑金石 笠纓子 笠飾鈒 鐙子 黃銅事件 斜皮(『예종실록』 1년 7월 9일)

참고문헌

  • 장숙환, 『전통남자 장신구』, 대원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