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모승군(召募僧軍)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승병을 조직하거나 토목공사와 같은 역사를 수행하기 위해서 불러 모은 승군, 혹은 불러 모으는 일.

내용

나라에서 승군의 노동력을 활용하는 일은 2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임진왜란 때 볼 수 있듯이 승병이 조직되어 자발적으로 전쟁에 참여한 경우였다. 승군은 전쟁 수행 과정에서 뚜렷한 공로를 세웠다. 승군은 비상한 시기에 잠재 능력을 유감없이 발휘한 것인데, 임진왜란 이후의 지배층 관료들은 이 같은 승군의 노동력을 지속적으로 활용하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 그리하여 1624년(인조 2) 남한산성을 축조한 뒤, 처음으로 산성을 수호하는 의승(義僧)을 편성하였다. 정규의 군역으로 편제된 산성의 승군제도는 여기서부터 시작되었다. 그 뒤 북한산성을 비롯한 각처의 산성에 승군이 설치되어 군역으로서의 승역은 확대되었다. 부역제도 변동의 시기에 과도기적인 대안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승역의 또 다른 형태는 민간의 요역을 대신하는 일이었다. 대동법 성립 이후 농민을 대상으로 한 요역 징발이 어렵게 되자, 관부의 각종 토목공사에서 빈번하게 승군을 징발하였다. 승군의 부역노동은 전통적인 요역노동을 대신하는 효과적인 대안이었다. 요역노동의 비중이 감소하고 소멸되던 시절의 노동력 수급 체계에서, 승역은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17세기 초엽에 정부는 주로 축성이나 영건공사에 부역승군을 활용하였다. 승군을 징발하는 일이 관례화되면서, 점차 소모(召募)라는 표현은 자취를 감추었다. 더 이상 불교 교단이나 사찰의 자발적인 참여가 아니라, 관찰사·수령으로 이어지는 행정 체계를 동원한 징발 방식이 보편화되었기 때문이다.

용례

傳曰 郭震卿乃僧人義嚴也 今若分遣軍官于山寺召募 則以營建一事 僧軍累年調用 今又擾害 甚爲不可 各別戒飭 使勿作弊於寺刹 震卿壬辰之亂 爲義僧將 頗有功勞 還俗爵軍功同知 至是 以西事警急 使之召募僧軍 (『광해군일기』 14년 1월 27일)

참고문헌

  • 윤용출, 「17세기 후반 산릉역의 승군 징발」, 『역사와 경계』 73, 200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