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道德經)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도가철학의 시조인 노자(老子)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책.

개설

『도덕경(道德經)』은 중국 도가철학의 시조인 노자(老子)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책이다. 『노자』 또는 『노자도덕경』 라고도 한다. 약 5,000자, 81장으로 되어 있으며, 상편 37장의 내용을 ‘도경(道經)’, 하편 44장의 내용을 ‘덕경(德經)’이라고 한다. 노자가 지었다고 하나, 한 사람이 쓴 것이라고는 볼 수 없고, 여러 차례에 걸쳐 편집된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랜 기간 동안 많은 변형 과정을 거쳐, 기원전 4세기 경 지금과 같은 형태로 고정되었다고 여겨진다.

편찬/발간 경위

여러 가지 판본이 전해 오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한(漢)나라 문제(文帝) 때 하상공(河上公)이 주석한 것으로 알려진 하상공본과, 위(魏)나라 왕필(王弼)이 주석하였다는 왕필본의 두 가지가 있다. 그리고 전문이 남아 있는 것은 아니지만, 둔황(敦煌)에서 발견된 당사본(唐寫本)과 육조인사본(六朝人寫本)이 있고, 여러 곳에 도덕경비(道德經碑)가 아직도 흩어져 있어 노자의 경문을 살펴보는 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특히 근년에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의 한묘(漢墓)에서 출토된 백서노자(帛書老子)와 색담사본 도덕경(索紞寫本道德經)은 『도덕경』의 옛 형태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원래 『도덕경』은 상ㆍ하로만 나누어졌을 뿐이지만, 장구지학(章句之學)이 성행한 한대(漢代)에 들어와서 장ㆍ절로 나누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가 지금까지 봐온 『도덕경』은 다른 사람의 시각에 의해 재해석된 것이었다.

구성/내용

노자는 춘추말기에 20여 세 연하의 공자와 동시대를 살았으며, 『노자』라는 책은 전국(戰國)초기에 완성된 것으로 본다. 이런 전설 같은 기록에도 『도덕경』은 수많은 사람에게 큰 영감을 줘서, 『성경』 다음으로 많은 번역본이 나왔다. 공자의 실명은 공구(孔丘)지만, 노자의 실명은 이이(李耳)이다. 당(唐)의 태조이연(李淵)은 노자(老子;본명은 이이(李耳))의 후손임을 자처해, 국내에서는 불교성국이었으나, 왕실에서는 도교를 믿었다. 노자는 세상에 있음과 없음, 높음과 낮음, 긺과 짧음, 어려움과 쉬움, 앞과 뒤 등으로 서로 꼬여서, 존재한다고 했다.

『도덕경』의 구성 체재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학자들 간에 의견이 분분하였고, 성립 연대 및 실질 저자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았는데, 한 사람이 한꺼번에 저술하였다는 관점과 도가학파의 손에 의하여, 오랜 기간에 걸쳐 당시의 여러 사상을 융합시켜 만들어진 것이라는 관점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한 사람의 전작물임을 주장하는 관점은 노자를 공자(孔子)와 같은 시대의 실존인물로 보아, 『도덕경』을 그의 작품으로 인정한다. 반면 부정하는 관점은 노자가 가공인물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또 비록 실존인물이라 하여도 『도덕경』과는 상관이 없다는 관점이다. 곧 현존하는 판본은 여러 사람에 의하여 오랜 기간 동안 이루어졌다고 보는 것이다.

『도덕경』을 지었다는 노자가 실존인물인지는 의문이다. 그러나 한대(漢代)에는 성(姓)이 이(李)라 하고, 주(周) 왕조의 사관은 유교의 개조인 공자도 노자에게 예(禮)를 물었다고도 전한다. 노자는 어머니가 노처녀로 있을 때 하루는 밤에 북두칠성이 안개로 자욱이 변해, 내려와 노자의 처마 폭에 들어갔다. 이로써 임신이 돼 노자는 어머니 태내(胎內)에서 81년간이나 있다가, 좌액(左腋)에서 태어났다. 태어나자마자 머리털이 백발이고 못하는 말이 없어, ‘생이백발능언(生而白髮能言)’이라고 했다. 따라서 그를 늙은 자식이란 뜻에서 노자(老子)라 불렸다. 또한 태어날 때에 오얏나무[李樹]를 가리켰다고 해서, 성(姓)이 이씨(李氏)가 됐다는 설도 있다. 또 역대마다 황제(黃帝) 시대에는 황성자(黃成子), 요(堯) 시대에는 무성자(務成子)가 됐다는 설 등 갖가지 전설로 신격화됐으며, 마침내는 천존의 화신으로 변신했다고도 한다. 『도덕경』을 둘러싸고 제기되는 많은 문제점과 상반된 처지에도 불구하고, 이 책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기본 사상이 변함없이 계속해서 일관성을 유지해 오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모두가 동의하고 있다. 『도덕경』의 사상은 한마디로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무위는 ‘도는 언제나 무위이지만 하지 않는 일이 없다.[道常無爲而無不爲]’의 무위이고, 자연은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자연을 본받는다.[天法道道法自然]’의 자연을 의미하는 것으로, 결국 『도덕경』의 사상은 모든 거짓됨과 인위적인 것에서 벗어나려는 사상이다. ‘좋다ㆍ나쁘다, 크다ㆍ작다, 높다ㆍ낮다’ 등의 판단들은 인간들이 인위적으로 비교하여 만들어낸 상대적 개념이며, 이런 개념들로는 도(道)를 밝혀낼 수 없다는 것이다. 언어라는 것은 상대적 개념들의 집합체이므로, 『도덕경』에서는 언어에 대한 부정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 점에서 유가사상과 현격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유가사상에서는 인위적 설정이 강조되는 예학(禮學)이 중요한 위치에 놓여 있으며, 언어에 의한 규정이 강력하게 요청되기 때문이다. 『도덕경』에서는 규정성의 파기와 언어에 대한 부정을 강조하는데, 유가사상이 중국 북방의 황하유역에서 형성된 것인 반면, 이런 무위자연의 사상은 중국 남방의 양쯔강 유역에서 형성되었다는 기질적인 차이로 설명되기도 한다. 즉 북방은 생존조건이 열악하기 때문에 살아가기 위해서는, 현실적이고 투쟁적이어야 하지만, 남방은 날씨가 온화하고 자연 조건이 순조로워 평화적이고 낭만적이었는데, 이런 분위기의 차이가 사상 형성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는 것이다.

유가사상이 인(仁)ㆍ의(義)ㆍ예(禮)ㆍ지(智)의 덕목을 설정하여, 예교(禮敎)를 강조하면서, 현실적인 상쟁대립이 전제된 반면, 『도덕경』의 사상은 상쟁의 대립이 인위적인 것으로 말미암아 생긴다고 보고, 무(無)와 자연의 불상쟁(不相爭) 논리를 펴나간 것이다. 이러한 『도덕경』의 사상은 학문적인 진리 탐구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지만, 위ㆍ진 남북조시대처럼 사회가 혼란과 역경에 빠져 있을 때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삶의 지혜를 밝혀 주는 수양서로서도 받아들여졌으며, 민간신앙과 융합되면서 피지배계급에게 호소력을 지닌 사상 및 세계관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고려 때는 왕 중에서도 도교신앙이 제일 돈독하고, 재위 당시 도교가 융성하였던 예종이 청연각(淸燕閣)에서 한안인(韓安仁)에게 명하여, 『도덕경』을 강론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고려사』에 보인다. 유교경전과 대등하게 다루어서 강론시켰을 정도이므로, 당시 『도덕경』을 연구하던 사람의 숫자도 많았고 수준도 높았으리라 짐작된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엄격한 주자학적 사상(朱子學的思想)과 그 배타적 성격 때문에 이 책에 대한 연구가 위축되었지만, 유학자들 가운데에는 주석서를 펴내고 끊임없는 관심을 보여준 사람들도 있었다. 박세당(朴世堂)은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을 저술하였고, 이이(李珥)는 『도덕경』 81장을 40여 장으로 줄여 『순언(醇言)』이라는 주석서를 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볼 때 『도덕경』에 관한 관심은 희박하였는데, 그 이유는 자신 이외는 모든 사상을 이단으로 보는 성리학의 성격 때문이었다. 그러나 『도덕경』의 기본 흐름은 일찍부터 도교신앙과 접합되어 오면서, 민중의식 속에 깊이 뿌리박혀, 기층의 민간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참고문헌

  • 김학주, 『노자와 도교사상』, 태양문화사, 1978.
  • 배수호, 「노자 『도덕경』에서 물에 대한 은유 및 관점」, 『한국행정학보』 제46권 제2호, 한국행정학회, 2012.
  • 이태호, 「노자 『도덕경』 이해를 위한 이분법적 사고의 극복」, 『동서정신과학』 18권 1호,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5.
  • 장시기, 「노자의 『도덕경』과 시뮬라르크 시간 이미지의 영화」, 『동서비교문학저널』 제24호(2011년 봄/여름),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1.
  • 차주환, 『한국의 도교사상』, 동화출판공사,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