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사록(近思錄)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 여조겸(呂祖謙)이 편찬한 성리학 해설서.

개설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 여조겸(呂祖謙)이 성리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요 서적에서 중요한 부분만을 골라 편집하여 출판한 일종의 성리학 해설서이자 주자학의 입문서 격인 책. 조선대 유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책으로 자리 잡았다.

편찬/발간 경위

현존하는 국내 최초 판본은 개인 선물 용도로 복간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경연에서 사용하거나 평소에 임금이 읽기 위한 책으로 만들어졌으며, 일반 유학자들의 개인 독서용으로도 수많은 책이 유통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세종대에도 『근사록』을 『사서(四書)』, 『소학(小學)』과 통일, 모방 인쇄하여 예람(睿覽)에 대비하고 신하들에게 나누어주자는 건의가 있었으며,(『세종실록』 17년 4월 8일) 왕명으로 이 책을 향교에 하사하기도 하였다.(『세종실록』 26년 8월 14일)

서지 사항

1370년 고려 공민왕대에 복간한 판본이 국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으로 경상북도 봉화 충재박물관에 소재되어 있으며, 보물 제262호로 지정되어있다. 그밖에 조선시대의 판본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 다수가 있다.

구성/내용

총 1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의 편명과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장 ‘도체(道體)’편으로 도의 근본을 다루고 있다. 2장은 ‘위학지요(爲學之要)’편으로 학문의 요체를 다루었으며, 3장은 ‘격물궁리(格物窮理)’편으로 사물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4장 ‘양존(存養)’편에서는 내면을 보존하고 기르는 방법에 대한 내용, 5장 ‘개과천선 극기복례(改過遷善 克己復禮)’에서는 예와 도덕의 표준과 그 실천 방법에 대하여 다루었다. 6장은 ‘제가지도(齊家之道)’로서 가정을 다루는 법, 7장은 ‘출처진퇴사수지의(出處進退辭守之義)’로 선비의 출처에 대한 문제, 8장은 ‘치국평천하지도(治國平天下之道)’로 천하를 다스리는 법을 다루었다. 9장 ‘제도(制度)’는 말 그대로 제도를 만들고 운영하는 법, 10장 ‘군자처사지방(君子處事之方)’은 군자가 일을 처리하는 법, 11장 ‘교학지도(敎學之道)’는 교육에 관련된 일들, 12장 ‘개과급인심자병(改過及人心疵病)’은 군자의 일을 방해하는 여러 가지 마음의 병폐를 지적하고 그것을 고치는 법을 소개하였다. 13장 ‘이단지학(異端之學)’은 이단, 특히 불교에 대한 비판을 하고 있으며, 14장 ‘성현기상(聖賢氣象)’은 유교에서 말하는 성현의 실례를 이야기하며 그 계보를 정리하였다.

의의와 평가

중국의 서적이기는 하지만 『근사록』이 미친 영향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실록에 의하면 『근사록』은 세종 때부터 그 이후 다른 왕들에 이르기까지 경연에서 사용되었고,[『세종실록』 즉위년 11월 13일(기미) 1번째기사, 『문종실록』 즉위년 8월 11일 1번째기사, 『성종실록』 12년 3월 23일 2번째기사, 『중종실록』 11년 9월 29일 4번째기사, 『명종실록』 10년 12월 28일 1번째 기사, 『선조실록』 2년 5월 21일 2번째 기사] 왕세자 교육에도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각종 상소나 건의에도 자주 인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인용 범위 또한 도덕적 혹은 학문적 영역에서 그친 것이 아니라, 형벌에 관련된 논의나 교육에 관련된 논의, 심지어 과부의 재혼에 관련된 논의에서도 인용되었음을 실록에서 확인이 가능하다.(『세종실록』 18년 8월 8일, 『세종실록』 29년 5월 7일 3번째기사, 『성종실록』 14년 9월 11일 4번째기사) 일부 대신들의 졸기(卒記)와 왕의 행장(行狀) 및 묘지문(墓誌文)에도 다른 경전과 더불어 『근사록』을 즐겨 읽었다는 기록이 눈에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세종실록』 21년 12월 28일) 조선시대 일반적인 유학 교육 과정을 보면 『소학』, 『대학(大學)』을 거쳐 『근사록』을 학습한 뒤에 경서류(經書類)를 배웠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사대부들은 유람(遊覽) 중에도 이 책을 읽었던 것으로 보아 그만큼 이 책이 조선시대에 이 책이 얼마나 중요한 책이었는지 짐작해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세종실록(世宗實錄)』
  • 『문종실록(文宗實錄)』
  • 『성종실록(成宗實錄)』
  • 『중종실록(中宗實錄)』
  • 『명종실록(明宗實錄)』
  • 『선조실록(宣祖實錄)』
  •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 『국조보감(國朝寶鑑)』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자료실(http://e-kyujanggak.snu.ac.kr)
  • 김문식, 「소현세자의 왕세자 교육」, 『국학연구소』18 , 한국국학진흥원, 2011.
  • 정치영,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유람 중의 활동」, 『역사민속학』42, 역사민속학회, 2013.
  • 허재영, 「조선 시대 여자 교육서와 문자 생활」, 『한글』 272, 한글학회,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