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 자 수장 태실지

SeosamneungWiki.
Jih8288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9월 18일 (수) 19:54 판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성종왕자 수장 태실(成宗王子 壽長 胎室)
사진출처
식별자 PC027
분류 왕자공주 태실
한글명 성종왕자 수장 태실
한자명 成宗王子 壽長 胎室
영문명 Placenta Chamber of Prince Sujang
피장자 명칭 수장(壽長)
피장자 이칭 이봉(李㦀)·봉안군(鳳安君)·정민공(貞愍公) 추정이칭
피장자 부 성종(成宗)
피장자 모 귀인 정씨(貴人鄭氏)
피장자 생년월일 1482.02.23
피장자 몰년월일 1505
초장 연월일 1482.06.23
초장지 기록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문화재 지정여부 미지정
이장 연월일 1929.05 추정
이장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지문 皇明成化十八年,二月二十三日辰時生,王子壽長胎,成化十八年,六月二十三日,巳時藏
지문 찬자 조선 예조(禮曹)
지문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태항아리 왕자 수장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태항아리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정의

조선의 9대 왕 성종(成宗)과 귀인 정씨(貴人鄭氏)소생으로, 성종의 서6남인 봉안군 이봉으로 추정되는 왕자 수장 태실에 관한 종합 정보 페이지.

관련 기록

조선의 태실

『조선의 태실』2권, 「28.壽長 (추정 鳳安君)

Quote-left blue.png 서삼릉의 왕자 수장의 태실은 그 태비에 의하면 이전된 곳이 연산군의 왕녀 영수(靈壽)와 마찬가지로 양주 진접면이다. 지금 진접면 내각리애는 여러 노인들의 증언대로 일제시대 서울로 태가 옮겨진 뒤 폐허로 남은 왕실의 태를 묻었던 두 태봉이 있다.

그 하나는 순강원(順康園)의 좌강(左岡)이고, 다른 하나는 제3062부대 내의 배나무골에 자라잡고 있다. 이 두 태봉 가운데 하나가 바로 왕자 수장의 태실이 있던 곳이다. 이 두 태봉에는 서울로 태를 모셔간 이후에도 한 동안은 태비가 남아 있었다. 두 태비 가운데 순강원 좌강의 태비는 배나무골의 태비와 달리 갓 갓이란 비두(碑頭)를 가리킴 이 있었다 한다. 하지만 지금은 모두 매몰되어 자취가 묘연하다. 결국 수장 왕자의 태(胎)가 내각리 어느 태봉에 장테되어 있었는지를 알 수 없게 되었다.

성종대왕 왕자 가운데 1482년생은 봉안군 그리고 견성군이 있다. 이 가운데 견성군은 태지에서 보듯 1482년 5월 5일생이다. 따라서 수장 왕자는 봉안군일 확률이 높다. 그런데 성종대왕 왕자들의 족보인 선릉왕자 14파합보소(宣陵王子十四派合譜所) 간행 『전주이씨족보(全州李氏族譜(1930년)』에는 봉안군의 탄생이 1482년 9월 29일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수장은 봉안군일 가능성이 더욱 높게 된다. 하지만 수장은 봉안군도 아닌 일찍 세상을 뜬 왕자일 가능성도 있다.

Quote-right blue.png
출처: 『조선의 태실』2권, 「28.壽長 (추정 鳳安君)]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