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군 녀 복억 태실지

SeosamneungWiki.
Ssn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9월 11일 (금) 23:36 판 (→‎상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燕山君 王女 福億 胎室)
강원 삼척시 자원동의 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터 전경
식별자 PC032
분류 왕자공주 태실
한글명 연산군 왕녀 복억 태실
한자명 燕山君 王女 福億 胎室
영문명 Placenta Chamber of Princess Bokeok
피안자 명칭 복억(福億)
피안자 이칭 이복억(李福億)
피안자 부 연산군(燕山君)
피안자 모 미상
피안자 생년월일 1499
피안자 몰년월일 미상
안태 연월일 1499.05.09 『복억옹주 태지석』
안태지 기록 강원 삼척군 삼척면 『서삼릉 복억 태실 후면 각자』
안태지 좌표(위도) 37°43'99.07"N
안태지 좌표(경도) 129°13'89.47"E
안태지 주소 강원도 삼척시 자원동 산56
문화재 지정여부 미지정
이안 연월일 1929 추정
이안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 좌표(위도) 37°66'45.61"N,
이안지 좌표(경도) 126°86'06.29"E
지문 弘治十二年己未生,翁主福億胎,弘治十二年己未,五月,九日,藏于三陟郡三陟面,昭和四年,月,日移藏
지문 찬자 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지문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태항아리 복억옹주 태지석 및 내항아리와 외항아리 몸체 일부
태항아리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내용

연산군의 옹주이나 누구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는지는 알 수 없다.

《태봉》에 따르면 복억의 태실은 강원도 삼척에 위치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태실지에서 그 흔적을 찾기는 힘들다. 이 지역에서 편찬된 자료에서 태실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상세

복억(福億)은 연산군의 왕녀이나 모친이 확인되지 않으며 『연산군일기』 , 『선원계보기략』 등의 기록상에도 그 존재가 나타나지 않아 조졸한 것으로 추정된다.

태지석에 의하면 복억은 1499년에 태어났으며 같은 해 5월 9일에 삼척군 삼척면에 안태한 사실을 알 수 있다.

복억 태실의 초안지는 강원도 삼척시 자원동 산56으로 바로 아래 민가가 인접해있으며 정상부에 인위적인 구덩이가 확인되어 태실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1995년 관동대학교 박물관에서는 『삼척군지(三陟郡誌)』(1916), 『진주지(眞州誌)』(1963), 『삼척군지』(1984)의 기록을 통해 자지동(紫芝洞, 1995년 紫園洞으로 개칭) 서쪽에 태봉산(157.3cm)이 자리하고 있으며 연산군의 공주 태실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현지조사를 진행하지 못하여 정확한 현상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이렇게 구전으로만 태실의 존재가 전해지다가 1990년대 중반 이후 태실비가 현장 조사로 발견되면서 태실이 실존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현재 태실비는 사라져 행방을 알 수 없으며 태실비의 명문만 확인된다. 앞면은 ‘王女福億阿只氏胎室’이라 새겼으며 뒷면은 ‘弘治十二年己未五月九日巳時立’으로 전한다. [1]

지식 관계망

계보도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스틸샷 갤러리

수치지형도

전자지도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

주석

  1. 삼척시지발간위원회, 『삼척시지』, 삼척시, 1997, 92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