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혜공주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osamneung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글
46번째 줄: 46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
===파노라마===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800" src="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53/PC05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스틸샷 갤러리===
 
===스틸샷 갤러리===
 
<gallery>
 
<gallery>

2019년 12월 16일 (월) 01:17 판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의혜공주 태실(懿惠公主 胎室)
충남 부여군 규암면 함양리 태봉산 의혜공주 태실 터 전경
식별자 PC053
분류 왕자공주 태실
한글명 의혜공주 태실
한자명 懿惠公主 胎室
영문명 Placenta Chamber of Princess Uihye
피안자 명칭 의혜공주(懿惠公主)
피안자 이칭 옥혜(玉惠)
피안자 부 중종(中宗)
피안자 모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피안자 생년월일 1521
피안자 몰년월일 1564
안태 연월일 1521
안태지 기록 미상
안태지 좌표(위도) 36°29'89.51"N
안태지 좌표(경도) 126°87'30.75"E
안태지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함양리42-1
문화재 지정여부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71호
이안 연월일 1929 추정
이안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 좌표(위도) 37°39'52.9"N
이안지 좌표(경도) 126°51'38.0"E
지문 皇明正德十六年,三月二十六日寅時生,王女公主玉惠阿只氏胎,嘉靖二年,閏四月十三日,巳時藏
지문 찬자 조선 예조(禮曹)
지문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석물 의혜공주 아기씨 태실비 및 석함 규암면 함양리 97 야외 전시중
태항아리 중종 왕녀 의혜공주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태항아리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정의

조선의 11대 왕인 중종(中宗)과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의 장녀이며, 청원위(淸原尉) 한경록(韓景祿)과 혼인한 의혜공주의 안태지.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스틸샷 갤러리

전자지도

전자지도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조선 예조, 『태봉등록(胎封謄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이규상 편, 『한국의 태실』, 청원문화원, 2005.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