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흥군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osamneung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7번째 줄: 17번째 줄:
 
|초장 연월일=1608.11.07
 
|초장 연월일=1608.11.07
 
|초장지 기록=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태봉리
 
|초장지 기록=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태봉리
|초장지 문화재 지정여부=미지정
 
 
|좌표(위도)=
 
|좌표(위도)=
 
|좌표(경도)=
 
|좌표(경도)=
 +
|문화재 지정여부=미지정
 
|이장 연월일=1930.05
 
|이장 연월일=1930.05
 
|이장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장지=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2019년 9월 2일 (월) 08:28 판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인흥군 태실(仁興君 胎室)
사진출처
식별자 PC036
분류 왕자공주 태실
한글명 인흥군 태실
한자명 仁興君 胎室
영문명 Placenta Chamber of Prince inHeung
피장자 명칭 인흥군(仁興君)
피장자 이칭 이영(李瑛) · 자(字) 가온(可韞) · 호(號) 취은(醉隱), 월창(月窓) ·정효공(靖孝公)
피장자 부 선조(宣祖)
피장자 모 정빈 민씨(靜嬪閔氏)
피장자 생년월일 1604.02.07
피장자 몰년월일 1651.11.25
초장 연월일 1608.11.07
초장지 기록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태봉리
문화재 지정여부 미지정
이장 연월일 1930.05
이장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지문 皇明萬曆三十二年,二月初七日生,王子阿只氏胎,萬曆三十六年,十一月初七日藏
지문 찬자 미상
지문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태항아리 선조 왕자 인흥군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태항아리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정의

조선의 14대 왕 선조(宣祖)과 정빈 민씨(靜嬪閔氏)소생으로, 선조의 12남인 인흥군 태실에 관한 종합 정보 페이지.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갤러리

전자지도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 박세당(朴世堂), 『정효공연보(靖孝公年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낭선군(朗善君) 이우(李俁), 『선군유권(先君遺卷)』,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낭선군 이우, 『정효공가승(靖孝公家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인흥군 이영, 『월창야화(月窓夜話)』,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인흥군 이영, 『백인당유권(百忍堂遺卷)』,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편저미상, 『종반행적(宗班行蹟)』,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 윤진영, 김호, 이귀영, 홍대한, 김문식 공저, 『조선왕실의 태실 의궤와 장태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3.논문

  • 신영주, 「인흥군 이영의 일상과 『월창야화』」, 『동방한문학』32, 동방한문학회, 2007.
  • 양승민, 「인흥군 영과 <취은몽유록> : 인흥군 문학의 종합적 소개를 겸하여」, 『고소설연구』5, 한국고소설학회, 1998.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