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혜옹주 태실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osamneung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글 (→‎정의)
잔글
2번째 줄: 2번째 줄:
  
 
{{태실조사카드
 
{{태실조사카드
|사진=OGPC_Deokhye_Front_View01.JPG
+
|사진=OGPC048_001.jpg
|사진출처=창덕궁 후원 임자 태봉의 덕혜옹주 태실 전경
+
|사진출처=창덕궁 후원 임자 태봉의 덕혜옹주 태실 초안지 전경
 
|식별자=PC048
 
|식별자=PC048
 
|분류=왕자공주 태실
 
|분류=왕자공주 태실
59번째 줄: 59번째 줄:
 
===스틸샷 갤러리===
 
===스틸샷 갤러리===
  
 +
<gallery>
 +
File:SSNPC048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덕혜옹주 태실 전면
 +
File:SSNPC048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덕혜옹주 태실 후면
 +
File:OGPC048_001.jpg|창덕궁 후원 임자 태봉 덕혜옹주 태실 초안지 전경
 +
File:OGPC048_002.jpg|창덕궁 후원 임자 태봉 덕혜옹주 태실 초안지 석물 유구
 +
</gallery>
 +
 +
<gallery mode="slideshow">
 +
File:SSNPC048_001.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덕혜옹주 태실 전면
 +
File:SSNPC048_002.jpg|서삼릉 태실 집안지 덕혜옹주 태실 후면
 +
File:OGPC048_001.jpg|창덕궁 후원 임자 태봉 덕혜옹주 태실 초안지 전경
 +
File:OGPC048_002.jpg|창덕궁 후원 임자 태봉 덕혜옹주 태실 초안지 석물 유구
 +
</gallery>
  
 
=='''수치지형도'''==
 
=='''수치지형도'''==
  
 
=='''전자지도'''==
 
=='''전자지도'''==
 +
 +
<html>
 +
<head>
 +
    <meta charset="utf-8">
 +
    <title>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title>
 +
    <style>
 +
.customoverlay {position:relative;bottom:85px;border-radius:6px;border: 1px solid #ccc;border-bottom:2px solid #ddd;float:left;}
 +
.customoverlay:nth-of-type(n) {border:0; box-shadow:0px 1px 2px #888;}
 +
.customoverlay a {display:block;text-decoration:none;color:#000;text-align:center;border-radius:6px;font-size:14px;font-weight:bold;overflow:hidden;background: #d95050;background: #d95050 url(http://t1.daumcdn.net/localimg/localimages/07/mapapidoc/arrow_white.png) no-repeat right 14px center;}
 +
.customoverlay .title {display:block;text-align:center;background:#fff;margin-right:35px;padding:10px 15px;font-size:14px;font-weight:bold;}
 +
.customoverlay:after {content:'';position:absolute;margin-left:-12px;left:50%;bottom:-12px;width:22px;height:12px;background:url('http://t1.daumcdn.net/localimg/localimages/07/mapapidoc/vertex_white.png')}
 +
</style>
 +
</head>
 +
 +
 +
<body>
 +
<div id="map" style="width:100%;height:800px;" align="center"></div>
 +
 +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dapi.kakao.com/v2/maps/sdk.js?appkey=89916f622dee27781f9dd08224b875a1"></script>
 +
<script>
 +
var map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map'), // 지도를 표시할 div
 +
    mapOption = {
 +
        center: new daum.maps.LatLng(37.584068,126.990608), // 지도의 중심좌표
 +
        level: 4// 지도의 확대 레벨
 +
    };
 +
 +
var map = new daum.maps.Map(mapContainer, mapOption); // 지도를 생성합니다
 +
 +
// 지도에 지형정보를 표시하도록 지도타입을 추가합니다
 +
map.addOverlayMapTypeId(daum.maps.MapTypeId.TERRAIN);   
 +
 +
// 아래 코드는 위에서 추가한 지형정보 지도타입을 제거합니다
 +
map.removeOverlayMapTypeId(daum.maps.MapTypeId.TERRAIN);   
 +
 +
// 일반뷰와 스카이뷰로 타입 전환이 가능한 컨트롤 생성
 +
var mapTypeControl = new daum.maps.MapTypeControl();
 +
 +
// 지도에 컨트롤을 추가해야 지도위에 표시됩니다
 +
// daum.maps.ControlPosition은 컨트롤이 표시될 위치를 정의하는데 TOPRIGHT는 오른쪽 위를 의미합니다
 +
map.addControl(mapTypeControl, daum.maps.ControlPosition.TOPRIGHT);
 +
 +
// 지도 확대 축소를 제어할 수 있는  줌 컨트롤을 생성합니다
 +
var zoomControl = new daum.maps.ZoomControl();
 +
map.addControl(zoomControl, daum.maps.ControlPosition.RIGHT);
 +
 +
//지형정보 표시
 +
//map.addOverlayMapTypeId(daum.maps.MapTypeId.TERRAIN);
 +
 +
// 아래 코드는 위에서 추가한 지형정보 지도타입 제거
 +
//map.removeOverlayMapTypeId(daum.maps.MapTypeId.TERRAIN);
 +
 +
var imageSrc = 'http://dh.aks.ac.kr/~ssn/images/marker_red.png', // 마커이미지의 주소입니다 
 +
    imageSize = new daum.maps.Size(50, 50), // 마커이미지의 크기입니다
 +
    imageOption = {offset: new daum.maps.Point(27, 69)}; // 마커이미지의 옵션입니다. 마커의 좌표와 일치시킬 이미지 안에서의 좌표를 설정합니다.
 +
 +
// 마커의 이미지정보를 가지고 있는 마커이미지를 생성합니다
 +
var markerImage = new daum.maps.MarkerImage(imageSrc, imageSize, imageOption),
 +
    markerPosition = new daum.maps.LatLng(37.584068,126.990608); // 마커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
 +
// 마커를 생성합니다
 +
var marker = new daum.maps.Marker({
 +
  position: markerPosition,
 +
  image: markerImage // 마커이미지 설정
 +
});
 +
 +
// 마커가 지도 위에 표시되도록 설정합니다
 +
marker.setMap(map); 
 +
 +
// 커스텀 오버레이에 표출될 내용으로 HTML 문자열이나 document element가 가능합니다
 +
var content = '<div class="customoverlay">' +
 +
    '  <a href="http://dh.aks.ac.kr/~ssn/pavilion/Field_PC/PC048/PC048.htm" target="_blank">' +
 +
    '    <span class="title">덕혜옹주 태실 초안지</span>' +
 +
    '  </a>' +
 +
    '</div>';
 +
 +
// 커스텀 오버레이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
var position = new daum.maps.LatLng(37.584068,126.990608); 
 +
 +
// 커스텀 오버레이를 생성합니다
 +
var customOverlay = new daum.maps.CustomOverlay({
 +
    map: map,
 +
    position: position,
 +
    content: content,
 +
    yAnchor: 1
 +
});
 +
 +
</script>
 +
</body>
 +
</html>
 +
// 커스텀 오버레이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
var position = new daum.maps.LatLng(37.584068,126.990608); 
 +
 +
// 커스텀 오버레이를 생성합니다
 +
var customOverlay = new daum.maps.CustomOverlay({
 +
    map: map,
 +
    position: position,
 +
    content: content,
 +
    yAnchor: 1
 +
});
 +
 +
</script>
 +
</body>
 +
</html>
 +
  
 
=='''참고 자료'''==
 
=='''참고 자료'''==

2020년 1월 13일 (월) 08:58 판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덕혜옹주 태실(德惠翁主 胎室)
창덕궁 후원 임자 태봉의 덕혜옹주 태실 초안지 전경
식별자 PC048
분류 왕자공주 태실
한글명 덕혜옹주 태실
한자명 德惠翁主 胎室
영문명 Placenta Chamber of Princess Deokhye
피안자 명칭 덕혜옹주(德惠翁主)
피안자 이칭 이덕혜(李德惠)·복녕당아기씨(福寧堂阿只氏)
피안자 부 고종(高宗)
피안자 모 복녕당귀인(福寧堂貴人) 양씨(梁氏)
피안자 생년월일 1912.04.09
피안자 몰년월일 1989.04.21
안태 연월일 1912.04.23 『덕혜옹주 태지석』
안태지 기록 창덕궁 후원 경내 임자(壬子) 태봉(胎峯) 『창덕궁 태봉도』
안태지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2-71
문화재 지정여부 미지정
이안 연월일 1929 『덕혜옹주 태지석』
이안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안지 좌표(위도) 37°66'45.61"N,
이안지 좌표(경도) 126°86'06.29"E
지문 明治四十五年壬子,四月,九日生,德惠翁主胎,明治四十五年壬子,四月,二十三日,藏于昌德宮祕苑,昭和四年,月,日移藏
지문 찬자 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지문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태항아리 덕혜옹주 태지석 및 태항아리 일습
태항아리 소장처 국립고궁박물관



내용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양씨의 소생이며 일본의 화족(華族) 백작(伯爵) 소 다케유키(宗武志)와 혼인했으나 일본의 패전 후 이혼한 뒤 창덕궁 수강재(壽康齋)에서 생을 마감했다.

다른 형제인 영친왕, 이육, 이우와 같이 창덕궁 후원에 안태하였다. 이처럼 후원에 안태한 이유는 영조가 1761년(영조 4) 경복궁에서 석함이 발견되자 창덕궁 후원에 장태하도록 전교를 내린 것에서 유래한다.

이에 덕혜옹주를 비롯한 고종의 자녀의 태가 창덕궁 후원에 안태됐던 것이다. 이후 왕실 태실이 서삼릉으로 옮겨질 때 덕혜옹주의 태실 역시 반출되었다.

지식 관계망

태실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파노라마

스틸샷 갤러리

수치지형도

전자지도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 커스텀 오버레이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var position = new daum.maps.LatLng(37.584068,126.990608);

// 커스텀 오버레이를 생성합니다 var customOverlay = new daum.maps.CustomOverlay({

   map: map,
   position: position,
   content: content,
   yAnchor: 1 

});

</script> </body> </html>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태봉(胎封)』, 19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2.단행본

  • 국립문화재연구소,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 심현용, 『한국 태실 연구』, 경인문화사, 2016.

3.논문

  • 윤석인, 『조선왕실의 태실 변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