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인 밀양박씨 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osamneung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새 문서: {{Button|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조사카드 |사진= |사진출처=서삼릉 빈귀인 묘역 귀인박씨 묘 |...)
 
231번째 줄: 231번째 줄: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능원묘천봉안(陵園墓遷奉案)』, 1929 ~ 194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

2019년 12월 15일 (일) 06:30 판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귀인밀양박씨묘(貴人密陽朴氏墓)
Royaltomb.png
식별자 RT032
분류 분묘
한글명 귀인밀양박씨묘
한자명 貴人密陽朴氏墓
영문명 Tomb of Royal Consort Gwi-in of the Miryang Park clan
피장자 명칭 귀인(貴人) 밀양박씨(密陽朴氏)
피장자 이칭 철종 후궁 귀인 박씨
피장자 부 미상
피장자 모 미상
피장자 생년월일 1827.10.28
피장자 몰년월일 1889.04.09
초장 연월일 미상
초장지 기록 포천군 서면 선단리능원묘천봉안
문화재 지정여부 미지정
이장 연월일 1970.06.04
이장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장지 좌표(위도) 37°66'56.84"N
이장지 좌표(경도) 126°85'84.06"E
지문 貴人密陽朴氏之墓
지문 찬자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지문 소장처 조선왕릉 서부지구관리소



정의

조선 25대 왕 철종의 후궁, 귀인 밀양박씨의 묘.


조선왕조실록

『철종실록』권6, 철종 5년(1854) 7월 10일 정미(丁未) 1번째 기사

Quote-left blue.png 《아들을 낳은 궁인 박씨를 귀인으로 봉작하게 하다》

교하기를,

"궁인(宮人) 박씨(朴氏)가 오늘 인시(寅時)에 생남(生男)하였으니, 호산(護産) 등의 절차는 전례에 의하여 거행하고, 궁인 박씨를 귀인(貴人)으로 봉작(封爵)하라."

하였다.

敎曰: "宮人朴氏, 今日寅時生男, 護産等節, 依例擧行宮人朴氏, 貴人封爵。"

Quote-right blue.png
출처: 『철종실록』권6, 철종 5년(1854) 7월 10일 정미(丁未) 1번째 기사



『고종실록』권26, 고종 26년(1889) 4월 10일 을유(乙酉) 1번째 기사

Quote-left blue.png 《박 귀인의 상사에 관판 한 부를 실어 보내게 하다》

전교하기를,

"박 귀인(朴貴人)의 상사(喪事)에 관판(棺板) 한 부를 실어 보내도록 하라."

하고, 또 하교하기를,

"박 귀인의 상사는 범 숙의(范淑儀)의 상사를 치른 규례대로 하되, 장례 물자는 호조(戶曹)에서 적당히 실어 보내도록 하라."

하였다.

敎曰: "朴貴人喪, 棺板一部輸送。" 又敎曰: "朴貴人喪, 依范淑儀喪例, 葬需令度支量宜輸送。"

Quote-right blue.png
출처: 『고종실록』권26, 고종 26년(1889) 4월 10일 을유(乙酉) 1번째 기사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2556책(탈초본 123책), 철종 5년(1854) 7월 10일 정미(丁未) 8/16 기사

Quote-left blue.png 傳曰, 宮人朴氏貴人封爵, 政官牌招開政。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 2556책(탈초본 123책), 철종 5년(1854) 7월 10일 정미(丁未) 8/16 기사


『승정원일기』 2556책(탈초본 123책), 철종 5년(1854) 7월 10일 정미(丁未) 16/16 기사

Quote-left blue.png 貴人單宮人朴氏封爵事, 傳敎。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 2556책(탈초본 123책), 철종 5년(1854) 7월 10일 정미(丁未) 16/16 기사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가상현실

현재의 묘역

초장 추정지

갤러리

동영상

전자지도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능원묘천봉안(陵園墓遷奉案)』, 1929 ~ 194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