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의 밀양박씨 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eosamneung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새 문서: {{Button|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조사카드 |사진= |사진출처=서삼릉 숙의 묘역 숙의 박씨 묘 |식...)
 
139번째 줄: 139번째 줄:
 
var map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map'), // 지도를 표시할 div  
 
var map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map'), // 지도를 표시할 div  
 
     mapOption = {  
 
     mapOption = {  
         center: new daum.maps.LatLng(37.671343, 126.999447), // 지도의 중심좌표
+
         center: new daum.maps.LatLng(37.545426, 126.961434), // 지도의 중심좌표
         level: 9 // 지도의 확대 레벨
+
         level: 10 // 지도의 확대 레벨
 
     };
 
     };
  
174번째 줄: 174번째 줄:
 
// 마커의 이미지정보를 가지고 있는 마커이미지를 생성합니다
 
// 마커의 이미지정보를 가지고 있는 마커이미지를 생성합니다
 
var markerImage = new daum.maps.MarkerImage(imageSrc, imageSize, imageOption),
 
var markerImage = new daum.maps.MarkerImage(imageSrc, imageSize, imageOption),
     markerPosition = new daum.maps.LatLng(37.862347,127.15438810); // 마커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
     markerPosition = new daum.maps.LatLng(37.545426, 126.961434); // 마커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 마커를 생성합니다
 
// 마커를 생성합니다
193번째 줄: 193번째 줄:
  
 
// 커스텀 오버레이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 커스텀 오버레이가 표시될 위치입니다  
var position = new daum.maps.LatLng(37.862347,127.154388);   
+
var position = new daum.maps.LatLng(37.545426, 126.961434);   
  
 
// 커스텀 오버레이를 생성합니다
 
// 커스텀 오버레이를 생성합니다
241번째 줄: 241번째 줄:
 
</body>
 
</body>
 
</html>
 
</html>
 
  
 
=='''참고 자료'''==
 
=='''참고 자료'''==

2019년 12월 15일 (일) 04:07 판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숙의밀양박씨묘(淑儀密陽朴氏墓)
Royaltomb.png
식별자 RT024
분류 분묘
한글명 숙의밀양박씨묘
한자명 淑儀密陽朴氏墓
영문명 Tomb of Royal Consort Sukui of the Miryang Park clan
피장자 명칭 숙의(淑儀) 밀양박씨(密陽朴氏)
피장자 이칭 순조 후궁 숙의 박씨
피장자 부 미상
피장자 모 미상
피장자 생년월일 미상
피장자 몰년월일 1854.06.30
초장 연월일 미상
초장지 기록 경성부 금정(錦町) 이정목(二丁目) 능원묘천봉안
문화재 지정여부 미지정
이장 연월일 1938.05.12
이장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서삼릉 내
이장지 좌표(위도) 37°40'0.00"N
이장지 좌표(경도) 126°52'0.00"E
지문 淑儀密陽朴氏之墓
지문 찬자 이왕직 예식과(李王職 禮式課)
지문 소장처 조선왕릉 서부지구관리소



정의

조선 23대 왕 순조의 후궁, 숙의 밀양박씨의 묘.


조선왕조실록

『순조실록』권20, 순조 17년(1817) 10월 11일 신사(辛巳) 1번째 기사

Quote-left blue.png 《궁인 박씨를 숙의에 봉작하다》

하교하기를, "궁인(宮人) 박씨(朴氏)가 간밤에 딸을 낳았으니, 호산(護産) 등의 절차를 전례대로 거행하라." 하고, 또 하교하기를, "궁인 박씨를 숙의(淑儀)에 봉작(封爵)하고, 공상(供上)도 마련(磨鍊)하라." 하였다.

敎曰: "宮人朴氏, 去夜生女, 護産等節, 依例擧行。" 又敎曰: "宮人朴氏, 淑儀封爵, 供上磨鍊。“

Quote-right blue.png
출처: 『순조실록』권20, 순조 17년(1817) 10월 11일 신사(辛巳) 1번째 기사



『순조실록』권31, 순조 30년(1830) 7월 15일 경오(庚午) 3번째 기사

Quote-left blue.png 《지문의 내용》

그리고 영온 옹주(永溫翁主)는 박 숙의(朴淑儀)에게서 낳았는데 나면서부터 병이 많아 말을 잘 못하였으므로 항상 불쌍하게 여겨 어루만져 주었으며, 그가 졸(卒)하자 세자가 놀라고 슬퍼하여 눈물을 흘리며 말하기를, ‘그 자모(慈母)의 정경(情境)은 더욱 슬프게 여길 만하다.’ 하였다.

永溫主朴淑儀出也, 生而多病, 語不能了, 常憐而撫之, 其卒也, 世子驚悼垂涕曰: ‘其慈母情境, 尤可悲也。’

Quote-right blue.png
출처: 『순조실록』권31, 순조 30년(1830) 7월 15일 경오(庚午) 3번째 기사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2088책(탈초본 108책), 순조 17년(1817) 10월 11일 신사(辛巳) 21/29 기사

Quote-left blue.png 淑儀單宮人朴氏, 封爵事。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088책(탈초본 108책), 순조 17년(1817) 10월 11일 신사(辛巳) 21/29 기사



『승정원일기』2555책(탈초본 123책), 철종 5년(1854) 6월 30일 정유(丁酉) 22/30 기사

Quote-left blue.png 傳曰, 朴淑儀之喪, 聞不勝傷衋, 追惟永溫, 尤覺愴然, 其庇護治喪之需, 令度支量宜輸送。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555책(탈초본 123책), 철종 5년(1854) 6월 30일 정유(丁酉) 22/30 기사



『승정원일기』2555책(탈초본 123책), 철종 5년(1854) 6월 30일 정유(丁酉) 23/30 기사

Quote-left blue.png 以司謁口傳下敎曰, 朴淑儀喪, 棺板一部輸送。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555책(탈초본 123책), 철종 5년(1854) 6월 30일 정유(丁酉) 23/30 기사



『승정원일기』2555책(탈초본 123책), 철종 5년(1854) 6월 30일 정유(丁酉) 24/30 기사

Quote-left blue.png 禮曹啓曰, 今此朴淑儀之喪, 弔祭依例擧行, 禮葬則時未復舊, 棺槨役軍, 令該曹題給, 何如? 傳曰, 允。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555책(탈초본 123책), 철종 5년(1854) 6월 30일 정유(丁酉) 24/30 기사



『승정원일기』2582책(탈초본 124책), 철종 7년(1856) 8월 15일 기해(己亥) 13/17 기사

Quote-left blue.png 戶曹啓曰, 朴淑儀房逐日供上物種, 自今年六月三十日爲始減下, 內人六人宣飯各種, 自今年八月十五日爲始減下, 竝分道磨鍊別單書入, 而依此擧行之意, 分付宣惠廳, 何如? 傳曰, 允。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582책(탈초본 124책), 철종 7년(1856) 8월 15일 기해(己亥) 13/17 기사



『승정원일기』2756책(탈초본 129책), 고종 7년(1870) 10월 7일 기해(己亥) 9/31 기사

Quote-left blue.png 전교하기를, “영온 옹주(永溫翁主)와 박 숙의(朴淑儀)의 묘소에 내시를 보내어 간심하고 오라.” 하였다.

傳曰, 永溫翁主·朴淑儀墓, 遣內侍, 看審以來。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56책(탈초본 129책), 고종 7년(1870) 10월 7일 기해(己亥) 9/31 기사



『승정원일기』2756책(탈초본 129책), 고종 7년(1870) 10월 7일 기해(己亥) 32/31 기사

Quote-left blue.png 이어, 쓰라고 명하고 전교하기를, “의빈묘(宜嬪墓), 흥인군 부인(興寅君夫人)묘, 영온옹주(永溫翁主)묘, 박 숙의(朴淑儀)묘, 화빈묘(和嬪墓)에 내시를 보내 간심하고 오라.” 하였다.

仍命書傳敎曰, 宜嬪墓·興寅君夫人墓·永溫翁主·朴淑儀墓·和嬪墓, 遣內侍, 看審以來。

Quote-right blue.png
출처: 『승정원일기』2756책(탈초본 129책), 고종 7년(1870) 10월 7일 기해(己亥) 32/31 기사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가상현실

현재의 묘역

초장 추정지

갤러리

동영상

전자지도

이미지 마커와 커스텀 오버레이 + 지도에 지형도 표시하기

참고 자료

학술적 성격의 저작물

1.고문헌

  • 이왕직(李王職) 예식과(禮式課), 『능원묘천봉안(陵園墓遷奉案)』, 1929 ~ 194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대중적 성격의 콘텐츠

주석